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드 잠피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블라드 잠피르.jpg|썸네일|300픽셀|'''블라드 잠피르'''(Vlad Zamfir)]]
+
[[파일:이더리움 글자.png |썸네일|300픽셀|'''이더리움'''(Ethereum) 로고와 글자]]
[[파일:캐스퍼랩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캐스퍼랩스]]'''(Casper Labs)]]
 
[[파일:이더리움 글자.png |썸네일|300픽셀|'''[[이더리움]]'''(Ethereum)]]
 
  
'''블라드 잠피르'''<!--블래드 잠피르, 블라드 잠퍼-->(Vlad Zamfir)는 [[이더리움]]의 핵심 개발자로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블록체인 [[샤딩]](Sharding)과 [[지분증명]](PoS)을 다루는 암호경제학를 연구한 인물로 잘 알려져있다. 또한 그는 블록체인 기술에서의 거버넌스와 윤리적 사용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
'''블라드 잠피르'''<!--블래드 잠피르-->(Vlad Zamfir)는 [[이더리움]]의 핵심 개발자로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블록체인 [[샤딩]](Sharding)과 [[지분증명]](PoS)을 다루는 암호경제학를 연구한 인물로 잘 알려져있다. 또한 그는 블록체인 기술에서의 거버넌스와 윤리적 사용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 학력 ==
 
== 학력 ==
* 2008년 ~ 2012년 : 캐나다 [[궬프 대학교]](University of Guelph) 수리수학 전공
+
* 2008년 ~ 2012년 : 캐나다 [[궬프대학교]](University of Guelph) 수리수학 전공
  
 
== 약력 ==
 
== 약력 ==
 
* 2004년 1월 ~ 2008년 4월 : Mont Ste Marie 스노우보딩 강사
 
* 2004년 1월 ~ 2008년 4월 : Mont Ste Marie 스노우보딩 강사
* 2008년 9월 ~ 2014년 5월 : 셀프 엠플로이드(Self-employed) 수학 및 통계학 교사
+
* 2008년 9월 ~ 2014녀 5월 : 셀프 엠플로이드(Self-employed) 수학 및 통계학 교사
* 2014년 4월 ~ 현재 : [[이더리움]](Ethereum) 개발자
+
* 2014년 4월 ~ 현재 : [[이더리움]](Ethereum) 개발자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
 
=== 이더리움 ===
 
=== 이더리움 ===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은 2015년 7월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C++]]과 [[고]](Go) 언어를 사용해 개발했으며 현재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든 코인 중 가장 대표적인 [[알트코인]]이다. 이더리움은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과 같은 거래를 채결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를 구현하고, 탈중앙 분산 애플리케이션인 [[디앱]]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설립했으며 [[ICO]]도입을 대성공했다.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은 2015년 7월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C++]]과 [[고]](Go) 언어를 사용해 개발했으며 현재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든 코인 중 가장 대표적인 [[알트코인]]이다. 이더리움은 금융거래, 부동산 계약과 같은 거래를 채결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를 구현하고, 탈중앙 분산 애플리케이션인 [[디앱]]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설립했으며 [[ICO]]도입을 대성공했다.
20번째 줄: 19번째 줄:
 
