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오네스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국경선을 건너지 않고 [[아르헨티나]]의 다른 지방으로 가려면 무조건 코리엔테스주를 통과해야 한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원래 [[파라과이]]와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었으나 삼국 동맹 전쟁을 걸치면서 완전히 아르헨티나령이 되었다가 이후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에게 동쪽 절반을 할양하면서 현재의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국경선을 건너지 않고 [[아르헨티나]]의 다른 지방으로 가려면 무조건 코리엔테스주를 통과해야 한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원래 [[파라과이]]와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었으나 삼국 동맹 전쟁을 걸치면서 완전히 아르헨티나령이 되었다가 이후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에게 동쪽 절반을 할양하면서 현재의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교통]]은 불편하며, [[파라나강]]의 기선에 의존하고 있다. 다만 포사다스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로 통하는 기차편이 있다.
+
[[교통]]은 불편하며, [[파라나 강]]의 기선에 의존하고 있다. 다만 포사다스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로 통하는 기차편이 있다.
  
 
미시오네스 내의 다수는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아르헨티나 다른 지역에서의 이민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경유해 온 것과는 달리, 미시오네스에 정착한 이민자들 상당수는 [[브라질]] 남부를 경유해서 들어 왔다. 미시오네스에 정착한 민족은 이탈리아인, 독일인, 스페인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프랑스인, 스위스인, 러시아인, 덴마크인, 아랍인이 있다.
 
미시오네스 내의 다수는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아르헨티나 다른 지역에서의 이민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경유해 온 것과는 달리, 미시오네스에 정착한 이민자들 상당수는 [[브라질]] 남부를 경유해서 들어 왔다. 미시오네스에 정착한 민족은 이탈리아인, 독일인, 스페인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프랑스인, 스위스인, 러시아인, 덴마크인, 아랍인이 있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자연환경 ==
 
== 자연환경 ==
[[파라나강]]([[파라과이]]와의 국경)과 [[우루과이강]]([[브라질]]과의 국경) 사이에 길쭉하게 뻗은 하간 지역의 북동부(파라나고원)를 차지한다. 용암으로 된 대지이며, 절벽 사이로 급류가 흐른다.  
+
[[파라나 강]](파라과이와의 국경)과 [[우루과이 강]](브라질과의 국경) 사이에 길쭉하게 뻗은 하간 지역의 북동부(파라나고원)를 차지한다. 용암으로 된 대지이며, 절벽 사이로 급류가 흐른다.  
  
상당한 양의 [[철분]]을 포함한 [[암석]]이 [[토양]]의 일부를 구성해, [[토양]]이 [[적색]]을 띠고 있다. 고원 중앙에서는 [[미시오네스 산맥]]이 솟아있고, 최고 지점은 세로 린 콘의 벨날드 이리고젠 부근의 843m이다. 주 북서부의 푸에르토 이구아수 부근에 위치한 이구아수 폭포는 이구아수 강 최대의 폭포이다. 이 [[폭포]]는 [[브라질]]의 파라나주와 폭포를 공유하고 있다. 이곳에서 [[파라과이]]와의 [[국경선]]도 가깝다. [[아열대기후]]로 [[건기]]가 없다. 따라서 미시오네스주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더운 주 중의 하나이다. [[식물]]은 미시오네스 [[열대우림]]을 이루고 있다.
+
상당한 양의 철분을 포함한 암석이 토양의 일부를 구성해, 토양이 적색을 띠고 있다. 고원 중앙에서는 미시오네스 산맥이 솟아있고, 최고 지점은 세로 린 콘의 벨날드 이리고젠 부근의 843m이다. 주 북서부의 푸에르토 이구아수 부근에 위치한 이구아수 폭포는 이구아수 강 최대의 폭포이다. 이 [[폭포]]는 [[브라질]]의 파라나주와 폭포를 공유하고 있다. 이곳에서 [[파라과이]]와의 국경선도 가깝다. 아열대의 기후로 건기가 없다. 따라서 미시오네스주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더운 주 중의 하나이다. 식물은 미시오네스 열대 우림을 이루고 있다.  
  
