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7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6번째 줄: 146번째 줄:
  
 
* '''[[돈 탭스콧]]'''(Don Tapscott) : [[세계경제포럼]] 미래학자이자, 글로벌 베스트셀러 '블록체인 혁명', '디지털 네이브'의 저자이다. 인터체인 기반 암호화폐인 아이콘(ICON)의 어드바이저이며, 씽커스 50(Thinkers 50)에 따르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로 선정되었다.
 
* '''[[돈 탭스콧]]'''(Don Tapscott) : [[세계경제포럼]] 미래학자이자, 글로벌 베스트셀러 '블록체인 혁명', '디지털 네이브'의 저자이다. 인터체인 기반 암호화폐인 아이콘(ICON)의 어드바이저이며, 씽커스 50(Thinkers 50)에 따르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로 선정되었다.
* '''[[데이비드 루터]]'''(David E. Rutter) : 글로벌 최대 규모 금융 컨소시움 [[R3]](알쓰리) 창시자 겸 회장이다. 그는 전자 금융 시장 혁신의 선구자이며 지난 30년간 음성에서 전자상거래로 진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
* '''[[데이비드 루터]]'''(David E. Rutter) : 글로벌 최대 규모 금융 컨소시움 [[R3]](알쓰리) 창시자 겸 회장이다. 그는 전자 금융 시장 혁신의 선구자이며 지난 30년간 음성에서 전자상거래로 진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 '''[[필립에네스]]'''(Phillip Enness) : [[IBM]] AP 블록체인 총책임자이다. IBM과 리눅스재단이 주도하는 '하이퍼레저'는 금융권뿐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
* '''[[필립 에네스]]'''(Phillip Enness) : [[IBM]] AP 블록체인 총책임자이다.IBM과 리눅스재단이 주도하는 '하이퍼레저'는 금융권뿐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 '''[[오세현]]''' : [[에스케이텔레콤㈜]]의 블록체인 사업개발유닛을 이끌며 관련 신사업을 발굴 및 개발하고 있는 전무이자,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의 의장이다. 에스케이그룹에 합류하기 전에는 [[㈜케이티]] 신사업본부 본부장 전무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
* '''[[오세현]]''' : [[에스케이텔레콤㈜]]의 블록체인사업개발유닛을 이끌며 관련 신사업을 발굴 및 개발하고 있는 전무이자,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의 의장이다. 에스케이그룹에 합류하기 전에는 [[㈜케이티]] 신사업본부 본부장 전무를 역임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 '''[[민경식]]''' : 한국의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지원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블록체인 확산 팀장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한국의 인터넷 산업을 진흥하고자 만든 미래창조과학부 산하의 공공기관으로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산업 진흥을 위해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민경식]]''' : 한국의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지원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블록체인 확산 팀장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한국의 인터넷 산업을 진흥하고자 만든 미래창조과학부 산하의 공공기관으로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산업 진흥을 위해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박현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 서비스 및 총괄 CP이다. 그는 IT 생태계의 혁신적 어젠다들을 그 누구보다 먼저 지켜보고 선도해 온 장본인으로, 2016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연구 및 개발 전략 수립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 '''[[박현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서비스 및 총괄 CP이다. 그는 IT 생태계의 혁신적 어젠다들을 그 누구보다 먼저 지켜보고 선도해 온 장본인으로, 2016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연구 및 개발 전략 수립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최준규]]''' : [[경기연구원]] 공존 사회연구실 박사이다. 공공 및 행정 분야에서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그는 국내 최초 블록체인 기반 따복 공동체의 개념과 기틀을 수립하였고, 실제 해당 공동체의 운영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
* '''[[최준규]]''' : [[경기연구원]] 공존사회연구실 박사이다. 공공 및 행정분야에서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그는 국내 최초 블록체인 기반 따복 공동체의 개념과 기틀을 수립하였고, 실제 해당 공동체의 운영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 '''[[박성준]]''' : [[동국대학교]] 국제정보 보호대학원 외부 초빙교수이자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의 센터장이다. [[앤드어스체인]]을 개발하고 있는 [[㈜앤드어스]]의 최고기술책임자로서, [[deb 합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SK증권, 대신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 우리은행 등에서 강연 및 교육을 통해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있다.
+
* '''[[박성준]]''' :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외부초빙교수이자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의 센터장이다. [[앤드어스체인]]을 개발하고 있는 [[㈜앤드어스]]의 최고기술책임자로서, [[deb 합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SK증권, 대신금융그룹, 신한금융그룹, 우리은행 등에서 강연 및 교육을 통해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있다.
 
