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GLE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GLE.jpg|썸네일|300픽셀|'''벤츠 GLE'''(Mercedes-Benz GLE)]]
+
[[파일:GLE.jpg|300픽셀|오른쪽|썸네일|'''GLE''']]
 
[[파일:메르세데스-벤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파일:메르세데스-벤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벤츠 GLE'''(Mercedes-Benz GLE)<!--쥐엘이, GLE-클래스, 지엘이 클래스, GLE 클래스, 벤츠 GLE-->는 독일의 고급 자동차 제조사인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의 준대형 SUV 차량이다. 벤츠 GLE는 '''M클래스'''<!--M 클래스-->라고도 한다. 간략히 '''GLE'''(지엘이) 또는 '''벤츠 M클래스'''(Benz M Class)라고도 한다.
+
'''GLA'''는 독일의 고급 자동차 제조사인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의 준대형 SUV다.
{{:자동차 배너|벤츠}}
 
  
 
== 개요 ==
 
== 개요 ==
메르세데스-벤츠의 GLE는 1997년부터 독일 자동차업체 메르세데스-벤츠가 생산한 중형급 럭셔리 4x4이다. 규모 면에서는 소형 [[GLC]]와 대형 [[GLS]] 사이에 슬롯을 두고 있으며, 후자는 플랫폼을 공유한다. 2012년 말부터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신규 공장에서도 생산되었다. 2015년 4월부터 M클래스가 메르세데스-벤츠 GLE로 명칭이 바뀌었다. 첫 출시 이후 'M클래스' 명명배너에 따랐지만, M3 등 M 모델을 판매하는 BMW는 이후 세 자릿수 엔진 수준으로 'M'이 등급을 내리기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메르세데스-벤츠는 M클래스 우산 아래 'ML' 배지라는 이중층 마케팅 전략을 채택하게 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자체를 포함한 많은 출처에서 시리즈를 "ML클래스"라고 잘못 언급하는 등 이 명칭을 둘러싸고 약간의 혼란이 있었다. 2015년 4월 뉴욕 오토쇼에서 페이스리프트한 W166 3세대 모델이 출시되면서 브랜드가 채택한 개정 명명법에 따라 M클래스 이름을 GLE클래스로 변경했다. 이로써 SUV는 기본 이름인 "GL"을 사용하고, 그 다음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계층 구조에서 배치된다. M클래스 이름을 달고 나온 모델은 초대 모델부터 3세대 전기형 모델까지이다. 'G'는 겔렌데바겐(독일 오프로드 차량용 오프로드 마차)을 위한 것으로, 오랫동안 운행되고 있는 G-바겐을 암시하고 있다. 이어 글자인 "E"와 연동되는 역할을 하는 문자 "L"이 뒤따른다. 즉 GLE는 E-Class에 해당하는 SUV가 되었다.<ref name=WIKIPEDIA>Mercedes-Benz GLE-Class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Mercedes-Benz_GLE-Class#Third_generation_(W166;_2011%E2%80%932019)</ref>
+
메르세데스-벤츠 GLE-클래스는 1997년부터 독일 자동차업체 메르세데스-벤츠가 생산한 중형급 럭셔리 4x4이다. 규모 면에서는 소형 GLC-클래스와 대형 GLS-클래스 사이에 슬롯을 두고 있으며, 후자는 플랫폼을 공유한다. 2012년 말부터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신규 공장에서도 생산되었다. 2015년 04월부터 M클래스가 메르세데스-벤츠 GLE-클래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첫 출시 이후 'M-클래스' 명명배너에 따랐지만, M3 등 M 모델을 판매하는 BMW는 이후 세 자릿수 엔진 수준으로 'M'이 등급을 내리기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메르세데스-벤츠는 M클래스 우산 아래 'ML' 배지라는 이중층 마케팅 전략을 채택하게 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자체를 포함한 많은 출처에서 시리즈를 "ML-클래스"라고 잘못 언급하는 등 이 명칭을 둘러싸고 약간의 혼란이 있었다. 2015년 04월 뉴욕 오토쇼에서 페이스리프트한 W166 3세대 모델이 출시되면서 브랜드가 채택한 개정 명명법에 따라 M-Class 이름을 GLE-Class로 변경했다. 이로써 SUV는 기본 이름인 "GL"을 사용하고, 그 다음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계층 구조에서 배치된다. 'G'는 겔렌데바겐(독일 오프로드 차량용 오프로드 마차)을 위한 것으로, 오랫동안 운행되고 있는 G-바겐을 암시하고 있다. 이어 글자인 "E"와 연동되는 역할을 하는 문자 "L"이 뒤따른다. 즉 GLE는 E-Class에 해당하는 SUV가 되었다.<ref name=WIKIPEDIA>Mercedes-Benz GLE-Class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Mercedes-Benz_GLE-Class#Third_generation_(W166;_2011%E2%80%932019)</ref>
  
== 주요 모델 ==
+
== 역사 ==
 
=== 1세대(W163) ===
 
=== 1세대(W163) ===
[[파일:GLE W163.jpg|썸네일|300픽셀|'''벤츠 GLE W163''']]
+
[[파일:GLE W163.jpg|썸네일|300픽셀|'''GLE W163''']]
  
