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지시등 레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방향지시등 레버.jpg|썸네일|300픽셀|'''방향지시등 레버''']]
 
[[파일:방향지시등 레버.jpg|썸네일|300픽셀|'''방향지시등 레버''']]
  
'''[[방향지시등 레버]]'''(Turn signal handle)는 차량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기 전에 [[방향지시등]]을 켜거나 끄기 위해 사용하는 [[레버]]이다. 방향지시등 레버는 대부분의 자동차에서 [[스티어링휠]] 좌측에 있다. [[미등]], [[안개등]], [[전조등]] 같은 [[조명]]을 조절하며 [[방향지시등]]을 작동하기 때문에 좌회전이나 우회전할 때 사용한다. 방향지시등 레버는 [[회전]] 또는 [[차선변경]] [[스티어링휠]]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자동으로 중립 상태로 복귀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동]]으로 꺼야 한다.<ref>카링TV,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460237&memberNo=11448582 초보 운전자를 위한 상식! 핸들 옆 레버의 정체는?]〉, 《네이버 포스트》, 2017-02-14</ref>
+
'''[[방향지시등 레버]]'''(Turn signal handle)는 대부분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좌측에 있으며 [[미등]], [[안개등]], [[전조등]] 같은 조명을 조절하며 [[방향지시등]]을 작동하기 때문에 좌회전이나 우회전할 때 사용한다. 방향지시등 레버는 회전 또는 차선 변경 핸들을 복귀하면 자동으로 중립 상태 원위치로 복귀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꺼야 한다.<ref>카링TV,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460237&memberNo=11448582 초보 운전자를 위한 상식! 핸들 옆 레버의 정체는?]〉, 《네이버 포스트》, 2017-02-14</ref>
  
 
==개요==
 
==개요==
 
[[파일:방향지시등 레버 조명 사용법.jpg|썸네일|300픽셀|'''방향지시등 레버 조명 사용법''']]
 
[[파일:방향지시등 레버 조명 사용법.jpg|썸네일|300픽셀|'''방향지시등 레버 조명 사용법''']]
 
[[파일:방향지시등 레버 방향지시등 사용법.jpg|썸네일|300픽셀|'''방향지시등 레버 방향지시등 사용법''']]
 
[[파일:방향지시등 레버 방향지시등 사용법.jpg|썸네일|300픽셀|'''방향지시등 레버 방향지시등 사용법''']]
 
 
방향지시등 레버는 전조등, 미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등 차량 조명의 모든 것을 작동할 수 있다. 레버의 끝부분을 잡고 돌리거나 레버 전체를 상하로 움직이는 등 간단한 조작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동작마다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다르다. 레버의 끝부분을 돌리면 AUTO, 미등, 전조등을 사용할 수 있다. AUTO는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조명이 켜지거나 꺼지며 미등은 미등, [[차폭등]], [[번호판등]], 계기판등이 켜진다. 미등의 경우 해가 지는 상황이나 터널 안에서 주로 사용하며 주변 운전자들이 자신의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전조등은 미등 위치의 조명과 전조등 모두를 켤 때 사용하며 상향 전조등과 하향 전조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 전조등은 마주 오는 차가 있거나 앞차를 따라갈 때 사용하며 상향 전조등은 마주 오는 차가 없을 때 운전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다. 차선 변경이나 좌, 우회전 시 반드시 켜야만 하는 방향지시등은 레버 전체를 위아래로 조작해 사용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진로를 변경하기 전에는 방향지시등을 켜 다른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이동할 방향을 미리 알려야 한다.  
 
방향지시등 레버는 전조등, 미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등 차량 조명의 모든 것을 작동할 수 있다. 레버의 끝부분을 잡고 돌리거나 레버 전체를 상하로 움직이는 등 간단한 조작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동작마다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다르다. 레버의 끝부분을 돌리면 AUTO, 미등, 전조등을 사용할 수 있다. AUTO는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조명이 켜지거나 꺼지며 미등은 미등, [[차폭등]], [[번호판등]], 계기판등이 켜진다. 미등의 경우 해가 지는 상황이나 터널 안에서 주로 사용하며 주변 운전자들이 자신의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전조등은 미등 위치의 조명과 전조등 모두를 켤 때 사용하며 상향 전조등과 하향 전조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 전조등은 마주 오는 차가 있거나 앞차를 따라갈 때 사용하며 상향 전조등은 마주 오는 차가 없을 때 운전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다. 차선 변경이나 좌, 우회전 시 반드시 켜야만 하는 방향지시등은 레버 전체를 위아래로 조작해 사용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진로를 변경하기 전에는 방향지시등을 켜 다른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이동할 방향을 미리 알려야 한다.  
  
12번째 줄: 11번째 줄:
  
 
==기능==
 
==기능==
* '''Off''': 모든 조명이 꺼진 상태이며 표시 그대로 모든 조명을 끌 때 사용한다.
+
* '''Off''' : 모든 조명이 꺼진 상태이며 표시 그대로 모든 조명을 끌 때 사용한다.
* '''미등''': 자동차의 미등과 차폭등, 번호판등과 계기판등이 조명된다.
+
* '''미등''' : 자동차의 미등과 차폭등, 번호판등과 계기판등이 조명된다.
* '''전조등''':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작동되며 미등과 전조등 모두 조명된다. 보통은 하향등으로 설정해 두고 주행하며 어두워서 전방이 보이지 않거나 비상시 상향등으로 사용한다. 레버 전체를 뒤로 밀면 상향등, 앞으로 당기면 하향등, 운전자 쪽으로 당기면 일시적으로 상향등이 작동한다.
+
* '''전조등''' :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작동되며 미등과 전조등 모두 조명된다. 보통은 하향등으로 설정해 두고 주행하며 어두워서 전방이 보이지 않거나 비상시 상향등으로 사용한다. 레버 전체를 뒤로 밀면 상향등, 앞으로 당기면 하향등, 운전자 쪽으로 당기면 일시적으로 상향등이 작동한다.
* '''안개등''': 미등을 켠 상태에서 안개등 스위치를 돌리면 조명된다. 전조등보다 넓게 퍼지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의 시야 확보에 도움이 되며, 미등을 끄거나 안개등 스위치를 Off로 돌리면 조명이 꺼진다.
+
* '''안개등''' : 미등을 켠 상태에서 안개등 스위치를 돌리면 조명된다. 전조등보다 넓게 퍼지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의 시야 확보에 도움이 되며, 미등을 끄거나 안개등 스위치를 Off로 돌리면 조명이 꺼진다.
* '''Auto''':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전조등이 자동으로 조명된다.
+
* '''Auto''' :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전조등이 자동으로 조명된다.
* '''방향지시등''': 자동차의 진로를 변경하기 전에는 방향지시등을 켜 다른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이동할 방향을 미리 알린다.
+
* '''방향지시등''' : 자동차의 진로를 변경하기 전에는 방향지시등을 켜 다른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이동할 방향을 미리 알린다.
  
 
==사용 상황==
 
==사용 상황==
36번째 줄: 35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방향]]
 
* [[방향지시등]]
 
 
* [[스티어링휠]]
 
* [[스티어링휠]]
 
* [[미등]]
 
* [[미등]]
 
* [[전조등]]
 
* [[전조등]]
 
* [[안개등]]
 
* [[안개등]]
 +
* [[방향지시등]]
  
{{자동차 내장|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