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번째 줄: 26번째 줄:
 
== 주요 제품 ==
 
== 주요 제품 ==
 
=== 프리(FREE) ===
 
=== 프리(FREE) ===
[[파일:보야 프리.png|썸네일|300픽셀|'''[[보야 프리]]'''(Voyah Free)]]
+
[[파일:보야 프리.png|썸네일|300픽셀|보야 프리(FREE)]]
 +
보야프리는 2020년 베이징모터쇼에서 처음 콘셉트카로 선보인 뒤 중국 시장에 출시된 전기 SUV다.
  
'''[[보야 프리]]'''(Voyah Free)는 2020년 베이징모터쇼에서 처음 콘셉트카로 선보인 뒤 중국 시장에 출시된 전기 SUV이다. 2021년 8월 첫 번째 모델을 중국시장에 출시해 연말까지 6,791대를 판매했다. [[동펑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 시큐어 아키텍처 플랫폼을 활용해 만들어졌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순수 전기차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되었다. 순수 전기차 모델의 경우 NEDC 기준 500km 주행이 가능하다.  
+
2021년 8월 첫 번째 모델을 중국시장에 출시해 연말까지 6,791대를 판매했다. 둥펑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 시큐어 아키텍처 플랫폼을 활용해 만들어졌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순수 전기차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되었다. 순수 전기차 모델의 경우 NEDC 기준 500km 주행이 가능하다.  
  
보야 프리는 성능도 꽤 높은 편이다. 순수 전기차 후륜구동 모델은 347마력, 53.0kg.m, AWD 모델은 693마력, 106.1kg.m을 발휘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1.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보통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엔진이 주력, 전기모터는 보조하는 형태인데, 보야 프리는 반대로 전기모터가 주력이고 엔진은 보조다. 심지어 엔진은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배터리 충전에만 활용한다. 보야는 프리 한 가지로 중국에서 떠오르는 브랜드로 주목받았다.
+
성능도 꽤 높은 편이다. 순수 전기차 후륜구동 모델은 347마력, 53.0kg.m, AWD 모델은 693마력, 106.1kg.m을 발휘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1.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보통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엔진이 주력, 전기모터는 보조하는 형태인데, 보야 프리는 반대로 전기모터가 주력이고 엔진은 보조다. 심지어 엔진은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배터리 충전에만 활용한다. 보야는 프리 한 가지로 중국에서 떠오르는 브랜드로 주목받았다.
  
 
보야 프리는 전장X전폭X전고가 4,905X1,950 X1,660mm, 휠 베이스 2,960mm이다.
 
보야 프리는 전장X전폭X전고가 4,905X1,950 X1,660mm, 휠 베이스 2,960mm이다.
  
2022년 6월에 [[노르웨이]] [[오슬로]]에 전시장을 오픈하고 첫 번째로 전기 SUV 보야 프리(Voyah Free)를 판매하며 고객 배송은 4분기부터 시작한다.<ref>박도훈 기자, 〈[http://www.thedriv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1326706424 카이엔 닮은 中 전기SUV…주행거리 860km?]〉, 《더드라이브》, 2022-02-25</ref> <ref>윤정원 기자,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6811 전기차 '춘추전국시대'…中 둥펑자동차도 진입]〉, 《연합인포맥스》, 2021-03-12</ref>  
+
2022년 6월에 노르웨이 오슬로에 전시장을 오픈하고 첫 번째로 전기 SUV 프리( Free)를 판매하며 고객 배송은 4분기부터 시작한다.<ref>박도훈 기자, 〈[http://www.thedrive.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1326706424 카이엔 닮은 中 전기SUV…주행거리 860km?]〉, 《더드라이브》, 2022-02-25</ref> <ref>윤정원 기자,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6811 전기차 '춘추전국시대'…中 둥펑자동차도 진입]〉, 《연합인포맥스》, 2021-03-12</ref>  
  