캐스퍼란 이더리움의 컨센서스 방식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로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이다. 작업증명 방식은 채굴 시 소모되는 전력량과 컴퓨팅 파워가 비효율적이며 채굴기의 스펙에 따른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해시파워가 더 좋은 채굴기를 갖고 있는 채굴자 혹은 채굴 조직에 집중되어 분산화가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분증명]](PoS)로의 전환을 추진했다. 캐스퍼는 [[비탈릭 부테린]]이 제안한 [[FFG]](Friendly Finality Gadget)와 블라드 잠피르가 제안한 [[CBC]](Correct by Construction) 두 종류의 프로젝트로 나뉜다.<ref>명정선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35447 비트코인 용어(27) 캐스퍼(Casper)]〉, 《블록미디어》, 2018-05-07</ref> [[FFG]]는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캐스퍼이며 작업증명을 병행하기 때문에 매 블록마다 투표를 진행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ref>Jason Kim, 〈[https://medium.com/decipher-media/%EB%B8%94%EB%A1%9D%EC%B2%B4%EC%9D%B8-%ED%99%95%EC%9E%A5%EC%84%B1-%EC%86%94%EB%A3%A8%EC%85%98-%EC%8B%9C%EB%A6%AC%EC%A6%88-1-1-casper-overview-3e0154487458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시리즈 1–1 :: Casper Overview]〉, 《미디엄》, 2018-04-16</ref> [[CBC]]는 새로운 합의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기법이자 합의 프로토콜의 제품군이다. [[CBC]]는 단순한 합의 안전 증명 프로토콜과 신규 데이터 구조에 대해 합의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구현 측면에서 [[CBC]]는 [[FFG]]보다 상당히 복잡할 수 있지만 프로토콜에 대한 이유와 제공하는 속성에 대해서는 매우 간단한 편이다.  
 
캐스퍼란 이더리움의 컨센서스 방식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로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이다. 작업증명 방식은 채굴 시 소모되는 전력량과 컴퓨팅 파워가 비효율적이며 채굴기의 스펙에 따른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해시파워가 더 좋은 채굴기를 갖고 있는 채굴자 혹은 채굴 조직에 집중되어 분산화가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분증명]](PoS)로의 전환을 추진했다. 캐스퍼는 [[비탈릭 부테린]]이 제안한 [[FFG]](Friendly Finality Gadget)와 블라드 잠피르가 제안한 [[CBC]](Correct by Construction) 두 종류의 프로젝트로 나뉜다.<ref>명정선 기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35447 비트코인 용어(27) 캐스퍼(Casper)]〉, 《블록미디어》, 2018-05-07</ref> [[FFG]]는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캐스퍼이며 작업증명을 병행하기 때문에 매 블록마다 투표를 진행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ref>Jason Kim, 〈[https://medium.com/decipher-media/%EB%B8%94%EB%A1%9D%EC%B2%B4%EC%9D%B8-%ED%99%95%EC%9E%A5%EC%84%B1-%EC%86%94%EB%A3%A8%EC%85%98-%EC%8B%9C%EB%A6%AC%EC%A6%88-1-1-casper-overview-3e0154487458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시리즈 1–1 :: Casper Overview]〉, 《미디엄》, 2018-04-16</ref> [[CBC]]는 새로운 합의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기법이자 합의 프로토콜의 제품군이다. [[CBC]]는 단순한 합의 안전 증명 프로토콜과 신규 데이터 구조에 대해 합의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구현 측면에서 [[CBC]]는 [[FFG]]보다 상당히 복잡할 수 있지만 프로토콜에 대한 이유와 제공하는 속성에 대해서는 매우 간단한 편이다.  
  
