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블로그'''(blog)는 [[웹]](web)의 '''b'''와 '''로그'''(log)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합성어로서, 특정 주제에 대해 시간 순으로 글을 올리고 자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웹페이지]]를 말한다. 공공기관이나 기업은 대표 홈페이지 이외에 별도로 블로그를 운영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140글자 이내의 짧은 문장만 올릴 수 있는 블로그 사이트를 [[마이크로블로그]](Microblog)라고 한다. 특정 블로그 사이트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를 [[블로거 (사람)|블로거]](blogger)라고 한다. 블로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일종이다.
+
'''블로그'''(blog)는 [[웹]](web)의 '''b'''와 '''로그'''(log)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합성어로서, 특정 주제에 대해 시간 순으로 글을 올리고 자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웹페이지]]를 말한다. 공공기관이나 기업은 대표 홈페이지 이외에 별도로 블로그를 운영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140글자 이내의 짧은 문장만 올릴 수 있는 블로그 사이트를 [[마이크로 블로그]](Microblog)라고 한다. 특정 블로그 사이트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를 블로거(blogger)라고 한다. 블로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일종이다.
  
{{:인터넷 배너}}
+
== 개요 ==
 +
블로그는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다양한 사람들이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주제를 자유롭게 업로드할 수 있고, 심지어는 개인 출판, 개인 방송 등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1인 미디어]]의 일종이다. 웹 게시판과 개인 홈페이지, 그리고 컴퓨터 기능이 혼합되어 있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본인만의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블로그 페이지만 있으면 누구든지 다양한 방식으로 본인의 의견을 업로드할 수 있다.
  
== 개요 ==
+
블로그는 마치 일기처럼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본인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쉽게 기록할 수 있고, 독자적인 자료보관이 가능하므로 자료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카페와 같은 일반 커뮤니티의 게시판과는 다르게 콘텐츠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어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 중심으로 더 많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고, 구독기능 등의 기능을 통해 다른 사람의 블로그에 가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댓글 등을 통한 채팅이 가능하며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시간으로 콘텐츠의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다양한 세부기능이 있다.<ref>두산백과 블로그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051&cid=40942&categoryId=32854</ref> 블로그의 종류에는 회원가입만으로 개설 및 운영을 할 수 있는 가입형 블로그, 블로거가 직접 블로그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설치형 블로그, 그리고 요즘에는 본인의 생각을 영상으로 표현하는 브이로그(Vlog) 등이 있다. 오늘날의 블로그는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등 다른 [[SNS]]에 비해 사용이 많이 감소되고 있지만, 여러 정보를 하나의 글로 전달할 수 있어서 아직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블로그는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日誌)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다양한 사람들이 본인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주제를 자유롭게 업로드할 수 있고, 심지어는 개인 출판, 개인 방송 등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1인 미디어]]의 일종이다. 웹 게시판과 개인 홈페이지, 그리고 컴퓨터 기능이 혼합되어 있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본인만의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블로그 페이지만 있으면 누구든지 다양한 방식으로 본인의 의견을 업로드할 수 있다. 블로그는 마치 일기처럼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본인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쉽게 기록할 수 있고, 독자적인 자료보관이 가능하므로 자료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카페와 같은 일반 커뮤니티의 게시판과는 다르게 콘텐츠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어 본인이 작성한 콘텐츠 중심으로 더 많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고, 구독기능 등의 기능을 통해 다른 사람의 블로그에 가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댓글 등을 통한 채팅이 가능하며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시간으로 콘텐츠의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다양한 세부기능이 있다.<ref>두산백과 블로그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051&cid=40942&categoryId=32854</ref> 블로그의 종류에는 회원가입만으로 개설 및 운영을 할 수 있는 가입형 블로그, 블로거가 직접 블로그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설치형 블로그, 그리고 요즘에는 본인의 생각을 영상으로 표현하는 브이로그(Vlog) 등이 있다. 오늘날의 블로그는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등 다른 [[SNS]]에 비해 사용이 많이 감소되고 있지만, 여러 정보를 하나의 글로 전달할 수 있어서 아직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42번째 줄: 42번째 줄:
 
가입형 블로그는 서비스형 블로그라고도 한다.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등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대부분의 블로그가 바로 가입형 블로그이다.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포털사이트에 가입하면 자동으로 해당 사이트에 대한 블로그가 만들어진다. 가입형 블로그는 [[CSS]]나 [[HTML]] 등 전문지식이 없어도 블로그를 쉽게 관리할 수 있고, 해당 포털사이트에 가입된 기존의 사용자들과의 소통을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이 무료로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블로그를 항상 상위권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 글을 꾸준히 올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가입형 블로그에는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등이 있다.<ref name="blog_diff"> 소셜마케팅코리아, 〈[https://blog.socialmkt.co.kr/256 가입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 《티스토리》, 2013-03-07</ref>
 
가입형 블로그는 서비스형 블로그라고도 한다.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등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대부분의 블로그가 바로 가입형 블로그이다.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포털사이트에 가입하면 자동으로 해당 사이트에 대한 블로그가 만들어진다. 가입형 블로그는 [[CSS]]나 [[HTML]] 등 전문지식이 없어도 블로그를 쉽게 관리할 수 있고, 해당 포털사이트에 가입된 기존의 사용자들과의 소통을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이 무료로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블로그를 항상 상위권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 글을 꾸준히 올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가입형 블로그에는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등이 있다.<ref name="blog_diff"> 소셜마케팅코리아, 〈[https://blog.socialmkt.co.kr/256 가입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 《티스토리》, 2013-03-07</ref>
  
