미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1번째 줄: 31번째 줄:
 
===후방카메라===
 
===후방카메라===
 
[[파일:후방카메라 모니터링.jpg|썸네일|300픽셀|'''[[후방 카메라]]''']]
 
[[파일:후방카메라 모니터링.jpg|썸네일|300픽셀|'''[[후방 카메라]]''']]
후진 중 실내에서 후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를 번갈아가며 확인하지만 그리하여도 사각지대로 인해 완벽하게는 후방 확인이 어렵다. 그 문제점을 고려하여 거울 대신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차량 후면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차량 내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나 후방 추차 시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선명하고 직접적으로 수 있기 때문에 편한 [[주차]]가 가능하다. 하지만 카메라로 출력된 영상 정보는 완벽하게 일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니터 위의 가상 경로 유도선을 보여주어 어느 정도 왜곡되어 있음을 알려준다.<ref> VIEW H,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204172&memberNo=30619985 뒤에도 눈이 있어야 하는 이유! 자동차 후방 카메라]〉, 《네이버 포스트》, 2018-07-04</ref> 자동차의 진행 방향과 거리표시선, 주차라인을 표시해두어 주차가 굉장히 편해진다는 장점이 있어서 주차가 서툰 운전자에게는 도움이 된다. 단순히 주차에서만 사용하는 경우 말고도 평소 주행 중에도 사용이 된다. [[후방카메라]]를 통해서 후방의 도로 상황을 룸미러에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의 위험을 먼저 인지하고, 사전에 사고를 예방한다. 주행 중 룸미러로 후방의 상황을 사각지대로 인하여 확인하기가 어렵다. 특히나 뒷좌석에 승객이나 짐이 실려있다면 더더욱 룸미러가 제 기능을 하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180도가 돌아가는 카메라를 후방에 달아서 사물을 최대한 크고 넓게, 명확하게 볼 수가 있다. 화물로 인한 시야 방해로부터 자유롭고 뒤쪽의 창문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서 악천후에도 얼룩진 창문으로 보는 뒤쪽 시야보다는 확실히 선명하고 깨끗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ref> 류아연 기자, 〈[https://news.appstory.co.kr/free9946 사각지대 사라진 180도 FHD 룸미러]〉, 《앱스토리》, 2017-08-23</ref>  
+
후진 중 실내에서 후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미러와 룸미러를 번갈아가며 확인하지만 그리하여도 사각지대로 인해 완벽하게는 후방 확인이 어렵다. 그 문제점을 고려하여 거울 대신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차량 후면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차량 내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나 후방 추차 시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선명하고 직접적으로 수 있기 때문에 편한 주차가 가능하다. 하지만 카메라로 출력된 영상 정보는 완벽하게 일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니터 위의 가상 경로 유도선을 보여주어 어느 정도 왜곡되어 있음을 알려준다.<ref> VIEW H,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204172&memberNo=30619985 뒤에도 눈이 있어야 하는 이유! 자동차 후방 카메라]〉, 《네이버 포스트》, 2018-07-04</ref> 자동차의 진행 방향과 거리표시선, 주차라인을 표시해두어 주차가 굉장히 편해진다는 장점이 있어서 주차가 서툰 운전자에게는 도움이 된다. 단순히 주차에서만 사용하는 경우 말고도 평소 주행 중에도 사용이 된다. 후방카메라를 통해서 후방의 도로 상황을 룸미러에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의 위험을 먼저 인지하고, 사전에 사고를 예방한다. 주행 중 룸미러로 후방의 상황을 사각지대로 인하여 확인하기가 어렵다. 특히나 뒷좌석에 승객이나 짐이 실려있다면 더더욱 룸미러가 제 기능을 하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180도가 돌아가는 카메라를 후방에 달아서 사물을 최대한 크고 넓게, 명확하게 볼 수가 있다. 화물로 인한 시야 방해로부터 자유롭고 뒤쪽의 창문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서 악천후에도 얼룩진 창문으로 보는 뒤쪽 시야보다는 확실히 선명하고 깨끗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ref> 류아연 기자, 〈[https://news.appstory.co.kr/free9946 사각지대 사라진 180도 FHD 룸미러]〉, 《앱스토리》, 2017-08-23</ref>  
 