메르세데스-벤츠는 11년간 생산해온 [[벤츠 G클래스]]를 대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개발 및 생산을 위한 미쓰비시자동차와 공동협약이 1991년 초 체결돼 6월 확정되었다. 먼저, 한 대는 몬테로 파제로 플랫폼에 메르세데스-벤츠이다. 다른 한 대는 미쓰비시를 바탕으로 제작하고자 했지만, 1992년 5월에 이러한 계획은 "기술상의 문제"를 이유로 파기되었다. 하지만, 1993년 1월부터 메르세데스-벤츠는 개발을 계속했다. 그리고, 독일에서의 개발도 계속되었다. 설계 작업은 1992년 말부터 1994년까지 이루어졌다. 메르세데스 신델핑겐 스튜디오의 디자인은 1993년에 선정되었고 1994년 2월에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다. 디자인 특허는 1994년 7월 13일 독일에서, 1995년 1월 13일 미국에서 각각 출원되었다. 시제품의 충돌 테스트는 1995년 2월에 실시되었으며, 1995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세계의 다양한 기후와 지역에서 완전한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그 이후 1996년 5월에 시범 생산이 시작되었다. 1996년 7월 앨라배마주 밴스에 있는 메르세데스-벤츠 미국 인터내셔널 공장 건설은 1997년 2월 09일 조립 라인에서 첫 생산 M클래스가 가동되면서 마무리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1997년 2월 19일 미국에서 1998년 모델 연도를 맞아 1세대 W163 시리즈 M클래스를 출시했으며, 1998년 9월부터 GLE 1세대의 판매를 시작됐다. M클래스는 고급 SUV 최초로 전자식 스태빌리티 컨트롤을 탑재한 것으로, 제어력 상실을 감지하고 선택적 제동에 즉각 개입해 차량을 원래의 코스로 되돌려 놓을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게다가, M-Class는 조수석에 대한 고급 탑승자 감지 기능을 갖춘 정면충돌 에어백과 측면충격 에어백을 자랑했는데, 이것은 보험 산업 충돌 테스트에서 163원을 가장 높은 점수를 받는 데 큰 역할을 했다.
+
메르세데스-벤츠는 11년간 생산해온 G클래스를 대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개발 및 생산을 위한 미쓰비시자동차와 공동협약이 1991년 초 체결돼 06월 확정되었다. 먼저 한 대는 몬테로/파제로 플랫폼에 메르세데스-벤츠로, 다른 한 대는 미쓰비시를 바탕으로 제작하고자 하였으나 1992년 05월에 이러한 계획은 "기술상의 문제"를 이유로 파기되었다. 하지만 1993년 01월부터 메르세데스-벤츠는 개발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독일에서의 개발도 계속되었다. 설계 작업은 1992년 말부터 1994년까지 이루어졌다. 메르세데스 신델핑겐 스튜디오의 디자인은 1993년에 선정되었고 1994년 02월에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다. 디자인 특허는 1994년 07월 13일 독일에서, 1995년 01월 13일 미국에서 각각 출원되었다. 시제품의 충돌 테스트는 1995년 02월에 실시되었으며, 1995년 0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세계의 다양한 기후와 지역에서 완전한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그 이후 1996년 05월에 시범 생산이 시작되었다. 1996년 07월 앨라배마주 밴스에 있는 메르세데스-벤츠 미국 인터내셔널 공장 건설은 1997년 02월 09일 조립 라인에서 첫 생산 M-클래스가 가동되면서 마무리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W163)는 열려 있는 모든 프론트, 센터 및 리어 디퍼렌셜을 통해 토크를 4개 휠 모두에 전달하는 상시 4륜 구동 기능을 탑재했다. 이 시스템은 감속 기어가 장착된 2단 듀얼 레인지 보그워너 4409 트랜스퍼 케이스와 메르세데스의 새로운 4륜 전자식 트랙션 시스템(4-ETS)을 사용했다. 4-ETS는 하나 이상의 회전 휠을 공격적으로 제동함으로써 3개의 오픈 디퍼렌셜에 대한 3개의 디퍼렌셜 록을 시뮬레이션했다. 4륜 전자 견인 시스템은 눈길과 심한 오프로드 이용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미국 앨라배마주 밴스에서 제조된 M클래스는 북미 시장에서 먼저 ML 320으로 출시되었다. "320" 접미사가 3.2리터 V6 엔진에 암시되면서 ML 320은 국제적으로 판매되었다. 1998년 3월부터 2000년까지 유럽에서 2.3리터 인라인-4가 장착된 보급형 수동 변속기 전용 ML 230을 이용할 수 있었다. 1998년 출시 이후 유럽 시장도 2.7리터 인라인 5 터보레이델 엔진을 탑재한 ML 270 CDI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2000년 호주에서 출시되었고, 2005년 W164 M클래스가 출시되면서 교체되기 전까지 163년 계속되었다. 이후, 1998년 새롭게 선보인 메르세데스-벤츠 4.3리터 V8로 더욱 강력한 ML 430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뒤를 이어 1999년 2월 AMG가 제작한 5.4리터 V8 엔진과 변형된 차체 구조, 기타 성능 특징을 갖춘 2000 ML 55 AMG가 공개되었다.
+
메르세데스-벤츠는 1997년 02월 19일 미국에서 1998년 모델 연도를 맞아 1세대 W163 시리즈 M-클래스를 출시했으며, 1998년 09월부터 GLE 1세대의 판매를 시작됐다. M-클래스는 고급 SUV 최초로 전자식 스태빌리티 컨트롤을 탑재한 것으로, 제어력 상실을 감지하고 선택적 제동에 즉각 개입해 차량을 원래의 코스로 되돌려 놓을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게다가, M-Class는 조수석에 대한 고급 탑승자 감지 기능을 갖춘 정면충돌 에어백과 측면충격 에어백을 자랑했는데, 이것은 보험 산업 충돌 테스트에서 163원을 가장 높은 점수를 받는 데 큰 역할을 했다.
 +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W163)는 열려 있는 모든 프론트, 센터 및 리어 디퍼렌셜을 통해 토크를 4개 휠 모두에 전달하는 상시 4륜 구동 기능을 탑재했다. 이 시스템은 감속 기어가 장착된 2단 듀얼 레인지 보그워너 4409 트랜스퍼 케이스와 메르세데스의 새로운 4륜 전자식 트랙션 시스템(4-ETS)을 사용했다. 4-ETS는 하나 이상의 회전 휠을 공격적으로 제동함으로써 3개의 오픈 디퍼렌셜에 대한 3개의 디퍼렌셜 록을 시뮬레이션했다.
 +
 
 +
4륜 전자 견인 시스템은 눈길과 심한 오프로드 이용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고 한다.
 +
 
