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랑겔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파일:브랑겔섬 지도.jpg|썸네일|300픽셀|'''브랑겔섬 지도''']]
 
[[파일:브랑겔섬 지도.jpg|썸네일|300픽셀|'''브랑겔섬 지도''']]
  
'''브랑겔섬'''<!--브랑겔 섬-->(러시아어: Остров Вра́нгеля, 영어: Wrangel Island)은 [[북극해]], [[동시베리아해]]와 [[축치해]] 사이에 있는 [[러시아]]의 [[섬]]이다. '''브란겔섬'''<!--브란겔 섬--> 또는 '''브란겔랴섬'''<!--브란겔랴 섬-->이라고도 부른다. 축치 자치구에 속해있으며 본토와 140km 떨어져 있고 바다표범, 레밍, 북극곰의 번식지이며 여름에는 많은 새가 온다. 브랑겔섬은 경도 180도선이 섬을 지나가며 [[날짜 변경선]]은 브란겔섬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9E%80%EA%B2%94%EC%84%AC 브란겔섬]〉, 《위키백과》</ref>
+
'''브랑겔섬'''<!--브랑겔 섬-->(러시아어: Остров Вра́нгеля, 영어: Wrangel Island)은 [[북극해]], [[동시베리아해]]와 [[추크치해]] 사이에 있는 [[러시아]]의 [[섬]]이다. '''브란겔섬'''<!--브란겔 섬--> 또는 '''브란겔랴섬'''<!--브란겔랴 섬-->이라고도 부른다. 축치 자치구에 속해있으며 본토와 140km 떨어져 있고 바다표범, 레밍, 북극곰의 번식지이며 여름에는 많은 새가 온다. 브랑겔섬은 경도 180도선이 섬을 지나가며 [[날짜 변경선]]은 브란겔섬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9E%80%EA%B2%94%EC%84%AC 브란겔섬]〉, 《위키백과》</ref>
  
 
==개요==
 
==개요==
18번째 줄: 18번째 줄: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역은 제4기 빙하기(Quaternary Ice Ages) 당시 빙하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다. 그 결과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구에는 다양하고 희귀한 동식물군이 오늘 날까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브란겔랴섬 해변에는 전 세계 어디보다도 많은 수의 태평양 바다코끼리(Pacific Walrus)들이 서식하고 있다. 북극곰(Polar Bear)과 북극여우(Polar Fox)의 개체수도 상당하다. 또한 이 지역은 저 멀리 멕시코에서부터 올라온 회색 고래(Grey Whale)와 멸종위기에 처한 백여 종의 새들의 소중한 서식지이다.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구에만 서식하고 있는 고유 식물 종은 400개 이상이다. 이는 북극해 주변의 다른 유사 지역의 두 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곳의 일부 식물 종은 다른 지역으로 넓게 퍼져나가기도 했다. 이처럼 빙하기의 영향력을 피해서 살아남은 동식물종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브란겔랴섬 지역은 오늘날 자연 진화 연구의 획기적인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지역 생물군과 지질 연구를 통해 빙하기 시대 이전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의 진화의 전개 과정을 끊어짐 없이 면밀하게 추적해 나갈 수 있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56559&cid=40942&categoryId=40207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역(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역은 제4기 빙하기(Quaternary Ice Ages) 당시 빙하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다. 그 결과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구에는 다양하고 희귀한 동식물군이 오늘 날까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브란겔랴섬 해변에는 전 세계 어디보다도 많은 수의 태평양 바다코끼리(Pacific Walrus)들이 서식하고 있다. 북극곰(Polar Bear)과 북극여우(Polar Fox)의 개체수도 상당하다. 또한 이 지역은 저 멀리 멕시코에서부터 올라온 회색 고래(Grey Whale)와 멸종위기에 처한 백여 종의 새들의 소중한 서식지이다.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구에만 서식하고 있는 고유 식물 종은 400개 이상이다. 이는 북극해 주변의 다른 유사 지역의 두 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곳의 일부 식물 종은 다른 지역으로 넓게 퍼져나가기도 했다. 이처럼 빙하기의 영향력을 피해서 살아남은 동식물종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브란겔랴섬 지역은 오늘날 자연 진화 연구의 획기적인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지역 생물군과 지질 연구를 통해 빙하기 시대 이전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의 진화의 전개 과정을 끊어짐 없이 면밀하게 추적해 나갈 수 있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56559&cid=40942&categoryId=40207 브란겔랴섬의 자연보호지역(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
  