===어라운드 뷰===
 
===어라운드 뷰===
 
[[파일:어라운드 뷰 모니터링.jpg|썸네일|300픽셀|'''[[어라운드 뷰]]''']]
 
[[파일:어라운드 뷰 모니터링.jpg|썸네일|300픽셀|'''[[어라운드 뷰]]''']]
[[어라운드 뷰]]는 전후좌우 4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각각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합성하여 마치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것 같은 영상으로 모니터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대부분 주차할 때 사용되는 기능으로 차량의 주변 상황을 실내 모니터로 확인하고 장애물 감지 [[센서]]와 결합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경우가 많아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다. 각각 영상을 보여준다면 다소 왜곡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만 영상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차량의 형상과 공간을 고려해 재구성을 해서 더 정확한 주차가 가능하다. 비교적 최신 차량의 경우에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각도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아예 주변 환경과 차량의 이미지를 3D로 합성해서 원하는 각도로 시점을 돌려볼 수 있고 주변의 장애물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사람이 접근하는 지도 볼 수 있어서 [[지하주차장]] 경사로가 좁은 옛날 건물 같은 곳에 큰 차를 가지고 진입할 때 매우 편리하다.<ref> 〈[https://namu.wiki/w/%EC%96%B4%EB%9D%BC%EC%9A%B4%EB%93%9C%20%EB%B7%B0%20%EB%AA%A8%EB%8B%88%ED%84%B0 어라운드 뷰 모니터]〉, 《나무위키》</ref> 완성차 제조사에서 제동하는 순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은 차량을 주문할 때 선택사양으로 추가하여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차종에 따라 혹은 사양에 따라 100~200만 원의 추가 비용이 든다. 이 방법 이외에도 외부업체에서 제조하는 사제 어라운드 뷰 모니터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100만원 이하의 비용으로 장착이 가능하다.<ref> 김영우, 〈[https://it.donga.com/30035/ 주차 초보들의 구원자, 어라운드뷰 시스템의 이모저모]〉, 《IT동아》, 2020-01-23</ref>  
+
어라운드 뷰는 전후좌우 4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각각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합성하여 마치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것 같은 영상으로 모니터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대부분 주차할 때 사용되는 기능으로 차량의 주변 상황을 실내 모니터로 확인하고 장애물 감지 센서와 결합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경우가 많아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다. 각각 영상을 보여준다면 다소 왜곡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만 영상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차량의 형상과 공간을 고려해 재구성을 해서 더 정확한 주차가 가능하다. 비교적 최신 차량의 경우에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각도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아예 주변 환경과 차량의 이미지를 3D로 합성해서 원하는 각도로 시점을 돌려볼 수 있고 주변의 장애물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사람이 접근하는 지도 볼 수 있어서 지하주차장 경사로가 좁은 옛날 건물 같은 곳에 큰 차를 가지고 진입할 때 매우 편리하다.<ref> 〈[https://namu.wiki/w/%EC%96%B4%EB%9D%BC%EC%9A%B4%EB%93%9C%20%EB%B7%B0%20%EB%AA%A8%EB%8B%88%ED%84%B0 어라운드 뷰 모니터]〉, 《나무위키》</ref> 완성차 제조사에서 제동하는 순정 어라운드 뷰 시스템은 차량을 주문할 때 선택사양으로 추가하여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차종에 따라 혹은 사양에 따라 100~200만 원의 추가 비용이 든다. 이 방법 이외에도 외부업체에서 제조하는 사제 어라운드 뷰 모니터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100만원 이하의 비용으로 장착이 가능하다.<ref> 김영우, 〈[https://it.donga.com/30035/ 주차 초보들의 구원자, 어라운드뷰 시스템의 이모저모]〉, 《IT동아》, 2020-01-23</ref>  
 