 +
미국 앨라배마주 밴스에서 제조된 M-클래스는 북미 시장에서 먼저 ML 320으로 출시됐다. "320" 접미사가 3.2리터 V6 엔진에 암시되면서 ML 320은 국제적으로 판매되었다. 1998년 03월부터 2000년까지 유럽에서 2.3리터 인라인-4가 장착된 보급형 수동 변속기 전용 ML 230을 이용할 수 있었다. 1998년 출시 이후 유럽 시장도 2.7리터 인라인 5 터보레이델 엔진을 탑재한 ML 270 CDI를 공개했다. 이 모델은 2000년 호주에서 출시되었고, 2005년 W164 M-클래스가 출시되면서 교체되기 전까지 163년 계속되었다.
 +
 
 +
이후 1998년 새롭게 선보인 메르세데스-벤츠 4.3리터 V8로 더욱 강력한 ML 430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뒤를 이어 1999년 02월 AMG가 제작한 5.4리터 V8 엔진과 변형된 차체 구조, 기타 성능 특징을 갖춘 2000 ML 55 AMG가 공개되었다.
  
 
* '''페이스리프트 모델'''
 
* '''페이스리프트 모델'''
20번째 줄: 27번째 줄:
  
 
=== 2세대(W164) ===
 
=== 2세대(W164) ===
[[파일:GLE W164.jpg|썸네일|300픽셀|'''벤츠 GLE W164''']]
+
[[파일:GLE W164.jpg|썸네일|300픽셀|'''GLE W164''']]
  
1999년 벤츠 GLE 2세대에 대한 개발은 "W164"라는 이름으로 6년동안 이루어졌다. 2000년 규모 1:4의 첫 생산 모델로 첫 디자인 초안이 등장했고, 2001년에는 3개의 풀사이즈 버전이 설계되었다. 디자인 특허는 2003년 6월 10일에 독일에서, 미국에서는 2003년 7월 25일에 출원되었다. 프로토타입 시험은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2005년 초에 마무리되었다. 새롭게 디자인된 M클래스는 2015년 1월 북미국제오토쇼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후 2005년 4월 2006년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 기존의 1세대 GLE보다 전장이 150mm 더 길고 전고는 5mm 더 낮게 전폭은 71mm 더 크게 제작되었다. M클래스 2세대는 2006년 올해의 캐나다 자동차 시상식에서 "Best New Sport Utility Vehicle"로 선정되었다. 신형 M클래스에 사용된 W164 플랫폼은 신형 GL클래스와 공유한다.  
+
1999년, GLE 2세대에 대한 개발은 "W164"라는 이름으로 6년동안 이루어졌다. 2000년 규모 1:4의 첫 생산 모델로 첫 디자인 초안이 등장했고, 2001년에는 3개의 풀사이즈 버전이 설계되었다. 디자인 특허는 2003년 06월 10일에 독일에서, 미국에서는 2003년 07월 25일에 출원되었다. 프로토타입 시험은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2005년 초에 마무리되었다. 새롭게 디자인된 M클래스는 2015년 01월 북미국제오토쇼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후 2005년 04월 2006년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다. 기존의 1세대 GLE보다 전장이 150mm 더 길고 전고는 5mm 더 낮게 전폭은 71mm 더 크게 제작되었다. M-클래스 2세대는 2006년 올해의 캐나다 자동차 시상식에서 "Best New Sport Utility Vehicle"로 선정되었다. 신형 M-클래스에 사용된 W164 플랫폼은 신형 GL-클래스와 공유한다.  
  
2006년 M클래스의 새로운 특징으로는 7G-트론 7단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로에 "스티어"가 있는 액티브 커브-조명식 바이-제논 헤드라이트, 조절 가능한 높이 에어 서스펜션 등이 있으며 수동변속기는 단종되었다. 상시 4륜 구동은 1단 트랜스퍼 케이스(4-ETS), 중앙 제한 미끄럼 미끄럼 디퍼렌셜 및 4륜 전자식 트랙션 시스템(4-ETS)으로 유지되었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앙 및 후방 디퍼렌셜 록이 장착된 오프로드 프로 패키지, 4-ETS, 감소 기어가 장착된 2단 트랜스퍼 케이스, 조정 가능한 지상고를 원래의 포딩 깊이를 500mm에서 600mm로 늘리는 옵션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GLE 2세대의 AMG 버전인 ML 63 AMG는 2006년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한정판 2007 모델로 소개되었다. 독일에서 수공예로 제작된 510 PS(375kW)와 465lbft(630N⋅m)를 생산하는 6.2L M156 V8 엔진이 특징이다. 엔진은 AMG Speedshift 7G-Tranic 7단 자동 변속기에 추가된다. 2006 ML 63 AMG는 96km/h(0–60mph)에서 4.8초 만에, 또는 100km/h(0–62mph)에서 5.0초 만에 가속할 수 있다.<ref name=WIKIPEDIA></ref>
+
2006년 M-클래스의 새로운 특징으로는 7G-트론 7단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로에 "스티어"가 있는 액티브 커브-조명식 바이-제논 헤드라이트, 조절 가능한 높이 에어 서스펜션 등이 있으며 수동변속기는 단종되었다. 상시 4륜 구동은 1단 트랜스퍼 케이스(4-ETS), 중앙 제한 미끄럼 미끄럼 디퍼렌셜 및 4륜 전자식 트랙션 시스템(4-ETS)으로 유지되었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앙 및 후방 디퍼렌셜 록이 장착된 오프로드 프로 패키지, 4-ETS, 감소 기어가 장착된 2단 트랜스퍼 케이스, 조정 가능한 지상고를 원래의 포딩 깊이를 500mm에서 600mm로 늘리는 옵션으로 이용할 수 있다.
 +
 
 +
그리고 GLE 2세대의 AMG 버전인 ML 63 AMG는 2006년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한정판 2007 모델로 소개되었다. 독일에서 수공예로 제작된 510 PS(375kW)와 465lbft(630N⋅m)를 생산하는 6.2L M156 V8 엔진이 특징이다. 엔진은 AMG Speedshift 7G-Tranic 7단 자동 변속기에 추가된다. 2006 ML 63 AMG는 96km/h(0–60mph)에서 4.8초 만에, 또는 100km/h(0–62mph)에서 5.0초 만에 가속할 수 있다.<ref name=WIKIPEDIA></ref>
  