 
== 역사 ==
 
== 역사 ==
원래 미시오네스주에는 [[과라니족]]의 고유 문화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 땅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은 1527년 12월에 [[파라나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피페 폭포]]를 발견한 [[세바스티안 카봇트]]였다. 1541년에 알 바누녜스 카베이사 데 바보가 [[이과수 폭포]]에 도달했다.
+
원래 미시오네스주에는 과라니족의 고유 문화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 땅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은 1527년 12월에 파라나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피페 폭포를 발견한 세바스티안 카봇트였다. 1541년에 알 바누녜스 카베이사 데 바보가 이구아수 폭포에 도달했다.
  
17세기에는 [[예수회]] [[전도사]]가 이 곳에 왔다. 전도사단은 이 땅에 일부 예수회 전도소를 마련했다. 몇 년 후에는 그들이 건설한 전도소는 30개를 넘었다. 과라니족은 이미 농경 생활에 익숙해져 정착 생활을 하고 있었다.
+
17세기에는 예수회 전도사가 이 곳에 왔다. 전도사단은 이 땅에 일부 예수회 전도소를 마련했다. 몇 년후에는 그들이 건설한 전도소는 30개를 넘었다. 과라니족은 이미 농경 생활에 익숙해져 정착 생활을 하고 있었다.
  
1814년에 [[부에노스아이레스]] 정권의 장관이었던 헤르바시오 포서다스는 미시오네스주를 [[아르헨티나]]령(당시 아르헨티나는 준독립 상태였지만)에 편입시키고 코리엔테스주에 편입되었음을 선언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여러 나라의 권리 주장으로 인해 실효 지배를 하지 못했다.
+
1814년에 부에노스아이레스 정권의 장관이었던 헤르바시오 포서다스는 미시오네스 주를 아르헨티나령(당시 아르헨티나는 준독립 상태였지만)에 편입시키고 코리엔테스주에 편입되었음을 선언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여러 나라의 권리 주장으로 인해 실효 지배를 하지 못했다.
  
1838년에는 [[파라과이]]가 미시오네스주에 사는 인디헤나의 과라니족은 파라과이의 주요한 구성 민족인 것을 이유로 [[미시오네스]]를 지배했다. 1865년에 삼국 동맹 전쟁이 발발하면서, 파라과이군은 다시 미시오네스를 침공했다. 1876년에 아르헨티나와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했다.
+
1838년에는 파라과이가 미시오네스주에 사는 인디헤나의 과라니족은 파라과이의 주요한 구성 민족인 것을 이유로 미시오네스를 지배했다. 1865년에 삼국 동맹 전쟁이 발발하면서, 파라과이군은 다시 미시오네스를 침공했다. 1876년에 아르헨티나와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했다.
  
 
1876년, 니콜라스 아베자네이다 대통령은 친구인 이탈리아군 귀족으로, 피에트로 카네스트로 장군이 이민 및 식민법을 공표하는 것을 도왔다. 그 법률은 광대한 아르헨티나령의 미개간지의 인구증가를 위해 유럽에서 이민을 받아들이자는 것이었다. 이 법률의 시행에 따라 몇 개의 식민 회사가 설립되었다. 그러한 회사 중의 하나가 Adolf Schwelm's Eldorado Colonizacin y Explotacin de Bosques Ltda. S.A.였다. 엘 도라도는 1919년 9월 29일에 돈 아돌프 J 스치웨룸에 의해서, 파라나 상류의 항구와 함께 설립되었다.
 
1876년, 니콜라스 아베자네이다 대통령은 친구인 이탈리아군 귀족으로, 피에트로 카네스트로 장군이 이민 및 식민법을 공표하는 것을 도왔다. 그 법률은 광대한 아르헨티나령의 미개간지의 인구증가를 위해 유럽에서 이민을 받아들이자는 것이었다. 이 법률의 시행에 따라 몇 개의 식민 회사가 설립되었다. 그러한 회사 중의 하나가 Adolf Schwelm's Eldorado Colonizacin y Explotacin de Bosques Ltda. S.A.였다. 엘 도라도는 1919년 9월 29일에 돈 아돌프 J 스치웨룸에 의해서, 파라나 상류의 항구와 함께 설립되었다.
50번째 줄: 50번째 줄:
 
