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카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방카섬'''<!--방카 섬-->(영어: Bangka Island, 인도네시아어: Bangka)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방카섬은 [[블리퉁섬]](인도네시아어: Belitung)과 함께 [[방카블리퉁제도]](영어: Bangka Belitung Islands)를 이룬다. 1710년경부터 방카는 세계적으로 주요한 주석 생산지가 되었다. 면적은 1만 1,340km², 주도(主都)는 팡칼피낭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B9%B4%EC%84%AC 방카섬]〉, 《위키백과》</ref>
 
'''방카섬'''<!--방카 섬-->(영어: Bangka Island, 인도네시아어: Bangka)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방카섬은 [[블리퉁섬]](인도네시아어: Belitung)과 함께 [[방카블리퉁제도]](영어: Bangka Belitung Islands)를 이룬다. 1710년경부터 방카는 세계적으로 주요한 주석 생산지가 되었다. 면적은 1만 1,340km², 주도(主都)는 팡칼피낭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B9%B4%EC%84%AC 방카섬]〉, 《위키백과》</ref>
  
==개요==
+
===개요===
 
방카섬은 인도네시아에서 9번째로 큰 섬으로 방카블리퉁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방카섬과 수마트라섬 사이에는 [[방카해협]]이 있고, [[블리퉁섬]] 사이에는 [[켈라사해협]]이 있다. 해안에는 습지대가 많고 입지적 조건이 좋은 항구가 별로 없다. 기후는 적도에 가까워서 고온다습하며 북쪽 해안지대의 연강수량은 3,600mm를 넘는다. 구릉성의 섬 점체가 주석광으로 가득차 있으며, 우수한 광구에서는 광층의 두께가 10m에 달하며 세계적인 주석 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석광은 대부분이 노천굴로 18세기 초부터 채굴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미국과 네덜란드로 수출한다. 또한 최근에는 저품위(低品位)의 사석(砂錫)도 이용되고 있다. 주석 생산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독점하고 있는 상태이며, 문톡에 가장 큰 주석 제련소가 있다. 팡칼피낭에는 대규모의 용광(鎔鑛) 공장이 있고, 북서연안의 문툭에는 주석광 제련소가 있다. 흰 후추가 또한 섬에서 생산된다. 섬의 원주민인 프로토말레이인(人) 외에 주석광산 노동자로서 이주해 온 화교가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9601&cid=40942&categoryId=33293 방카섬(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
 
방카섬은 인도네시아에서 9번째로 큰 섬으로 방카블리퉁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방카섬과 수마트라섬 사이에는 [[방카해협]]이 있고, [[블리퉁섬]] 사이에는 [[켈라사해협]]이 있다. 해안에는 습지대가 많고 입지적 조건이 좋은 항구가 별로 없다. 기후는 적도에 가까워서 고온다습하며 북쪽 해안지대의 연강수량은 3,600mm를 넘는다. 구릉성의 섬 점체가 주석광으로 가득차 있으며, 우수한 광구에서는 광층의 두께가 10m에 달하며 세계적인 주석 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석광은 대부분이 노천굴로 18세기 초부터 채굴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미국과 네덜란드로 수출한다. 또한 최근에는 저품위(低品位)의 사석(砂錫)도 이용되고 있다. 주석 생산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독점하고 있는 상태이며, 문톡에 가장 큰 주석 제련소가 있다. 팡칼피낭에는 대규모의 용광(鎔鑛) 공장이 있고, 북서연안의 문툭에는 주석광 제련소가 있다. 흰 후추가 또한 섬에서 생산된다. 섬의 원주민인 프로토말레이인(人) 외에 주석광산 노동자로서 이주해 온 화교가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9601&cid=40942&categoryId=33293 방카섬(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
  
15번째 줄: 15번째 줄:
  
 
방카블리퉁은 중국인들의 오랜 이주 역사를 가지고있다. 13세기 중국인들은 이미 방카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팔렘방(Palembang) 통치자들은 엄청난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나중에 벨리퉁에 주석 광산을 설립했다. 네덜란드인들이 블리퉁에 정착한 중국 본토에서 계약직 노동자들을 데려오기로 결정한 가장 큰 이유는 주석이었다. 주석 자체가 섬의 발전을 촉진하고 현재의 위치를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 후 중국인 이민자 중 일부는 집으로 돌아갔고 일부는 남기로 결정했다. 머무르기로 결심한 사람들은 지역 사람들과 동화되기 시작했고 이것이 결혼으로 이어졌다. 종교와 민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평화롭게 공존하며 살고 있다. 1998년 소에하토 정권 말기에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에서 반중 폭동이 일어났을 때 현지인들과 중국 후손들은 크게 개의치 않고 여전히 방카블리퉁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방카블리퉁주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2000년 법률 제27호에 의거해 31번째 주로 탄생했으며, 이전에는 남수마트라 주의 일부였다. 이 지방의 수도는 팡칼피낭이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angka_Belitung_Islands Bangka Belitung Islands]", ''Wikipedia''</ref>
 