 
* '''페이스리프트 모델'''
 
* '''페이스리프트 모델'''
: 2009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는 2008년 3월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데뷔하면서 마이너 페이스리프트를 받았다. 이 페이스리프트에는 새로운 전면 헤드라이트, 재설계된 전면 및 후면 범퍼, 새로운 외부 미러, 새로운 림 선택, 더 큰 전면 그릴, 다시 정렬된 내부 및 새로운 ML 420 CDI 엔진 선택이 포함된다. ML 280 CDI는 ML 300 CDI가 되었고, 320 CDI는 350 CDI가 되었으며, 420 CDI는 450 CDI가 되었다. 요소주입이 있는 블루텍 디젤엔진을 사용한 모델은 2008년과 2009년식부터 도입되었다. 2009년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메르세데스-벤츠는 2009년 4월 08일 발표된 ML 450 하이브리드 SUV를 선보였다. ML 450 하이브리드는 V8 모델에서 발생하는 전력의 90% 이상을 생산하지만 ML 550보다 연료 소비량이 거의 50% 가량 감소했다. 총 발생 전력은 335hp(250kW)와 381lbft(517N³)의 토크로, 24mpg를 얻는다. 2011년에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주력 SUV 모델인 메르세데스-벤츠 M 블루텍 그랜드 에디션(BlueTec Grand Edition)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특수 제작된 22인치 10 스포크 휠, 흰색 스티칭이 달린 검은색 가죽, 그랜드 에디션 모델링을 적용한 흡연자 패키지 등이 탑재되었다. 그리고 그랜드 에디션은 미드나잇 블루, 블랙, 아이보리 화이트로 제공돼 이미 기본 모델을 컬러별로 차별화했다. 내부는 열선내장 스티어링 휠을 삭제하고 AMG 스티어링 휠로 교체하는 등의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ref name=WIKIPEDIA></ref>
+
: 2009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는 2008년 03월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데뷔하면서 마이너 페이스리프트를 받았다.
 +
 
 +
: 이 페이스리프트에는 새로운 전면 헤드라이트, 재설계된 전면 및 후면 범퍼, 새로운 외부 미러, 새로운 림 선택, 더 큰 전면 그릴, 다시 정렬된 내부 및 새로운 ML 420 CDI 엔진 선택이 포함된다. ML 280 CDI는 ML 300 CDI가 되었고, 320 CDI는 350 CDI가 되었으며, 420 CDI는 450 CDI가 되었다.
 +
 
 +
: 요소주입이 있는 블루텍 디젤엔진을 사용한 모델은 2008년 2009년식부터 도입됐다.
 +
 
 +
: 2009년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메르세데스-벤츠는 2009년 04월 08일 발표된 ML 450 하이브리드 SUV를 선보였다. ML 450 하이브리드는 V8 모델에서 발생하는 전력의 90% 이상을 생산하지만 ML 550보다 연료 소비량이 거의 50% 가량 감소했다. 총 발생 전력은 335hp(250kW)와 381lbft(517N³)의 토크로, 24mpg를 얻는다.  
 +
 
 +
: 2011년에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주력 SUV 모델인 메르세데스-벤츠 M 블루텍 그랜드 에디션(BlueTec Grand Edition)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특수 제작된 22인치 10 스포크 휠, 흰색 스티칭이 달린 검은색 가죽, 그랜드 에디션 모델링을 적용한 흡연자 패키지 등이 탑재되었다. 그리고 그랜드 에디션은 미드나잇 블루, 블랙, 아이보리 화이트로 제공돼 이미 기본 모델을 컬러별로 차별화했다. 내부는 열선내장 스티어링 휠을 삭제하고 AMG 스티어링 휠로 교체하는 등의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다.<ref name=WIKIPEDIA></ref>
  
 
=== 3세대(W166) ===
 
=== 3세대(W166) ===
[[파일:GLE W166.jpg|썸네일|300픽셀|'''벤츠 GLE W166''']]
+
[[파일:GLE W166.jpg|썸네일|300픽셀|'''GLE W166''']]
  
2006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이전 모델보다 기간이 짧은 5년에 걸쳐 개발되었다. 2008년 에미엘 부르키(Emiel Burki)의 최종 디자인은 2008년 12월 16일에 국내에서 승인 및 특허를 받았다. 이후 첫 번째 고객이 지정한 W166은 7월 20일에 처음으로 출시되었다. 2012 M-Class의 새로운 기능으로는 연비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된 7G-Tronic Plus 7단 자동 변속기, 옵션 사양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디스트로닉 플러스), 액티브 레인 이탈 경고 시스템, 조절 가능한 높이 에어 서스펜션(AirMatic) 등이 있다. 차체 롤링 보정을 위한 액티브 곡선 시스템(Active Curve System)이 도입되었다. 다임러크라이슬러는 크라이슬러의 강력한 SUV 판매와 국내 R&D의 혜택을 받아 핵심 플랫폼과 기술을 개발했다. 기반 플랫폼 작업은 두 회사가 분리되면서 2006년에 대부분 완료되었다. 크라이슬러는 같은 플랫폼을 이용해 지프 그랜드 체로키(WK2)와 닷지 듀랑고에 전력을 공급한다. 하지만 전 모델들의 엔진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와 차체 디자인 면에서 매우 다르다. 엔진 외에도, 세 개의 SUV는 일부 변속기를 포함하여 많은 파워트레인 구성 요소를 공유한다.
+
2006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이전 모델보다 기간이 짧은 5년에 걸쳐 개발되었다. 2008년 에미엘 부르키(Emiel Burki)의 최종 디자인은 2008년 12월 16일에 국내에서 승인 및 특허를 받았다. 이후 첫 번째 고객이 지정한 W166은 07월 20일에 처음으로 출시되었다.
  