다른 지분증명 모델과 마찬가지로, 캐스퍼 컨센서스 프로토콜 역시 블록체인 합의 또는 투표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위해 먼저 보증금을 예치해야 하는 담보부 검증자(bonded validator)를 생성한다. 이들은 투명하게 행동하는 것을 전제로 컨센서스 커뮤니티 내부에 머무를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을 속이려다가 적발될 경우 자신이 갖고있는 지분을 잃게 된다. 이더리움의 캐스퍼 지분증명 시스템에서는 컨센서스 메커니즘이 4초 이내에 새로운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ref>Lucas Merian, 〈[http://www.ciokorea.com/news/39338?page=0,0 창시자의 무더기 트윗이 의미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미래]〉, 《CIO》, 2018-08-23</ref> 이더리움은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이 결합된 거래 방식인 [[FFG]]를 먼저 도입해 기반을 다진 뒤, [[CBC]]로 안정화 작업을 거치게 될 예정이라 밝혔다. 그러나 2019년 1월 이더리움 웹어셈블리인 [[이와즘]](eWASM)과 [[샤디드 캐스퍼]](sharded Casper)가 양립이 불가능하는 이유로 현재 [[FFG]] 캐스퍼를 폐기할 것이라 발표했다. 그 대신 비탈릭 부테린은 캐스퍼 봉인 체인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
다른 지분증명 모델과 마찬가지로, 캐스퍼 컨센서스 프로토콜 역시 블록체인 합의 또는 투표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위해 먼저 보증금을 예치해야 하는 담보부 검증자(bonded validator)를 생성한다. 이들은 투명하게 행동하는 것을 전제로 컨센서스 커뮤니티 내부에 머무를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을 속이려다가 적발될 경우 자신이 갖고있는 지분을 잃게 된다. 이더리움의 캐스퍼 지분증명 시스템에서는 컨센서스 메커니즘이 4초 이내에 새로운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ref>Lucas Merian, 〈[http://www.ciokorea.com/news/39338?page=0,0 창시자의 무더기 트윗이 의미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미래]〉, 《CIO》, 2018-08-23</ref> 이더리움은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이 결합된 거래 방식인 [[FFG]]를 먼저 도입해 기반을 다진 뒤, [[CBC]]로 안정화 작업을 거치게 될 예정이라 밝혔다. 그러나 2019년 1월 이더리움 미래에 중요한 요소인 [[이더리움웹어셈블리]](ewasm)과 [[샤트 캐스퍼]](sharded Casper)가 양립이 불가능하는 이유로 현재 [[FFG]] 캐스퍼를 폐기할 것이라 발표했다. 그 대신 비탈릭 부테린은 캐스퍼 봉인 체인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자세히|이더리움}}
 
{{자세히|이더리움}}
 
=== 크립토이코노믹스 ===
 
블라드 잠피르는 분권형 디지털 경제에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유통·소비하는 [[프로토콜]]을 연구하는 규율로 [[크립토이코노믹스]](Cryptoeconomics)는 이러한 프로토콜의 설계와 특징화에 초점을 맞춘 실용적인 과학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크립토이코노믹스는 경제학을 위한 암호학보다는 암호학을 위한 경제학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 메커니즘은 암호화만으로 제공할 수 없는 특정한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모두 인센티브 메커니즘 설계에 관한 것이라 말하며 분산된 합의 메커니즘에 의해 순수한 [[크립토이코노믹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 캐스퍼랩스 ===
 
=== 캐스퍼랩스 ===
44번째 줄: 40번째 줄:
 
* Lucas Merian, 〈[http://www.ciokorea.com/news/39338?page=0,0 창시자의 무더기 트윗이 의미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미래]〉, 《CIO》, 2018-08-23
 
* Lucas Merian, 〈[http://www.ciokorea.com/news/39338?page=0,0 창시자의 무더기 트윗이 의미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미래]〉, 《CIO》, 2018-08-23
 
* Pedro Febrero, 〈[https://coinrivet.com/ethereums-vlad-zamfir-could-be-joining-casper-labs/ Ethereum’s Vlad Zamfir could be joining Casper Labs]〉, 《코인리벳》, 2019-01-16
 
* Pedro Febrero, 〈[https://coinrivet.com/ethereums-vlad-zamfir-could-be-joining-casper-labs/ Ethereum’s Vlad Zamfir could be joining Casper Labs]〉, 《코인리벳》, 2019-01-16
* Vlad Zamfir, 〈[https://twitter.com/VladZamfir/status/884530616896811008 블라드 잠피르 트위터]〉, 《트위터》, 2017-07-10
 
* 〈[https://www.ofnumbers.com/2015/01/30/cryptoeconomics-for-beginners-and-experts-alike/ Cryptoeconomics for beginners and experts alike]〉, 《ofnumbers》, 2015-01-3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캐스퍼랩스]]
 
* [[메다 팔리카르]]
 
 
* [[이더리움]]
 
* [[이더리움]]
 
* [[비탈릭 부테린]]
 
* [[비탈릭 부테린]]
 +
* [[캐스퍼랩스]]
 
* [[작업증명]]
 
* [[작업증명]]
 
* [[지분증명]]
 
* [[지분증명]]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