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 (차량공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볼트 (차량공유) 로고.png|썸네일|200픽셀|'''볼트'''(Bolt)]]
+
[[파일:볼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볼트'''(Bolt)]]
[[파일:볼트 (차량공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볼트'''(Bolt)]]
+
[[파일:볼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볼트'''(Bolt)]]
[[파일:마커스 빌리그.jpg|200픽셀|썸네일|오른쪽|'''[[마커스 빌리그]]'''(Markus Villig)]]
+
<!--[[파일:마커스 빌리그.jpg|300픽셀|썸네일|오른쪽|'''[[마커스 빌리그]]'''(Markus Villig)]]-->
  
'''볼트'''(Bolt)는 [[에스토니아]]의 차량공유 서비스 회사이다. 볼트는 [[모빌리티]] [[스타트업]]이자 승차공유 서비스인 [[우버]](Uber)의 유럽 시장 경쟁자이다. 회사의 설립자 겸 대표이사는 '''[[마커스 빌리그]]'''(Markus Villig)이다.   
+
'''볼트'''(Bolt)는 [[모빌리티]] [[스타트업]]이자 승차공유 서비스인 [[우버]](Uber)의 유럽 시장 경쟁자로 [[에스토니아]]의 차량공유 서비스 기업이다. 회사의 설립자 겸 대표이사는 '''[[마커스 빌리그]]'''(Markus Villig)이다.   
  
 
== 개요 ==
 
== 개요 ==
볼트는 2013년 북유럽의 [[에스토니아]]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 35개국 150여 개의 도시에서 100여만 명의 [[드라이버]]를 보유한 [[승차공유]] 서비스 회사이다. 최근엔 [[음식배달]]과 [[전기스쿠터]], [[자전거]] 등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까지 확장하였고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우버]] 점유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회사였다. 볼트는 '드라이버 중심'의 수수료 정책으로 경쟁사 대비 저렴한 이용료와 유럽의 탄소 중립 정책에 맞는 전기 차량 중심의 플랫폼 운영, 산림지역 녹화 사업 및 태양/풍력 발전 등 친환경 프로젝트에 많은 투자 회사 자체의 사업운영 철학을 고집했다. 볼트는 '드라이버 중심'의 수수료 정책으로 경쟁사 대비 저렴한 이용료와 유럽의 탄소 중립 정책에 맞는 전기 차량 중심의 플랫폼 운영, 산림지역 녹화 사업 및 태양/풍력 발전 등 친환경 프로젝트에 많은 투자 회사 자체의 사업운영 철학을 고집했다. 승차공유 서비스 Uber의 독주를 막을 대항마로 떠오르는 '볼트(Bolt)'가 최근 새콰이어 캐피탈 등의 투자회사들로부터 7억 달러가 넘는 추가 투자를 유치시키며 기업가치가 10조 원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번 대형 투자유치 이전에도 이미 독일의 다임러와 중국의 디디추싱과 같은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의 투자를 받은 전례가 있었기에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며 글로벌 모빌리티 경쟁에서 어떤 존재감을 보여줄지 주목되는 회사이다.<ref>〈[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1SAh8eP335Kv76LEdQwbY1qxU0KQsg== 치솟는 공유 차량 플랫폼의 가치]〉, 《뉴스레터》</ref>  
+
볼트는 2013년 북유럽의 에스토니아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 35개국 150여 개의 도시에서 100여만 명의 드라이버를 보유한 승차공유 서비스 회사로, 최근엔 음식 배달과 전기 스쿠터/자전거 등의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까지 확장하였고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우버 점유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회사였다. 볼트는 ‘드라이버 중심’의 수수료 정책으로 경쟁사 대비 저렴한 이용료와 유럽의 탄소 중립 정책에 맞는 전기 차량 중심의 플랫폼 운영, 산림지역 녹화 사업 및 태양/풍력 발전 등 친환경 프로젝트에 많은 투자 회사 자체의 사업운영 철학을 고집했다. 볼트는 ‘드라이버 중심’의 수수료 정책으로 경쟁사 대비 저렴한 이용료와 유럽의 탄소 중립 정책에 맞는 전기 차량 중심의 플랫폼 운영, 산림지역 녹화 사업 및 태양/풍력 발전 등 친환경 프로젝트에 많은 투자 회사 자체의 사업운영 철학을 고집했다. 승차공유 서비스 Uber의 독주를 막을 대항마로 떠오르는 ‘볼트(Bolt)’가 최근 새콰이어 캐피탈 등의 투자회사들로부터 7억 달러가 넘는 추가 투자를 유치시키며 기업가치가 10조 원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번 대형 투자유치 이전에도 이미 독일의 다임러와 중국의 디디추싱과 같은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의 투자를 받은 전례가 있었기에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며 글로벌 모빌리티 경쟁에서 어떤 존재감을 보여줄지 주목되는 회사이다.<ref>〈[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1SAh8eP335Kv76LEdQwbY1qxU0KQsg== 치솟는 공유 차량 플랫폼의 가치]〉, 《뉴스레터》</ref>  
  
 
볼트는 2019년 회사명을 택시파이(Taxify)에서 볼트로 브랜드를 변경한 후 신제품 부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8년 파리에서 첫 번째 전자 스쿠터 사업을 시작한 후 2019년 8월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볼트는 2019년 회사명을 택시파이(Taxify)에서 볼트로 브랜드를 변경한 후 신제품 부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8년 파리에서 첫 번째 전자 스쿠터 사업을 시작한 후 2019년 8월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음식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12번째 줄: 12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마커스 빌리그 ===
 