온앤오프 로드 패키지(On&Off Road Package)는 2013MY를 기준으로 대부분의 국제시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 패키지에는 센터 디퍼렌셜 록, 감속 기어링, 차체 하부 스키드 플레이트, 6-모드 선택 가능한 터레인 드라이빙 프로그램 시스템이 탑재된 2단 듀얼 레인지 Magna 파워트레인 트랜스퍼 케이스가 추가됐다. 리어 디퍼렌셜 록이 단종되었다. 메르세데스 M클래스는 '럭셔리 크로스오버 SUV'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캘리포니아 소재 자동차 연구 및 컨설팅 회사인 오토퍼시픽이 실시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자동차로 선정되었다. 이후 2015년 하반기에는 전면부를 가린 W166이 쿠페 버전과 함께 GLE로 출시되었다.<ref name=WIKIPEDIA></ref>
+
2012 M-Class의 새로운 기능으로는 연비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된 7G-Tronic Plus 7단 자동 변속기, 옵션 사양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디스트로닉 플러스), 액티브 레인 이탈 경고 시스템, 조절 가능한 높이 에어 서스펜션(AirMatic) 등이 있다. 차체 롤링 보정을 위한 액티브 곡선 시스템(Active Curve System)이 도입되었다.
  
=== 4세대(V167) ===
+
다임러크라이슬러는 크라이슬러의 강력한 SUV 판매와 국내 R&D의 혜택을 받아 핵심 플랫폼과 기술을 개발했다. 기반 플랫폼 작업은 두 회사가 분리되면서 2006년에 대부분 완료되었다. 크라이슬러는 같은 플랫폼을 이용해 지프 그랜드 체로키(WK2)와 닷지 듀랑고에 전력을 공급한다. 하지만 전 모델들의 엔진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와 차체 디자인 면에서 매우 다르다. 엔진 외에도, 세 개의 SUV는 일부 변속기를 포함하여 많은 파워트레인 구성 요소를 공유한다.
[[파일:GLE 4세대.png|썸네일|300픽셀|'''벤츠 더 뉴 GLE 쿠페 4세대''']]
 
  
벤츠 더 뉴 GLE 쿠페는 오프로드 차량의 역동성과 쿠페 감성을 자극하는 스포티함과 우아함이 조화를 이룬다. 다이아몬드 라디에이터 그릴과 싱글 루브르가 적용된 더 뉴 GLE 쿠페의 전면 디자인은 메르세데스-벤츠 쿠페 라인업과 유사한 모습인 반면 유광 크롬이 적용된 언더가드를 장착한 전면 에이프런은 SUV의 특성을 갖고 있다. C필러 하단에 돌출된 근육질 표면은 더 뉴 GLE 쿠페 특유의 강력한 외관을 완성함으로써 도로위에서의 존재감을 부각시킨다. 현대적인 감각의 고급스러움을 구현한 실내에는12.3 인치 대형 스크린 2개를 갖춘 와이드스크린 콕핏과 도어 트림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계기반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측면 지지가 확고한 스포츠 시트와 나파 가죽으로 마감된 새로운 스포츠 스티어링 휠로 스포티한 감성을 한층 더 강조한다. 또한, 이전 모델보다 20mm 길어진 휠 베이스를 기반으로 탑승자에게 더 여유 있는 레그룸을 제공하며 훨씬 더 편안한 실내 공간을 조성한다.<ref>우정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55126625871912&mediaCodeNo=257&OutLnkChk=Y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GLB·GLA·GLE 쿠페 등 SUV 3종 공개]〉, 《이데일리》, 2020-08-28</ref>
+
On&Off Road Package는 2013MY를 기준으로 대부분의 국제시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 패키지에는 센터 디퍼렌셜 록, 감속 기어링, 차체 하부 스키드 플레이트, 6-모드 선택 가능한 터레인 드라이빙 프로그램 시스템이 탑재된 2단 듀얼 레인지 Magna 파워트레인 트랜스퍼 케이스가 추가됐다. 리어 디퍼렌셜 록이 단종되었다.
  
차체 전면은 팔각형 수직 라디에이터 그릴과 2개의 파워돔을 갖춘 크롬 도금 언더가드 및 보닛이다. 측면 부분은 특유의 넓은 C필러로 안정감을 주었고, 후미등으로 이어지는 근육형 숄더 라인 디자인이다. 개별 조절 가능한 84개의 LED를 끼운 적응형 멀티빔 LED 헤드램프는 교통상황에 따라 반응하여 운전자 시야 확보와 반대편 차의 눈부심을 방지한다. 구형보다 80㎜ 긴 휠베이스를 사용하여 실내공간도 더욱 넓어졌다. 대시보드 아래에는 스포티한 콕핏을 위치시켰으며, 두 개의 12.3인치 디스플레이는 직관적인 컨트롤 시스템과 그래픽을 적용했다. 또한, 64개 색상의 엠비언트 라이트를 통하여 운전자의 취향이나 기분에 맞게 실내조명을 고를 수도 있다.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MBUX'도 국내에서는 최초로 적용되었다. 지능형 음성 컨트롤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명령어로 시스템을 활성화한 후에 자연어 음성인식 기능을 통하여 실내 온도와 조명 조절, 전화 걸기 및 받기, 라디오 음악 재생, 문자전송 등의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날씨 등의 정보도 검색해 운전자에게 알려주고, GLE450 사륜구동에는 직렬 6기통 3.0L 트윈 터보 가솔린 엔진을 탑재해 최고 367마력, 최대 51.0㎏·m의 성능을 자랑한다.<ref>오아름 기자,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mode=sub_view&nkey=201909030843361 벤츠코리아, 4세대 GLE 출시]〉, 《오토타임즈》, 2019-09-03</ref>
+
메르세데스 M-클래스는 '럭셔리 크로스오버 SUV'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캘리포니아 소재 자동차 연구 컨설팅 회사인 오토퍼시픽이 실시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자동차로 선정되었다. 이후 2015년 하반기에는 전면부를 가린 W166이 쿠페 버전과 함께 GLE로 출시되었다.<ref name=WIKIPEDIA></ref>
  