방카블리퉁은 중국인들의 오랜 이주 역사를 가지고있다. 13세기 중국인들은 이미 방카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팔렘방(Palembang) 통치자들은 엄청난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나중에 벨리퉁에 주석 광산을 설립했다. 네덜란드인들이 블리퉁에 정착한 중국 본토에서 계약직 노동자들을 데려오기로 결정한 가장 큰 이유는 주석이었다. 주석 자체가 섬의 발전을 촉진하고 현재의 위치를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 후 중국인 이민자 중 일부는 집으로 돌아갔고 일부는 남기로 결정했다. 머무르기로 결심한 사람들은 지역 사람들과 동화되기 시작했고 이것이 결혼으로 이어졌다. 종교와 민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평화롭게 공존하며 살고 있다. 1998년 소에하토 정권 말기에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에서 반중 폭동이 일어났을 때 현지인들과 중국 후손들은 크게 개의치 않고 여전히 방카블리퉁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방카블리퉁주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2000년 법률 제27호에 의거해 31번째 주로 탄생했으며, 이전에는 남수마트라 주의 일부였다. 이 지방의 수도는 팡칼피낭이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angka_Belitung_Islands Bangka Belitung Islands]", ''Wikipedia''</ref>
 
+
===블리퉁섬===
==블리퉁섬==
 
 
[[블리퉁섬]](인도네시아어: Belitung)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동쪽에 있는 섬이다. [[자와해]]에 위치한 이 섬은 후추와 주석으로 유명하다. 면적은 4,833km2, 인구는 약 12만(1995), 네덜란드어명은 빌리톤(Billiton)섬, 주도는 탄중판단이다. 135여 개의 작은 부속섬이 있으며, 동쪽은 카리마타 해협, 서쪽은 가스파르 해협에 면한다. 해안은 대체로 저평하고 습지대가 많으며 섬 주위에는 산호초가 발달하여, 특히 북쪽 및 동해안은 항해하기가 어렵다. 지형은 구릉성으로 섬 전체가 화강암성의 모래와 점토로 뒤덮여 있다. 모래 속에는 풍부한 주석이 함유되었는데, 서쪽에 이웃하는 방카섬과 함께 이른바 ‘주석군도’를 이룬다. 1822년 이래 채굴이 시작되었고, 1860년 이후 벨리퉁 개발회사에 의하여 세계 최대의 주석산지로 발전하였다. 1970년의 생산량은 4,934 t에 달했으며, 광석 그대로 네덜란드에 수출한다. 벨리퉁 주민의 대부분은 말레이인에 속하는 오란다라트로 고대에 수마트라 동해안지방으로부터 이주해온 종족이며, 이들 외에 중국인을 비롯하여 많은 아시아인 이민이 살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6624&cid=40942&categoryId=33293 벨리퉁섬(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
 
[[블리퉁섬]](인도네시아어: Belitung)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동쪽에 있는 섬이다. [[자와해]]에 위치한 이 섬은 후추와 주석으로 유명하다. 면적은 4,833km2, 인구는 약 12만(1995), 네덜란드어명은 빌리톤(Billiton)섬, 주도는 탄중판단이다. 135여 개의 작은 부속섬이 있으며, 동쪽은 카리마타 해협, 서쪽은 가스파르 해협에 면한다. 해안은 대체로 저평하고 습지대가 많으며 섬 주위에는 산호초가 발달하여, 특히 북쪽 및 동해안은 항해하기가 어렵다. 지형은 구릉성으로 섬 전체가 화강암성의 모래와 점토로 뒤덮여 있다. 모래 속에는 풍부한 주석이 함유되었는데, 서쪽에 이웃하는 방카섬과 함께 이른바 ‘주석군도’를 이룬다. 1822년 이래 채굴이 시작되었고, 1860년 이후 벨리퉁 개발회사에 의하여 세계 최대의 주석산지로 발전하였다. 1970년의 생산량은 4,934 t에 달했으며, 광석 그대로 네덜란드에 수출한다. 벨리퉁 주민의 대부분은 말레이인에 속하는 오란다라트로 고대에 수마트라 동해안지방으로부터 이주해온 종족이며, 이들 외에 중국인을 비롯하여 많은 아시아인 이민이 살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6624&cid=40942&categoryId=33293 벨리퉁섬(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
  
22번째 줄: 21번째 줄:
 