 
=== 드리머(Dreamer) ===
 
=== 드리머(Dreamer) ===
[[파일:보야 드리머.png|썸네일|300픽셀|'''[[보야 드리머]]'''(Voyah Dreamer)]]
+
[[파일:보야 드리머.png|썸네일|300픽셀|보야 드리머(Dreamer)]]
 +
보야의 두번째 모델인 전기 미니 밴으로 2021년 광저우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했으며 2022년 7월부터 고객인도를 시작한다. 큰 차 좋아하는 중국 소비자 입맛에 맞춘 차체 크기와 자율주행 시대를 염두해둔 편안한 실내 공간 등으로 인해 점점 미니밴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중국 부유층을 위한 전략형 버전이다.
  
'''[[보야 드리머]]'''(Voyah Dreamer)는 보야의 두번째 모델인 전기 [[미니밴]]이다. 2021년 [[광저우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했으며 2022년 7월부터 고객인도를 시작한다. 큰 차 좋아하는 중국 소비자 입맛에 맞춘 차체 크기와 [[자율주행]] 시대를 염두해둔 편안한 [[실내공간]] 등으로 인해 점점 미니밴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중국 [[부유층]]을 위한 전략형 버전이다.
+
외관을 살펴보면 일본차처럼 꽤 과감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위 사진처럼 일본 미니밴과 함께 봐도 중국차같지 않고 꽤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보야 드리머의 외관을 살펴보면 일본차처럼 꽤 과감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위 사진처럼 일본 미니밴과 함께 봐도 중국차같지 않고 꽤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
중앙에 큰지막한 그릴은 얼핏 보면 BMW의 키드니 그릴을 매우 확대한 느낌이 난다. 양옆에 있는 헤드램프는 가로 디자인으로 되어 있으며, 헤드램프와 그릴 위에 배치된 주간주행등은 셀토스와 비슷한 느낌이다. 범퍼 하단에 있는 공기흡입구와 에어커튼 역시 과감하게 디자인되어 있다.
 
 
중앙에 큼지막한 [[그릴]]은 얼핏 보면 [[BMW]]의 키드니 그릴을 매우 확대한 느낌이 난다. 양옆에 있는 [[헤드램프]]는 가로 디자인으로 되어 있으며, 헤드램프와 그릴 위에 배치된 [[주간주행등]]은 [[셀토스]]와 비슷한 느낌이다. [[범퍼]] 하단에 있는 [[공기흡입구]]와 [[에어커튼]] 역시 과감하게 디자인되어 있다.
 
  
 
측면은 전형적인 박스형 미니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미니밴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2열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플래그 타입 사이드미러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리미엄 모델로 포지셔닝 했다 보니 윈도우 테두리 부분과 차체 하단에 크롬 파츠를 적용했다. 휠은 차 크기에 비하면 작아 보인다.
 
측면은 전형적인 박스형 미니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미니밴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2열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플래그 타입 사이드미러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리미엄 모델로 포지셔닝 했다 보니 윈도우 테두리 부분과 차체 하단에 크롬 파츠를 적용했다. 휠은 차 크기에 비하면 작아 보인다.
53번째 줄: 53번째 줄:
 
2+2+3 구조의 7개 좌석을 갖춘 실내는 플래그십 세단 못지 않은 화려한 편의장비로 가득하다. 특히 독립시트로 구성된 2열은 열선 및 통풍, 마사지 기능을 비롯해 조절식 발판, 전용 컨트롤러 등을 적용해 리무진 부럽지 않은 공간을 즐길 수 있다.
 
2+2+3 구조의 7개 좌석을 갖춘 실내는 플래그십 세단 못지 않은 화려한 편의장비로 가득하다. 특히 독립시트로 구성된 2열은 열선 및 통풍, 마사지 기능을 비롯해 조절식 발판, 전용 컨트롤러 등을 적용해 리무진 부럽지 않은 공간을 즐길 수 있다.
  
