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키퍼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DBFT 2.0 구현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코드 변경은 여러 단계의 테스트를 거쳤다. 네오 핵심 개발자는 사설망에서 네오의 [[P2P]]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시뮬레이터 하는 광범위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NGD]]가 관리하는 사설망에서도 유사한 자동화 및 수동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코드는 [[네오 퍼블릭 테스트넷]](Neo public TestNet)에서 테스트 되었다.
 
DBFT 2.0 구현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코드 변경은 여러 단계의 테스트를 거쳤다. 네오 핵심 개발자는 사설망에서 네오의 [[P2P]]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시뮬레이터 하는 광범위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NGD]]가 관리하는 사설망에서도 유사한 자동화 및 수동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코드는 [[네오 퍼블릭 테스트넷]](Neo public TestNet)에서 테스트 되었다.
  
== 생성 시간 및 처리량 ==
+
== DBFT 외 합의 알고리즘 ==
매 블록 생성 시간은 15~20초가 소요되며 평균처리 속도는 1,000TPS이다. 다른 암호화폐 처리량을 보면 비트코인은 7TPS, 이더리움은 15~20TPS 수준이고, 이오스는 3,000~4,000TPS이다.<ref>부자아빠, 〈[https://cobak.co.kr/community/16/post/210626 ()개발자의 시선) 좋은 블록체인의 기준은 무엇일까]〉, 《코박》, 2019-07-09</ref>
+
===[[Pow]](Proof of Work)===
 +
*블록생성 시간 동안 가장 많은 [[해시파워]]를 제공한 노드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과반수가 원본이라고 믿고 거래를 한다면 원본이 되고, 그렇지 않다면 원본으로 채택되지 않는다.
 +
*토큰을 사용하거나 유지할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는다.
 +
*브렌치가 생긴 경우 가장 긴 [[블록체인]]이 남을 때까지 서로 경쟁해서 이긴 브랜치가 최종적인 브랜치로 채택이 되며, 다른 브랜치는 버려지도록 설계되었다.
 +
*거래들이 처리될 때는 거래들이 '동시에' 처리된다.
 +
 
 +
===[[Pos]](Proof of Stake)===
 +
*코인을 보유한 지분율에 따라 새롭게 생성하는 코인을 분배받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
*이자와 같은 방식으로 코인이 지급되며, 일정 수 이상의 코인을 보관하고 있는 지갑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해놓기만 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노드에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부여한다.
 +
*블록 생성자와 지분 생성자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킴으로써 블록을 나쁜 의도로 생성할 동기부여를 없애며, 잘못 생성할 경우 페널티를 부여한다.
 +
*Pos는 지분 증명으로 암호화폐를 많이 홀딩하고 있을수록 많은 이익을 얻게 되므로 기본적으로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자는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 네트워크를 배반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전제로 둔다.
  
 
== 문제점 ==
 
== 문제점 ==
현재 네오 투표 시스템에는 1개의 네오 토큰이 1표이고 자체 투표에 최소 1000개의 네오 토큰이 필요한 결함이 있지만 각 북키퍼는 선택 후 한 표의 투표권을 갖는다. [[카르텔]]은 각각에 동의하고 서로 투표 할 수 있다. <ref>thellimist, 〈[https://github.com/thellimist/bitses_public/blob/master/coins/Neo.md 네오]〉, 《GitHub》, 2018-07-14</ref>
+
현재 네오 투표 시스템에는 1개의 네오 토큰이 1표이고 자체 투표에 최소 1000개의 네오 토큰이 필요한 결함이 있지만 각 북키퍼는 선택 후 한 표의 투표권을 갖는다. [[카르텔]]은 각각에 동의하고 서로 투표 할 수 있다.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kimjaeh9, 〈[https://steemit.com/coinkorea/@kimjaeh9/7 네오(NEO)는 무엇인가?]〉, 《스팀잇》, 2018-04-30
+
* kimjaeh9, 〈[https://steemit.com/coinkorea/@kimjaeh9/7 네오(NEO)는 무엇인가?]〉, ''Steemit'', 2018-04-30
 
* 유병철 기자,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2121809505698581e5800d6_1&md=20180213175246_K 네오, 중국판 이더리움…가지고 있으면 이자도 주네]〉, 《글로벌이코노믹》, 2018-02-14
 
* 유병철 기자,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2121809505698581e5800d6_1&md=20180213175246_K 네오, 중국판 이더리움…가지고 있으면 이자도 주네]〉, 《글로벌이코노믹》, 2018-02-14
 
* Jeff s, 〈[https://medium.com/neo-smart-economy/neos-dbft-2-0-single-block-finality-with-improved-availability-6a4aca7bd1c4 NEO's dBFT 2.0-Single Block Finality with Improved Availability]〉, 《미디엄》, 2019-06-05
 
* Jeff s, 〈[https://medium.com/neo-smart-economy/neos-dbft-2-0-single-block-finality-with-improved-availability-6a4aca7bd1c4 NEO's dBFT 2.0-Single Block Finality with Improved Availability]〉, 《미디엄》, 2019-06-05
* thellimist, 〈[https://github.com/thellimist/bitses_public/blob/master/coins/Neo.md 네오]〉, 《깃허브》, 2018-07-14
+
* 동승, 〈[https://m.blog.naver.com/ehdtmdcouple/221182264880 합의 알고리즘 비교분석:Pow,PoS,Casper,DPoS]〉, 《네이버블로그》, 2018-01-10
* 〈[https://namu.wiki/w/NEO(%EC%95%94%ED%98%B8%ED%99%94%ED%8F%90) NEO(암호화폐)]〉, 《나무위키》
+
* thellimist, 〈[https://github.com/thellimist/bitses_public/blob/master/coins/Neo.md 네오]〉, 《GitHub》, 2018-07-1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
 
* [[위임 비잔틴 장애 허용]]
43번째 줄: 54번째 줄:
 
* [[네오]]
 
* [[네오]]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
{{블록체인 기술|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