=== 마커스 빌리그 ===
'''[[마커스 빌리그]]'''(Markus Villig)는 볼트(Bolt)의 설립자 겸 대표이사이다. 그는 발트해(Baltic Sea)에 있는 사레마(Saaremaa)라는 인적이 드문 섬에서 자라다가 7살 때 수도 탈린으로 이주했다. 10살 때부터 이미 기술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싶다고 생각했고, 고등학교 시절에 웹사이트를 만들어 지역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소유가 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스카이프]](Skype)의 성공에서 영감을 얻었다. 스카이프의 원래 엔지니어링 팀이 에스토니아에 있었는데, 바로 빌리그의 형 마틴이 그 중 한 멤버였으며, 마틴은 현재 볼트에서 일하고 있다. 빌리그는 2013년 대학을 중퇴하고 부모님께 학비를 내려고 모아두었던 몇 천 유로를 쓰게 해 달라고 부탁고는 볼트를 창업했으며, 처음 이름은 택시파이(Taxify)였다. 게다가 웬만한 미국인들은 지도에서도 찾기 힘든 나라(에스토니아)까지 우버가 조만간 들어올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ref>홍석윤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61662 우버의 새 경쟁자, 에스토니아의 '볼트']〉, 《이코노믹리뷰》, 2019-04-24</ref>
+
'''[[마커스 빌리그]]'''(Markus Villig)는 볼트(Bolt)의 설립자 겸 대표이사이다. 그는 발트해(Baltic Sea)에 있는 사레마(Saaremaa)라는 인적이 드문 섬에서 자라다가 7살 때 수도 탈린으로 이주했다. 10살 때부터 이미 기술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싶다고 생각했고, 고등학교 시절에 웹사이트를 만들어 지역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소유가 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스카이프]](Skype)의 성공에서 영감을 얻었다. 스카이프의 원래 엔지니어링 팀이 에스토니아에 있었는데, 바로 빌리그의 형 마틴이 그 중 한 멤버였으며, 마틴은 현재 볼트에서 일하고 있다. 빌리그는 2013년 대학을 중퇴하고 부모님께 학비를 내려고 모아두었던 몇 천 유로를 쓰게 해 달라고 부탁고는 볼트를 창업했으며, 처음 이름은 택시파이(Taxify)였다. 게다가 웬만한 미국인들은 지도에서도 찾기 힘든 나라(에스토니아)까지 우버가 조만간 들어올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ref>홍석윤 기자,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61662 우버의 새 경쟁자, 에스토니아의 ‘볼트’]〉, 《이코노믹리뷰》, 2019-04-24</ref>
  
 
== 상품 소개 ==
 
== 상품 소개 ==
[[파일:볼트 스쿠터 애플리케이션.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볼트 스쿠터 애플리케이션]]
 
 
 
=== 라이드 ===
 
=== 라이드 ===
 
볼트는 빠르고 저렴한 승차 방법을 제공하며 몇 분안에 당신에게 차를 제공한다. 모든 도시에서 최고의 승차 가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사용하기 쉬워 빨리 갈 수 있다.
 
볼트는 빠르고 저렴한 승차 방법을 제공하며 몇 분안에 당신에게 차를 제공한다. 모든 도시에서 최고의 승차 가격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사용하기 쉬워 빨리 갈 수 있다.
42번째 줄: 40번째 줄:
 
* '''볼트 드라이브 차량 찾기''' : 거리에서 차를 찾거나 볼트 앱의 지도를 사용하여 차량을 찾는다.  
 
* '''볼트 드라이브 차량 찾기''' : 거리에서 차를 찾거나 볼트 앱의 지도를 사용하여 차량을 찾는다.  
 
* '''볼트 앱으로 잠금 해제''' : 볼트 앱을 사용하여 차량의 잠금을 해제하고 차에서 열쇠를 찾을 수 있기에 렌트를 시작한다.  
 
* '''볼트 앱으로 잠금 해제''' : 볼트 앱을 사용하여 차량의 잠금을 해제하고 차에서 열쇠를 찾을 수 있기에 렌트를 시작한다.  
* '''무료 주차''' : 목적지까지 운전하시면 앱에서 안전하게 차를 세울 수 있는 장소를 알려드린다.<ref>"[https://bolt.eu/en/drive/ Bolt Drive - Affordable car rental, 24/7]", ''Bolt''</ref>
+
* '''무료 주차''' : 목적지까지 운전하시면 앱에서 안전하게 차를 세울 수 있는 장소를 알려드린다.<ref>"[https://bolt.eu/en/drive/ Bolt Drive - Affordable car rental, 24/7]", ''Bolt''</ref>  
  
 
== 언론 기사 ==
 
== 언론 기사 ==
 +
 
''''우버 유럽 라이벌' 볼트, 1억달러 신규 펀딩 유치로 몸집 키워'''
 
''''우버 유럽 라이벌' 볼트, 1억달러 신규 펀딩 유치로 몸집 키워'''
  
65번째 줄: 64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차량공유]]
 
 
* [[모빌리티]]
 
* [[모빌리티]]
 
* [[스타트업]]
 
* [[스타트업]]
 
* [[우버]]
 
* [[우버]]
 
* [[마커스 빌리그]]
 
* [[마커스 빌리그]]
* [[볼트]]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판매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판매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