[[동펑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전동화 전용 플랫폼 [[ESSA]](Electric Smart Secure Architecture) 위에 완성된 드리머는 순수 전기차 버전과 1.5ℓ 가솔린 엔진+전기모터 조합의 레인지 익스텐더 등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된다. 2개의 전기모터가 탑재된 전기차 버전은 총 시스템 출력 435마력, 최대토크 63.2㎏f·m의 힘을 발휘한다. 0→100㎞/h까지 가속 시간은 5.9초, 최고속도는 200㎞/h에서 제한된다. 대용량 배터리 탑재로 무게가 2625㎏에 달하지만 1회 충전 시 최대 373마일(약 600㎞)를 주행할 수 있다. 레인저 익스텐더 버전은 시스템 출력 394마력, 최대토크 62.2㎏f·m로 전기차 버전보다 소폭 출력이 줄어든다. 0→100㎞/h까지 가속 시간도 1초 느린 6.9초지만 무게가 2540㎏으로 가벼워져 최대 435마일(약 700㎞)을 달릴 수 있다.
+
둥펑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전동화 전용 플랫폼 ESSA(Electric Smart Secure Architecture) 위에 완성된 드리머는 순수 전기차 버전과 1.5ℓ 가솔린 엔진+전기모터 조합의 레인지 익스텐더 등 두 가지 파워트레인으로 출시된다. 2개의 전기모터가 탑재된 전기차 버전은 총 시스템 출력 435마력, 최대토크 63.2㎏f·m의 힘을 발휘한
 +
. 0→100㎞/h까지 가속 시간은 5.9초, 최고속도는 200㎞/h에서 제한된다. 대용량 배터리 탑재로 무게가 2625㎏에 달하지만 1회 충전 시 최대 373마일(약 600㎞)를 주행할 수 있다. 레인저 익스텐더 버전은 시스템 출력 394마력, 최대토크 62.2㎏f·m로 전기차 버전보다 소폭 출력이 줄어든다. 0→100㎞/h까지 가속 시간도 1초 느린 6.9초지만 무게가 2540㎏으로 가벼워져 최대 435마일(약 700㎞)을 달릴 수 있다.
  
프리미엄 미니밴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 만큼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 적응형 [[에어 서스펜션]]도 [[탑재]]된다. 이외 DYN 오디오 시스템과 레벨2 운전자 보조 장치(ADAS), 5G 통신망 등을 통해 최신 [[OTT]] 서비스와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
프리미엄 미니밴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만큼 안락한 승차감을 위해 적응형 에어 서스펜션도 탑재된다. 이외 DYN 오디오 시스템과 레벨2 운전자 보조 장치(ADAS), 5G 통신망 등을 통해 최신 OTT 서비스와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드리머의 판매가격은 7인승 기준 38만~48만 위안(한화 약 7,260~9,18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보다 더욱 넓고 고급스러운 실내로 꾸며진 4인승 버전의 경우 60만 위안(약 1억1470만원)부터 시작한다.<ref>데일리카,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674965&memberNo=16519581 카니발보다 크고 빠른 1억짜리 미니밴, 전기차 ‘드리머’ 7월부터 판매한다!]〉, 《네이버 포스트》, 2022-04-22</ref><ref>임상현 기자, 〈[http://m.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42012 中 둥펑자동차, EV 미니밴 공개..690마력 전기모터 탑재]〉, 《데일리카》, 2021-12-14</ref>
+
드리머의 판매가격은 7인승 기준 38만~48만 위안(한화 약 7260~918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보다 더욱 넓고 고급스러운 실내로 꾸며진 4인승 버전의 경우 60만 위안(약 1억1470만원)부터 시작한다.<ref>데일리카,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674965&memberNo=16519581 카니발보다 크고 빠른 1억짜리 미니밴, 전기차 ‘드리머’ 7월부터 판매한다!]〉, 《네이버 포스트》, 2022-04-22</ref><ref>임상현 기자, 〈[http://m.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42012 中 둥펑자동차, EV 미니밴 공개..690마력 전기모터 탑재]〉, 《데일리카》, 2021-12-14</ref>
  
 
== 경쟁모델 리샹 ONE ==
 
== 경쟁모델 리샹 ONE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