==축치해==
+
==추크치해==
[[축치해]](영어: Chukchi Sea, 러시아어: Чуко́тское мо́ре) 또는 '''축치해'''는 [[러시아]]의 축치 자치구와 [[미국]]의 알래스카주 사이에 위치한 [[바다]]이다. [[베링해협]]을 연결하고 [[베링해]]로 통하는 관문이다. 축치해는 서쪽으로는 [[브란겔섬]]과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보퍼트해]]에 접해 있다. 면적 58만 2000km². 수심 25∼50m, 축치해의 주요 항구는 우엘렌이다. 축치해는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연안에 있는 [[북극해]]의 부속해이다. 축치해는 50m 미만의 깊이가 전체 면적의 56%를 차지한다. 축치해는 [[북극]]의 다른 바다에 비해 [[섬]]이 거의 없다. 브랑겔섬은 바다의 북서쪽 경계에 있고 헤럴드섬은 브랑겔섬의 북쪽 경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해안을 따라 몇 개의 작은 섬들이 있다. 러시아의 축치 자치구와 미국의 알래스카주는 [[날짜변경선]]이 지나가기 때문에 시차는 무려 21시간 차이가 난다. 축치해는 겨울에는 결빙하고, 남부에서는 6월 중순부터 항행할 수 있으며 1년 중 4개월 정도만 항해할 수 있다. 바다표범과 바다코끼리가 서식하고 고래와 많은 바다새가 여름에 찾아온다. 연안의 주민은 어업과 순록사육에 종사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6%95%EC%B9%98%ED%95%B4 축치해]〉, 《위키백과》</ref>
+
[[추크치해]](영어: Chukchi Sea, 러시아어: Чуко́тское мо́ре) 또는 '''축치해'''는 [[러시아]]의 축치 자치구와 [[미국]]의 알래스카주 사이에 위치한 [[바다]]이다. [[베링해협]]을 연결하고 [[베링해]]로 통하는 관문이다. 축치해는 서쪽으로는 [[브란겔섬]]과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보퍼트해]]에 접해 있다. 면적 58만 2000km². 수심 25∼50m, 축치해의 주요 항구는 우엘렌이다. 추크치해는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연안에 있는 [[북극해]]의 부속해이다. 추크치해는 50m 미만의 깊이가 전체 면적의 56%를 차지한다. 추크치해는 [[북극]]의 다른 바다에 비해 [[섬]]이 거의 없다. 브랑겔섬은 바다의 북서쪽 경계에 있고 헤럴드섬은 브랑겔섬의 북쪽 경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해안을 따라 몇 개의 작은 섬들이 있다. 러시아의 축치 자치구와 미국의 알래스카주는 [[날짜변경선]]이 지나가기 때문에 시차는 무려 21시간 차이가 난다. 추크치해는 겨울에는 결빙하고, 남부에서는 6월 중순부터 항행할 수 있으며 1년 중 4개월 정도만 항해할 수 있다. 바다표범과 바다코끼리가 서식하고 고래와 많은 바다새가 여름에 찾아온다. 연안의 주민은 어업과 순록사육에 종사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B6%95%EC%B9%98%ED%95%B4 축치해]〉, 《위키백과》</ref>
  