방카섬 대학살(Bangka Island massacre)은 1942년 2월 16일,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동쪽에 위치한 방카섬에서 일어난 일본군에 의한 대량 학살 사건으로, 수십여명의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포로, 민간인이 학살당하고 21명의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간호사들이 방카섬 라지 해안에서 일본군에 의해 강간 당한 후 학살된 사건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2년, 싱가포르를 점령한 일본군은 함락을 눈앞에 두었다.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일본에 항복하기 직전인 2월 11일과 12일, 민간인과 일부의 군인들이 싱가포르에서 탈출하면서 약 140명의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간호사들도 싱가포르를 탈출하였다. 이들 중 65명의 간호사를 포함하여 부녀자 300명은 싱가포르를 떠나는 마지막 배인 'SS 바이너 브룩(SS Vyner Brooke)'호에 탑승했다. 2월 14일 오후, 바이너 브룩호는 인도네시아의 방카해협에서 일본군 전투기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 승객의 대부분은 방카섬의 라지 해안(Radji beach)에 표류하였다. 이들 중 12명의 간호사가 익사하였다. 간호사 22명과 부상병, 소수의 어린이와 민간인이 구명보트를 타고 방카섬 라지해안에 상륙했다. 상륙 다음날 20명의 영국 병사를 포함, 다른 곳에서 격침되어 표류한 100명의 승객이 합류했다. 일본군 장교가 이끄는 15명의 병사가 와서, 남자들을 해안가에 나란히 세워 사살 한 후, 22명의 간호사들을 바다 속에 몰아 넣고 총격하여 21명이 사망했다. 일본군 병사는 보행이 가능한 남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100m 정도 떨어진 곶의 반대편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했다. 첫번째 그룹은 총검으로, 두번째 그룹은 총을 발사하여 살해하였다. 일본군 사관은 22명의 간호사와 1명의 여성 민간인을 강간하고, 바다속으로 들어가도록 강요하였다. 허리까지 물이 차오랐을 즘에 간호사들에게 기관총을 난사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B9%B4%EC%84%AC_%EB%8C%80%ED%95%99%EC%82%B4 방카섬 대학살]〉, 《위키백과》</ref>
 
방카섬 대학살(Bangka Island massacre)은 1942년 2월 16일,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동쪽에 위치한 방카섬에서 일어난 일본군에 의한 대량 학살 사건으로, 수십여명의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포로, 민간인이 학살당하고 21명의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간호사들이 방카섬 라지 해안에서 일본군에 의해 강간 당한 후 학살된 사건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2년, 싱가포르를 점령한 일본군은 함락을 눈앞에 두었다.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일본에 항복하기 직전인 2월 11일과 12일, 민간인과 일부의 군인들이 싱가포르에서 탈출하면서 약 140명의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간호사들도 싱가포르를 탈출하였다. 이들 중 65명의 간호사를 포함하여 부녀자 300명은 싱가포르를 떠나는 마지막 배인 'SS 바이너 브룩(SS Vyner Brooke)'호에 탑승했다. 2월 14일 오후, 바이너 브룩호는 인도네시아의 방카해협에서 일본군 전투기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 승객의 대부분은 방카섬의 라지 해안(Radji beach)에 표류하였다. 이들 중 12명의 간호사가 익사하였다. 간호사 22명과 부상병, 소수의 어린이와 민간인이 구명보트를 타고 방카섬 라지해안에 상륙했다. 상륙 다음날 20명의 영국 병사를 포함, 다른 곳에서 격침되어 표류한 100명의 승객이 합류했다. 일본군 장교가 이끄는 15명의 병사가 와서, 남자들을 해안가에 나란히 세워 사살 한 후, 22명의 간호사들을 바다 속에 몰아 넣고 총격하여 21명이 사망했다. 일본군 병사는 보행이 가능한 남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100m 정도 떨어진 곶의 반대편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했다. 첫번째 그룹은 총검으로, 두번째 그룹은 총을 발사하여 살해하였다. 일본군 사관은 22명의 간호사와 1명의 여성 민간인을 강간하고, 바다속으로 들어가도록 강요하였다. 허리까지 물이 차오랐을 즘에 간호사들에게 기관총을 난사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B9%B4%EC%84%AC_%EB%8C%80%ED%95%99%EC%82%B4 방카섬 대학살]〉, 《위키백과》</ref>
  
== 지도 ==
+
==지도==
 
{{지도|방카섬}}
 
{{지도|방카섬}}
{{다단2
 
|{{방카블리퉁제도 행정 지도}}
 
|{{카리마타해협 행정 지도}}
 
}}
 
 
{{다단2
 
{{다단2
 
|{{수마트라섬 행정 지도}}
 
|{{수마트라섬 행정 지도}}
 
|{{동남아시아 국가 지도}}
 
|{{동남아시아 국가 지도}}
 
}}
 
}}
{{인도네시아 행정 가로 지도}}
+
|{{인도네시아 행정 가로 지도}}
  
 
==동영상==
 
==동영상==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