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버지]](Verge)는 [[저스틴 수네록 발로]](Justin Sunerok Valo)에 의해 2014년 기존 [[도지코인]]을 기반으로 [[도지코인다크]](DogecoinDark)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되었고, 이후 2016년 2월 17일에 버지(Verge)로 리브랜딩하여 출시했다.<ref name="버지공식홈페이지">버지 공식 홈페이지 - https://vergecurrency.com/</ref>
 
[[버지]](Verge)는 [[저스틴 수네록 발로]](Justin Sunerok Valo)에 의해 2014년 기존 [[도지코인]]을 기반으로 [[도지코인다크]](DogecoinDark)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되었고, 이후 2016년 2월 17일에 버지(Verge)로 리브랜딩하여 출시했다.<ref name="버지공식홈페이지">버지 공식 홈페이지 - https://vergecurrency.com/</ref>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등장하고 비트코인이 소수점 8자리까지 나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2013년 12월, 발행량이 무려 천억 개인 [[도지]](Doge)코인이 등장했다. 2014년 1월 좀 더 완벽한 보안 전송을 위해 익명성을 강조한 [[대시]](Dash)를 필두로 한 [[프라이버시 코인]]들이 등장했다. 프라이버시 코인(privacy)은 코인의 이름 뒤에 익명성을 상징하는 'Dark'를 붙여 익명성을 강조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다크코인]]이라고 불렸다. 버지는 2014년 10월 '도지코인다크(DogeCoinDark)'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된 후, 2016년 2월에 리브랜딩되어 '''버지(Verge)'''가 되었다. 저스틴 수네록의 버지코인은 [[비트코인]]의 [[거래]] 속도 문제를 개선하고 [[대시]]코인처럼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자체 [[블록체인]]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ref>코인 매니저,  〈[https://blog.naver.com/yunho85/221198310974 버지 (XVG) - 개념, 가치, 특징]〉,  《네이버 블로그》 , 2018-02-01</ref>
+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등장하고 비트코인이 소수점 8자리까지 나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2013년 12월, 발행량이 무려 천억 개인 [[도지]](Doge)코인이 등장했다. 2014년 1월 좀 더 완벽한 보안 전송을 위해 익명성을 강조한 [[대시]]코인을 필두로 한 [[다크코인]]들이 등장했다. 다크코인은 코인의 이름 뒤에 익명성을 상징하는 ‘Dark’를 붙여 익명성을 강조했고 그해 10월 '도지코인다크(DogeCoinDark)'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된 후, 2016년 2월에 리브랜딩되어 '''버지(Verge)'''가 되었다. 저스틴 수네록의 버지코인은 [[비트코인]]의 [[거래]] 속도 문제를 개선하고 [[대시]]코인처럼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자체 [[블록체인]]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ref>코인 매니저,  〈[https://blog.naver.com/yunho85/221198310974 버지 (XVG) - 개념, 가치, 특징]〉,  《네이버 블로그》 , 2018-02-01</ref>
  
 
2018년 4월부터는 미국의 세계적인 포르노 사이트 '[[포르노허브]]'와 제휴를 맺어 해당 [[플랫폼]]에서 버지코인이 사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버지코인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통화의 유통량을 확보하여 [[화폐]]로서의 입지를 꾸준히 잡아갈 것이라고 말한다. 폰허브의 코리 프라이스 부사장은 버지와 제휴를 맺은 건 버지코인이 갖는 익명성 보장과 프라이버시 특징 때문이라고 강조했다.<ref>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804180741557791 美 성인물사이트 ‘폰허브’서 버지코인으로 결제 가능]〉,  《파이낸셜뉴스》 , 2018-04-18</ref>
 
2018년 4월부터는 미국의 세계적인 포르노 사이트 '[[포르노허브]]'와 제휴를 맺어 해당 [[플랫폼]]에서 버지코인이 사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버지코인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통화의 유통량을 확보하여 [[화폐]]로서의 입지를 꾸준히 잡아갈 것이라고 말한다. 폰허브의 코리 프라이스 부사장은 버지와 제휴를 맺은 건 버지코인이 갖는 익명성 보장과 프라이버시 특징 때문이라고 강조했다.<ref>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804180741557791 美 성인물사이트 ‘폰허브’서 버지코인으로 결제 가능]〉,  《파이낸셜뉴스》 , 2018-04-18</ref>
45번째 줄: 45번째 줄:
 
[[레이스 프로토콜]](wraith protocol)은 [[버지]]코인이 다른 [[프라이버시 코인]]보다 앞서 나간다는 것을 증명한다. 완벽한 익명성이 보장되는 이유는 버지가 프라이버시 코인 중 유일하게 레이스 [[프로토콜]]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레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스(wraith)는 유령이란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어 유령처럼 개인정보와 관련된 내용이 사라지도록 한 [[프로토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이스 프로토콜(wraith proto col)은 [[암호화원장]]과 [[일반원장]]의 공존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On기능(개인원장)과 Off기능(공용원장)을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선택권, 유연성 및 확실한 보안을 보장한다. 레이스 프로토콜은 [[스텔스 어드레싱]]을 이용해서 송수신 주소 해독이 불가능한 [[블록체인]] 탐색기를 사용하여 거래를 공개할 수 없으며,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의 IP주소를 완전히 모호화시켜 완벽한 익명성을 보장한다.<ref name="버지 흑서"></ref>
 
[[레이스 프로토콜]](wraith protocol)은 [[버지]]코인이 다른 [[프라이버시 코인]]보다 앞서 나간다는 것을 증명한다. 완벽한 익명성이 보장되는 이유는 버지가 프라이버시 코인 중 유일하게 레이스 [[프로토콜]]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레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스(wraith)는 유령이란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어 유령처럼 개인정보와 관련된 내용이 사라지도록 한 [[프로토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이스 프로토콜(wraith proto col)은 [[암호화원장]]과 [[일반원장]]의 공존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On기능(개인원장)과 Off기능(공용원장)을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선택권, 유연성 및 확실한 보안을 보장한다. 레이스 프로토콜은 [[스텔스 어드레싱]]을 이용해서 송수신 주소 해독이 불가능한 [[블록체인]] 탐색기를 사용하여 거래를 공개할 수 없으며,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의 IP주소를 완전히 모호화시켜 완벽한 익명성을 보장한다.<ref name="버지 흑서"></ref>
  
[[비트코인]]은 전 세계의 범죄조직이나 자금세탁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 장부의 익명화가 필수조건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버지]]코인이 이런 조건을 충족시켜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 향상에 매우 기대되는 [[프라이버시 코인]]으로 인정받는다.
+
[[비트코인]]은 전 세계의 범죄조직이나 자금세탁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 장부의 익명화가 필수조건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버지]]코인이 이런 조건을 충족시켜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 향상에 매우 기대되는 [[다크코인]]으로 인정받는다.
  
 
===멀티 알고리즘===
 
===멀티 알고리즘===
112번째 줄: 112번째 줄:
 
* [[저스틴 수네록 발로]]
 
* [[저스틴 수네록 발로]]
 
* [[도지코인]]
 
* [[도지코인]]
* [[프라이버시 코인]]
+
* [[다크코인]]
 
* [[포르노허브]]
 
* [[포르노허브]]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