 
== 특징 ==
 
== 특징 ==
 
=== 디자인 ===
 
=== 디자인 ===
벤츠 GLE의 선택사양으로 제공되는 AMG Line이 고급스러운 [[다이아몬드 그릴]]을 더욱 빛나게 힌다. 역동적인 스커트 전체, 더욱 커진 에어 인테이크, 도장된 휠 하우스 패널과 특수 경량 알로이 휠에서 스포티한 스타일을 선보인다. 차체의 전면부에 탑재된 GLE의 헤드램프에는 현대적인 LED 기술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메르세데스-벤츠의 디자이너는 독특한 라이트 디자인과 자연광과 유사한, 그래서 더욱 편안한 라이트 컬러를 구현해냈다. 84개의 개별 제어 가능한 LED는 주행 상황에 따라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주행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차량의 후면부는 C 필러와 후미등 사이에 매끄러우면서도 강력한 인상을 강조했다. 명확함과 역동성은 현대적인 메르세데스-벤츠 디자인의 전형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이외로는 최대 21인치 크기의 휠을 탑재하여 차분하면서도 우아함과 강력하면서도 고급스러움에 이르는 다양한 디자인을 추구한다.<ref name=Mercedes-Benz>Mercedes-Benz Brandmark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ercedes-benz-africa.com/en/passengercars.html?group=all&subgroup=see-all&view=BODYTYPE</ref>  
+
GLE의 선택사양으로 제공되는 AMG Line이 고급스러운 다이아몬드 그릴을 더욱 빛나게 힌다. 역동적인 스커트 전체, 더욱 커진 에어 인테이크, 도장된 휠 하우스 패널과 특수 경량 알로이 휠에서 스포티한 스타일을 선보인다. 차체의 전면부에 탑재된 GLE의 헤드램프에는 현대적인 LED 기술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메르세데스-벤츠의 디자이너는 독특한 라이트 디자인과 자연광과 유사한, 그래서 더욱 편안한 라이트 컬러를 구현해냈다. 84개의 개별 제어 가능한 LED는 주행 상황에 따라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주행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차량의 후면부는 C 필러와 후미등 사이에 매끄러우면서도 강력한 인상을 강조했다. 명확함과 역동성은 현대적인 메르세데스-벤츠 디자인의 전형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이외로는 최대 21인치 크기의 휠을 탑재하여 차분하면서도 우아함과 강력하면서도 고급스러움에 이르는 다양한 디자인을 추구한다.<ref name=Mercedes-Benz>Mercedes-Benz Brandmark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ercedes-benz-africa.com/en/passengercars.html?group=all&subgroup=see-all&view=BODYTYPE</ref>  
  
 
=== 편의사항 ===
 
=== 편의사항 ===
54번째 줄: 70번째 줄:
 
: 와이드 스크린 콕핏의 디자인과 분위기를 개인이 기호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클래식, 스포츠, 프로그레시브, 디센트 총 네 개의 표시창 디자인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ref name=Mercedes-Benz></ref>   
 
: 와이드 스크린 콕핏의 디자인과 분위기를 개인이 기호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클래식, 스포츠, 프로그레시브, 디센트 총 네 개의 표시창 디자인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ref name=Mercedes-Benz></ref>   
  
* '''MBUX 내비게이션'''
+
* '''MBUX 네비게이션'''
: 복잡한 교통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MBUX 내비게이션이 가상 영상을 실제와 연결한다. 이 기술을 통해 내비게이션 그래픽과 라이브 교통 정보 영상이 구현되어, 편안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안내한다.<ref name=Mercedes-Benz></ref>   
+
: 복잡한 교통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MBUX 네비게이션이 가상 영상을 실제와 연결한다. 이 기술을 통해 네비게이션 그래픽과 라이브 교통 정보 영상이 구현되어, 편안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안내한다.<ref name=Mercedes-Benz></ref>   
  
 
* '''음성 조작 기능'''
 
* '''음성 조작 기능'''
116번째 줄: 132번째 줄:
  
 
==제원==
 
==제원==
:{|class=wikitable width=1100
+
:{|class=wikitable width=900
 
|+<big>'''벤츠 GLE 쿠페'''</big>
 
|+<big>'''벤츠 GLE 쿠페'''</big>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GLE 350d<br>(2015 년형)
+
!align=center|GLE 350d (2015 년형)
!align=center|GLE 400<br>(2015 년형)
+
!align=center|GLE 400 (2015 년형)
!align=center|GLE 450<br>(2015 년형)
+
!align=center|GLE 450 (2015 년형)
!align=center|GLE 350d<br>(2016 년형)
+
!align=center|GLE 350d (2016 년형)
!align=center|GLE 350d<br>(2017 년형)
+
!align=center|GLE 350d (2017 년형)
!align=center|GLE 350d<br>(2019 년형)
+
!align=center|GLE 350d (2019 년형)
!align=center|GLE 400d<br>(2019 년형)
+
!align=center|GLE 400d (2019 년형)
!align=center|GLE 400d 4MATIC<br>(2020 년형)
+
!align=center|GLE 400d 4MATIC (2020 년형)
 
|-
 
|-
 
|align=center|출시가
 
|align=center|출시가
139번째 줄: 155번째 줄:
 
|-
 
|-
 
|align=center|승차인원
 
|align=center|승차인원
|align=center colspan=8|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align=center|5인승
 
|-
 
|-
 
|align=center|엔진형식
 
|align=center|엔진형식
|align=center colspan=3|V6 직분사
+
|align=center|V6 직분사
|align=center colspan=4|V6
+
|align=center|V6 직분사
 +
|align=center|V6 직분사
 +
|align=center|V6
 +
|align=center|V6
 +
|align=center|V6
 +
|align=center|V6
 