===미러리스===
 
===미러리스===
 
[[파일:미러리스.jpg|썸네일|300픽셀|'''[[미러리스]]''']]
 
[[파일:미러리스.jpg|썸네일|300픽셀|'''[[미러리스]]''']]
각종 미러를 활용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첨단 기능들로 인하여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줄어드는 추세지만 일부 학자들은 미래에 자동차 사이드나 룸미러가 아예 없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각종 고성능 카메라와 레이더 등이 차량에 장착되어 주변을 감지하는 능력이 매우 높고, 기존미러들의 역할은 100%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 된다.<ref name="차알못"/> 실제로 사이드 미러 대신에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장착한 [[아이오닉 5]]가 출시가 되어 도로를 달리고 있다. 사이드 미러가 없다면 일단 가장 큰 장점으로 연비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이드 미러는 차량 양쪽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속 시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데, 공기저항이 높을수록 연료 소모량이 늘어 경제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사이드 미러를 없애면 공기저항이 8% 정도 줄고 이로 인해 연비가 2%에서 최대 10%까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로 발생하는 바람으로 꽤 높은 주파수의 풍절음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미러리스 자동차는 이 소음을 줄여 정숙성에 도움이 된다.<ref> 삼성전기,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359925&memberNo=36410102 거울 대신 카메라로! 미러리스 자동차]〉, 《네이버 포스트》, 2018-04-26</ref> 또한, 시야각이 15도에 불과한 사이드미러와 달리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시야각이 30~80도까지 확보되기 때문에 측면 후방 관찰에 더욱 용이하기 때문에 사고예방에 더욱 도움이 된다.<ref> 〈[https://blog.bullsone.com/2340 자동차 거울이 사라질 수도 있다? 자동차 미러 vs 미러리스]〉, 《불스원》, 2020-05-01</ref>  하지만 카메라에 빗물 등의 이물질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도 있고, 부품 고장의 확률도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서 아직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각종 미러를 활용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첨단 기능들로 인하여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줄어드는 추세로 일부 학자들은 미래에 자동차 사이드나 룸미러가 아예 없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각종 고성능 카메라와 레이더 등이 차량에 장착되어 주변을 감지하는 능력이 매우 높고, 기존미러들의 역할은 100%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 된다.<ref name="차알못"/> 실제로 사이드 미러 대신에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장착한 아이오닉 5가 출시가 되어 도로를 달리고 있다. 사이드 미러가 없다면 일단 가장 큰 장점으로 연비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이드 미러는 차량 양쪽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속 시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데, 공기저항이 높을수록 연료 소모량이 늘어 경제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사이드 미러를 없애면 공기저항이 8% 정도 줄고 이로 인해 연비가 2%에서 최대 10%까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로 발생하는 바람으로 꽤 높은 주파수의 풍절음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미러리스 자동차는 이 소음을 줄여 정숙성에 도움이 된다.<ref> 삼성전기,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359925&memberNo=36410102 거울 대신 카메라로! 미러리스 자동차]〉, 《네이버 포스트》, 2018-04-26</ref> 또한, 시야각이 15도에 불과한 사이드미러와 달리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시야각이 30~80도까지 확보되기 때문에 측면 후방 관찰에 더욱 용이하기 때문에 사고예방에 더욱 도움이 된다.<ref> 〈[https://blog.bullsone.com/2340 자동차 거울이 사라질 수도 있다? 자동차 미러 vs 미러리스]〉, 《불스원》, 2020-05-01</ref>  하지만 카메라에 빗물 등의 이물질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도 있고, 부품 고장의 확률도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서 아직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각주}}
 
{{각주}}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