 
==동시베리아해==
 
==동시베리아해==
[[동시베리아해]](영어: East Siberian Sea, 러시아어: Восто́чно-Сиби́рское мо́ре, 문화어: 동씨비리해)는 [[북극해]]의 변두리 [[바다]]로 노보시비르스크 제도와 브란겔섬에 둘러싸인 바다이다. 서쪽은 [[랍테프해]], 동쪽은 [[축치해]]에 접해있다. 면적은 987,000km²이고 평균 깊이 58m(190ft), 최대 수심 155m(509ft), 수량 57,000km³(4.6×10¹⁰ acre·ft)로 1년의 대부분은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연평균 기온은 0-2℃로, 겨울에는 –30℃까지 떨어진다. 동시베리아해는 동부 [[시베리아]] 북쪽에 펼쳐져 있으며, 동쪽은 브랑겔리섬을 경계로 추코트해와 서쪽은 노보시비르스크 제도를 거쳐 랍테프해와 접한다. 해역은 동서 약 1,200km에 이르며, 대륙붕이 수백 km나 펼쳐져 있다. 이 바다에는 인디기르카강, 콜리마강 등이 흘러들어 여름에는 남쪽 연안을 따라 수로로 이용되고 있다. 동시베리아해는 북극 지역에서 가장 적게 연구된 바다 중 하나다. 혹독한 기후, 낮은 염도, 동식물 및 인구 부족, 얕은 수심(대부분 50m 미만), 느린 해류, 낮은 조류(25cm 미만), 잦은 안개, 특히 여름에는 8~9월에만 완전히 녹는 풍부한 빙원이 있다. 동시베리아해 해안에는 수천 년 동안 유카기르족, 축치족, 그리고 어업, 사냥, 순록 사육에 종사하는 에벤스족과 에벤스족의 원주민 부족들이 살았다. 그러나 북동항로의 개척시대에는 항로 최후의 난소(難所)로 알려졌던 곳으로, 1878년 처음으로 항행에 성공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8B%9C%EB%B2%A0%EB%A6%AC%EC%95%84%ED%95%B4 동시베리아해]〉, 《위키백과》</ref>
+
[[동시베리아해]](영어: East Siberian Sea, 러시아어: Восто́чно-Сиби́рское мо́ре, 문화어: 동씨비리해)는 [[북극해]]의 변두리 [[바다]]로 노보시비르스크 제도와 브란겔섬에 둘러싸인 바다이다. 서쪽은 [[랍테프해]], 동쪽은 [[추크치해]]에 접해있다. 면적은 987,000km²이고 평균 깊이 58m(190ft), 최대 수심 155m(509ft), 수량 57,000km³(4.6×10¹⁰ acre·ft)로 1년의 대부분은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연평균 기온은 0-2℃로, 겨울에는 –30℃까지 떨어진다. 동시베리아해는 동부 [[시베리아]] 북쪽에 펼쳐져 있으며, 동쪽은 브랑겔리섬을 경계로 추코트해와 서쪽은 노보시비르스크 제도를 거쳐 랍테프해와 접한다. 해역은 동서 약 1,200km에 이르며, 대륙붕이 수백 km나 펼쳐져 있다. 이 바다에는 인디기르카강, 콜리마강 등이 흘러들어 여름에는 남쪽 연안을 따라 수로로 이용되고 있다. 동시베리아해는 북극 지역에서 가장 적게 연구된 바다 중 하나다. 혹독한 기후, 낮은 염도, 동식물 및 인구 부족, 얕은 수심(대부분 50m 미만), 느린 해류, 낮은 조류(25cm 미만), 잦은 안개, 특히 여름에는 8~9월에만 완전히 녹는 풍부한 빙원이 있다. 동시베리아해 해안에는 수천 년 동안 유카기르족, 추크치족, 그리고 어업, 사냥, 순록 사육에 종사하는 에벤스족과 에벤스족의 원주민 부족들이 살았다. 그러나 북동항로의 개척시대에는 항로 최후의 난소(難所)로 알려졌던 곳으로, 1878년 처음으로 항행에 성공하였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C%8B%9C%EB%B2%A0%EB%A6%AC%EC%95%84%ED%95%B4 동시베리아해]〉, 《위키백과》</ref>
  
 
==지도==
 
==지도==
56번째 줄: 56번째 줄:
 
* [[북극해]]
 
* [[북극해]]
 
* [[동시베리아해]]
 
* [[동시베리아해]]
* [[축치해]]
+
* [[추크치해]]
 
* [[러시아]]
 
* [[러시아]]
 
* [[섬]]
 
* [[섬]]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