|align=center|16
 
|align=center|16
 
|-
 
|-
 
|align=center|과급방식
 
|align=center|과급방식
 
|align=center|싱글 터보
 
|align=center|싱글 터보
|align=center colspan=2|트윈 터보
+
|align=center|트윈 터보
|align=center colspan=5|싱글 터보
+
|align=center|트윈 터보
 +
|align=center|싱글 터보
 +
|align=center|싱글 터보
 +
|align=center|싱글 터보
 +
|align=center|싱글 터보
 +
|align=center|싱글 터보
 
|-
 
|-
 
|align=center|배기량(cc)
 
|align=center|배기량(cc)
 
|align=center|2,987
 
|align=center|2,987
|align=center colspan=2|2,996
+
|align=center|2,996
|align=center colspan=2|2,987
+
|align=center|2,996
|align=center colspan=2| -
+
|align=center|2,987
 +
|align=center|2,987
 +
|align=center|
 +
|align=center|
 
|align=center|2,925
 
|align=center|2,925
 
|-
 
|-
 
|align=center|연료
 
|align=center|연료
 
|align=center|디젤
 
|align=center|디젤
|align=center colspan=2|가솔린
+
|align=center|가솔린
|align=center colspan=3|디젤
+
|align=center|가솔린
|align=center| -
+
|align=center|디젤
 +
|align=center|디젤
 +
|align=center|디젤
 +
|align=center|
 
|align=center|디젤
 
|align=center|디젤
 
|-
 
|-
169번째 줄: 208번째 줄:
 
|align=center|토크컨버터 8.7/100
 
|align=center|토크컨버터 8.7/100
 
|align=center|토크컨버터 8.9/100
 
|align=center|토크컨버터 8.9/100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자동 10.1 (4등급)
 
|align=center|자동 10.1 (4등급)
 
|align=center|자동 8.0/100
 
|align=center|자동 8.0/100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자동 10.5 (4등급)
 
|align=center|자동 10.5 (4등급)
 
|-
 
|-
 
|align=center|구동방식
 
|align=center|구동방식
|align=center colspan=8|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align=center|풀타임 4륜구동
 
|-
 
|-
 
|align=center|변속기
 
|align=center|변속기
182번째 줄: 228번째 줄:
 
|align=center|토크컨버터 7단
 
|align=center|토크컨버터 7단
 
|align=center|토크컨버터 9단
 
|align=center|토크컨버터 9단
|align=center colspan=5|자동 9단
+
|align=center|자동 9단
 +
|align=center|자동 9단
 +
|align=center|자동 9단
 +
|align=center|자동 9단
 +
|align=center|자동 9단
 
|-
 
|-
 
|align=center|최대출력(hp)
 
|align=center|최대출력(hp)
188번째 줄: 238번째 줄:
 
|align=center|333
 
|align=center|333
 
|align=center|367
 
|align=center|367
|align=center colspan=2|258
+
|align=center|258
 +
|align=center|258
 
|align=center|272
 
|align=center|272
|align=center colspan=2|330
+
|align=center|330
 +
|align=center|330
 
|-
 
|-
 
|align=center|최대토크(kg.m)
 
|align=center|최대토크(kg.m)
196번째 줄: 248번째 줄:
 
|align=center|49.0
 
|align=center|49.0
 
|align=center|53.0
 
|align=center|53.0
|align=center colspan=2|63.2
+
|align=center|63.2
 +
|align=center|63.2
 
|align=center|61.2
 
|align=center|61.2
 
|align=center|78.5
 
|align=center|78.5
202번째 줄: 255번째 줄:
 
|-
 
|-
 
|align=center|최고속도(km/h)
 
|align=center|최고속도(km/h)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247
 
|align=center|247
 
|align=center|250
 
|align=center|250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226
 
|align=center|226
|align=center colspan=2| -
+
|align=center|
 +
|align=center|
 
|align=center|240
 
|align=center|240
 
|-
 
|-
 
|align=center|가속성능(초)
 
|align=center|가속성능(초)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5.9
 
|align=center|5.9
 
|align=center|5.7
 
|align=center|5.7
|align=center colspan=2|7.0
+
|align=center|7.0
|align=center colspan=2| -
+
|align=center|7.0
 +
|align=center|
 +
|align=center|
 
|align=center|5.7
 
|align=center|5.7
 
|-
 
|-
 
|align=center|공차중량(kg)
 
|align=center|공차중량(kg)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2,130
 
|align=center|2,130
 
|align=center|2,180
 
|align=center|2,180
|align=center colspan=2|2,405
+
|align=center|2,405
|align=center colspan=2| -
+
|align=center|2,405
 +
|align=center|
 +
|align=center|
 
|align=center|2,455
 
|align=center|2,455
 
|-
 
|-
|align=center|이산화탄소<br>배출량(g/km)
+
|align=center|이산화탄소 배출량(g/km)
 
|align=center|169.0
 
|align=center|169.0
 
|align=center|199.0
 
|align=center|199.0
 
|align=center|209.0
 
|align=center|209.0
|align=center| -
+
|align=center|
 
|align=center|193.0
 
|align=center|193.0
 
|align=center|211.0
 
|align=center|211.0
237번째 줄: 295번째 줄:
 
|-
 
|-
 
|align=center|스티어링
 
|align=center|스티어링
|align=center colspan=8|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
|align=center|랙 앤 피니언
 
|}<ref>2020 벤츠 GLE 쿠페 네이버 자동차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41685</ref>
 
|}<ref>2020 벤츠 GLE 쿠페 네이버 자동차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41685</ref>
  