이구아수 국립공원은 [[아르헨티나]]의 미시오네스주에 있는 국립공원으로 1984년 유네스코(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구아수 국립공원은 [[아르헨티나]]의 미시오네스주에 있는 국립공원으로 1984년 유네스코(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아르헨티나 북동부의 미시오네스주 노르에스트(Nord-Est)에 있는 이구아수폭포와 그 주변의 아열대 [[밀림]] 지역으로 이루어진 국립공원이다. 이구아수 폭포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국경지대에 걸쳐 있는데, 이구아수는 '거대한 물'이라는 뜻이다. 이 지역은 1934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수려한 자연경관과 생물학적 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1984년 아르헨티나의 세 번째 세계유산(자연)으로 등재되었다. 북쪽으로 경계를 이루는 브라질 영내의 이구아수국립공원은 1986년에 별도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아르헨티나 북동부의 미시오네스주 노르에스트(Nord-Est)에 있는 이구아수폭포와 그 주변의 아열대 밀림 지역으로 이루어진 국립공원이다. 이구아수폭포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국경지대에 걸쳐 있는데, 이구아수는 '거대한 물'이라는 뜻이다. 이 지역은 1934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수려한 자연경관과 생물학적 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1984년 아르헨티나의 세 번째 세계유산(자연)으로 등재되었다. 북쪽으로 경계를 이루는 브라질 영내의 이구아수국립공원은 1986년에 별도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지정 면적은 5만 5000ha이다. [[브라질]]의 이구아수국립공원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이구아수 [[폭포]]를 공유하는데, 아르헨티나 영내의 면적이 더 넓다. 이 지역에는 남아메리카 인디언인 카잉강족(Caingangues)이 처음 정착하였으며, 이후 투피과라니족(Tupi-Guaranies)이 이들을 몰아내고 오랫동안 거주하였다. 1541년 스페인의 탐험가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Don Alvar Nuñes Cabeza de Vaca)가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지역을 발견하였으며, 그로부터 약 10년 후에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다.
+
등재된 지정 면적은 5만 5000ha이다. 브라질의 이구아수국립공원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이구아수 폭포를 공유하는데, 아르헨티나 영내의 면적이 더 넓다. 이 지역에는 남아메리카 인디언인 카잉강족(Caingangues)이 처음 정착하였으며, 이후 투피과라니족(Tupi-Guaranies)이 이들을 몰아내고 오랫동안 거주하였다. 1541년 스페인의 탐험가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Don Alvar Nuñes Cabeza de Vaca)가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지역을 발견하였으며, 그로부터 약 10년 후에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구아수 폭포는 이구아수강이 파라나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상류 쪽으로 약 23㎞ 지점에 높이 60~80m인 270여개의 크고 작은 폭포들이 너비 약 3㎞에 걸쳐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많은 연속된 폭포들이 온종일 굉음과 엄청난 물보라를 일으키며 장관을 이루고, 여기서 빚어내는 엄청난 수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식생(植生)이 무성하다. 이 지역의 식생은 열대산 목본성 덩굴식물인 리아나((liana)와 착생식물(epithyte)이 풍부한 다습 아열대 삼림이 대부분인데, 주변국인 브라질이나 파라과이의 삼림과 비교하면 식물종의 다양성이 덜하지만 2000여 종의 관다발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구아수 폭포는 이구아수강이 파라나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상류 쪽으로 약 23㎞ 지점에 높이 60~80m인 270여개의 크고 작은 폭포들이 너비 약 3㎞에 걸쳐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많은 연속된 폭포들이 온종일 굉음과 엄청난 물보라를 일으키며 장관을 이루고, 여기서 빚어내는 엄청난 수증기로 인하여 주변의 식생(植生)이 무성하다. 이 지역의 식생은 열대산 목본성 덩굴식물인 리아나((liana)와 착생식물(epithyte)이 풍부한 다습 아열대 삼림이 대부분인데, 주변국인 브라질이나 파라과이의 삼림과 비교하면 식물종의 다양성이 덜하지만 2000여 종의 관다발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82번째 줄: 82번째 줄:
 
* [[파라과이]]
 
* [[파라과이]]
 
* [[코리엔테스주]]
 
* [[코리엔테스주]]
 +
  
 
{{:남아메리카 같이 보기}}
 
{{:남아메리카 같이 보기}}
  
 
{{세계행정구역|검토 필요}}
 
{{세계행정구역|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