==== 설치형 블로그 ====
+
=== 설치형 블로그 ===
 
설치형 블로그는 독립형 블로그라고도 하며 따로 독립 도메인이 필수로 있어야 하는 블로그이다. 홈페이지를 설치하듯이 블로그 툴을 설치한 다음 [[DNS]](Domain Name System)를 등록해주어야 한다. 설치형 블로그는 가입형 블로그보다 순위경쟁이 치열하지 않으며, [[구글 애드센스]] 등을 통해 광고수입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CSS, HTML, 플러그인 등을 이용해 디자인을 자유롭게 꾸밀 수 있으며, [[검색엔진최적화]](SEO)적인 노출이 된 콘텐츠가 꾸준하게 방문자를 생산하며 다른 SNS와의 연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독립 도메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독립 도메인을 위한 유지비용이 발생하고, 직접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형 블로그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다. 대표적인 설치형 블로그에는 [[워드 프레스]](WordPress), [[텍스트큐브]](Textcube) 등이 있다.<ref name="blog_diff"></ref>
 
설치형 블로그는 독립형 블로그라고도 하며 따로 독립 도메인이 필수로 있어야 하는 블로그이다. 홈페이지를 설치하듯이 블로그 툴을 설치한 다음 [[DNS]](Domain Name System)를 등록해주어야 한다. 설치형 블로그는 가입형 블로그보다 순위경쟁이 치열하지 않으며, [[구글 애드센스]] 등을 통해 광고수입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CSS, HTML, 플러그인 등을 이용해 디자인을 자유롭게 꾸밀 수 있으며, [[검색엔진최적화]](SEO)적인 노출이 된 콘텐츠가 꾸준하게 방문자를 생산하며 다른 SNS와의 연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독립 도메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독립 도메인을 위한 유지비용이 발생하고, 직접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형 블로그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다. 대표적인 설치형 블로그에는 [[워드 프레스]](WordPress), [[텍스트큐브]](Textcube) 등이 있다.<ref name="blog_diff"></ref>
  
==== 브이로그 ====
+
=== 브이로그 ===
 
브이로그는 비디오 블로그라고도 하며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의 합성어이다. 비디오를 통해 자신의 생각, 또는 경험을 정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이전의 블로그는 텍스트와 사진 통해 생각 또는 경험을 기록했다면 브이로그는 영상을 통해 기록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2010년대 중후반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발달으로 동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이 갖춰졌다. 비디오 블로그는 영상을 촬영하며 실시간으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의도치 않게 타인이 영상에 노출되면 초상권 침해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ref> 에릭, 〈[https://brunch.co.kr/@ericbaek/35 글보단 비디오. Blog보단 Vlog.]〉, 《브런치》, 2019-02-03</ref> 대표적인 비디오 블로그 플랫폼으로는 [[유튜브]](Youtube), [[트위치]](Twitch), [[네이버 TV]], [[카카오 TV]] 등이 있다.
 
브이로그는 비디오 블로그라고도 하며 비디오(Video)와 블로그(Blog)의 합성어이다. 비디오를 통해 자신의 생각, 또는 경험을 정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이전의 블로그는 텍스트와 사진 통해 생각 또는 경험을 기록했다면 브이로그는 영상을 통해 기록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2010년대 중후반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발달으로 동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무선 통신 환경이 갖춰졌다. 비디오 블로그는 영상을 촬영하며 실시간으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의도치 않게 타인이 영상에 노출되면 초상권 침해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ref> 에릭, 〈[https://brunch.co.kr/@ericbaek/35 글보단 비디오. Blog보단 Vlog.]〉, 《브런치》, 2019-02-03</ref> 대표적인 비디오 블로그 플랫폼으로는 [[유튜브]](Youtube), [[트위치]](Twitch), [[네이버 TV]], [[카카오 TV]] 등이 있다.
  
60번째 줄: 60번째 줄:
  
 
=== 해외 ===
 
=== 해외 ===
* '''[[구글 블로거]]'''(Google Blogger)
+
* '''[[블로거]]'''(Blogger)
: [[파이라랩스]]가 제작한 블로그 서비스이며, 2003년 구글에 합병되었다. 다양한 레이아웃과 템플릿을 통해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디자인할 수 있고, 구글 애드센스를 통한 타겟팅 광고로 관심사에 대한 게시글만 올려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구글 블로거 분석을 통해 어떤 게시물이 인기있는지 알아보거나 방문자의 방문국가, 관심사 등을 통해 방문자를 파악할 수 있다.<ref>구글 블로거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logger.com/about/</ref>
+
: [[파이라랩스]]가 제작한 블로그 서비스이며, 2003년 구글에 합병되었다. 다양한 레이아웃과 템플릿을 통해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디자인할 수 있고, 구글 애드센스를 통한 타겟팅 광고로 관심사에 대한 게시글만 올려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블로거 분석을 통해 어떤 게시물이 인기있는지 알아보거나 방문자의 방문국가, 관심사 등을 통해 방문자를 파악할 수 있다.<ref>구글 블로거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logger.com/about/</ref>
  
 
* '''[[워드프레스]]'''(WordPress)
 
* '''[[워드프레스]]'''(WordPress)
110번째 줄: 110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마이크로블로그]]
 
 
* [[포털]]
 
* [[포털]]
  
 
{{인터넷|검토 필요}}
 
{{인터넷|검토 필요}}
{{솔루션}}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