 
== 현황 ==
 
== 현황 ==
2020년 8월 27일,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SUV 신차 3종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GLB·GLA·GLE 쿠페를 벤츠 코리아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이로써 기존 라인업에 없던 더 뉴 GLB와 2세대 완전 변경 모델 더 뉴 GLA, 더 뉴 GLE 쿠페의 출시로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9종의 SUV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특히 더 뉴 GLE 쿠페는 쿠페의 세련된 디자인, 그리고 GLE의 강력한 파워와 실용성이 조화를 이루며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마크 레인 제품 & 마케팅 부문 총괄 부사장인 마크 레인은 "더 뉴 GLE는 야수로 불리기에 충분하다”며 “완벽한 비율과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하는 매력적인 외관과 강력하고 다이내믹한 퍼포먼스는 도로 위에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뽐낸다"라고 말했다. 또한 "오늘 선보인 메르세데스-벤츠의 럭셔리 SUV 패밀리는 라이프 스타일 아이템"이라며 "앞으로도 점점 세분화 돼가는 시장의 요구 사항을 전략적으로 분석해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최고의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f>박주연 기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827_0001144363&cID=13001&pID=13000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GLB·GLA·GLE 쿠페 등 SUV 3종 공개]〉, 《뉴시스》, 2020-08-27</ref>
+
2020년 08월 27일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SUV 신차 3종 더 뉴 메르세데스-벤츠 GLB·GLA·GLE 쿠페를 벤츠 코리아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이로써 기존 라인업에 없던 더 뉴 GLB와 2세대 완전 변경 모델 더 뉴 GLA, 더 뉴 GLE 쿠페의 출시로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9종의 SUV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특히 더 뉴 GLE 쿠페는 쿠페의 세련된 디자인, 그리고 GLE의 강력한 파워와 실용성이 조화를 이루며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
 
 +
더 뉴 GLE 쿠페는 오프로드 차량의 역동성과 쿠페 감성을 자극하는 스포티함과 우아함이 조화를 이룬다. 다이아몬드 라디에이터 그릴과 싱글 루브르가 적용된 더 뉴 GLE 쿠페의 전면 디자인은 메르세데스-벤츠 쿠페 라인업과 유사한 모습인 반면 유광 크롬이 적용된 언더가드를 장착한 전면 에이프런은 SUV의 특성을 갖고 있다. C필러 하단에 돌출된 근육질 표면은 더 뉴 GLE 쿠페 특유의 강력한 외관을 완성함으로써 도로위에서의 존재감을 부각시킨다. 현대적인 감각의 고급스러움을 구현한 실내에는12.3 인치 대형 스크린 2개를 갖춘 와이드스크린 콕핏과 도어 트림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계기반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측면 지지가 확고한 스포츠 시트와 나파 가죽으로 마감된 새로운 스포츠 스티어링 휠로 스포티한 감성을 한층 더 강조한다. 또한, 이전 모델보다 20mm 길어진 휠 베이스를 기반으로 탑승자에게 더 여유 있는 레그룸을 제공하며 훨씬 더 편안한 실내 공간을 조성한다.
 +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마크 레인 제품 & 마케팅 부문 총괄 부사장인 마크 레인은 "더 뉴 GLE는 야수로 불리기에 충분하다”며 “완벽한 비율과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하는 매력적인 외관과 강력하고 다이내믹한 퍼포먼스는 도로 위에서 압도적인 존재감을 뽐낸다"라고 말했다. 또한 "오늘 선보인 메르세데스-벤츠의 럭셔리 SUV 패밀리는 라이프 스타일 아이템"이라며 "앞으로도 점점 세분화 돼가는 시장의 요구 사항을 전략적으로 분석해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최고의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f>박주연 기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827_0001144363&cID=13001&pID=13000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GLB·GLA·GLE 쿠페 등 SUV 3종 공개]〉, 《뉴시스》, 2020-08-27</ref><ref>우정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55126625871912&mediaCodeNo=257&OutLnkChk=Y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GLB·GLA·GLE 쿠페 등 SUV 3종 공개]〉, 《이데일리》, 2020-08-28</ref>
  
== 논란 ==
+
2020년 11월 25일 국토교통부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르노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대전기계공업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19개 차종 16만 3843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리콜조치를 요구했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GLE 450 4MATIC’ 등 8개 차종 5245대는 뒷좌석 중앙 안전띠의 버클이 좌석의 틈새로 들어가 안전띠 착용이 불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을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황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대응방안이 어떻게 이루어질지 대중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ref>김상우 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1125010006497 투싼-스팅어-SM3-볼트 EV-GLE 450 등 19개 차량 16만대 리콜]〉, 《브릿지경제》, 2020-11-25</ref>
2020년 11월 25일, 국토교통부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르노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대전기계공업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19개 차종 16만 3843대에서 결함이 발견돼 [[리콜]] 조치를 요구했다. 이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GLE 450 4MATIC’ 등 8개 차종 5245대는 뒷좌석 중앙 안전띠의 버클이 좌석의 틈새로 들어가 안전띠 착용이 불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을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황에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대응방안이 어떻게 이루어질지 대중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ref>김상우 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1125010006497 투싼-스팅어-SM3-볼트 EV-GLE 450 등 19개 차량 16만대 리콜]〉, 《브릿지경제》, 2020-11-25</ref>
 
  
 
{{각주}}
 
{{각주}}
258번째 줄: 326번째 줄:
 
* 우정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55126625871912&mediaCodeNo=257&OutLnkChk=Y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GLB·GLA·GLE 쿠페 등 SUV 3종 공개]〉, 《이데일리》, 2020-08-28
 
* 우정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55126625871912&mediaCodeNo=257&OutLnkChk=Y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GLB·GLA·GLE 쿠페 등 SUV 3종 공개]〉, 《이데일리》, 2020-08-28
 
* 김상우 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1125010006497 투싼-스팅어-SM3-볼트 EV-GLE 450 등 19개 차량 16만대 리콜]〉, 《브릿지경제》, 2020-11-25
 
* 김상우 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01125010006497 투싼-스팅어-SM3-볼트 EV-GLE 450 등 19개 차량 16만대 리콜]〉, 《브릿지경제》, 2020-11-25
* 오아름 기자,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mode=sub_view&nkey=201909030843361 벤츠코리아, 4세대 GLE 출시]〉, 《오토타임즈》, 2019-09-03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메르세데스-벤츠]]
 
* [[메르세데스-벤츠]]
* [[벤츠 E클래스]]
 
* [[SUV]]
 
  
{{독일 자동차|검토 필요}}
+
{{로고 수정 필요}}
 +
{{자동차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