* '''[[원정연]]''' : [[에스케이㈜ 씨앤씨]] ICT 기술사업을 담당하는 상무이다. 국내 블록체인 사업의 선도주자인 에스케이㈜ 씨앤씨에서 해당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ISO/TC307)의 전문위원도 역임하고 있다.
 
* '''[[원정연]]''' : [[에스케이㈜ 씨앤씨]] ICT 기술사업을 담당하는 상무이다. 국내 블록체인 사업의 선도주자인 에스케이㈜ 씨앤씨에서 해당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ISO/TC307)의 전문위원도 역임하고 있다.
 
* '''[[박세열]]''' : [[한국IBM]]에서 블록체인 기술총괄을 역임하고 있다. 모든 산업에서 블록체인을 위한 혁신과 차별화 역량을 IBM 관점에서 개발하고 전달하는 업무를 총괄한다. 최근 주요 핀테크,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 및 주제 발표자로 활동하고 있다.
 
* '''[[박세열]]''' : [[한국IBM]]에서 블록체인 기술총괄을 역임하고 있다. 모든 산업에서 블록체인을 위한 혁신과 차별화 역량을 IBM 관점에서 개발하고 전달하는 업무를 총괄한다. 최근 주요 핀테크,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 및 주제 발표자로 활동하고 있다.
* '''[[서문규]]''' :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사업본부장 및 이사이다. 블록체인이 접목될 수 있는 광범위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접점에서 이미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 선불카드, AT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 '''[[서문규]]''' :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사업본부장 및 이사이다. 블록체인이 접목 될 수 있는 광범위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접점에서 이미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 선불카드, AT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김태원]]''' :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과 핀테크 사업 전문 업체인 [[㈜글로스퍼]]의 대표이사이자,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인 하이콘(Hycon)의 창시자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집단지성센터 블록체인위원회 의원을 역임하고 있다.
 
* '''[[김태원]]''' :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과 핀테크 사업 전문 업체인 [[㈜글로스퍼]]의 대표이사이자,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인 하이콘(Hycon)의 창시자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집단지성센터 블록체인위원회 의원을 역임하고 있다.
 
* '''[[권성철]]''' : [[전력연구원]] 책임 연구원으로, 블록체인을 통해 구현될 스마트 시티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다. 그는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7에서 "에너지 블록체인 현황 및 향후 전망"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권성철]]''' : [[전력연구원]] 책임 연구원으로, 블록체인을 통해 구현될 스마트 시티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다. 그는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7에서 "에너지 블록체인 현황 및 향후 전망"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 '''[[김종승]]''' : [[에스케이텔레콤㈜]] 사물인터넷(IoT) 신규사업 기획팀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했으며, ICT 분야에서 주로 유망기술(Emerging Technology) 전략과 사업개발 업무를 진행 해왔다.
 
* '''[[김종승]]''' : [[에스케이텔레콤㈜]] 사물인터넷(IoT) 신규사업 기획팀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했으며, ICT 분야에서 주로 유망기술(Emerging Technology) 전략과 사업개발 업무를 진행 해왔다.
* '''[[박형주]]''' : [[국민은행]] 스마트전략 부장으로,  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의 발굴 및 제휴뿐만 아니라 최근 은행권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리브 모바일 사업 실무를 총괄했다.
+
* '''[[박형주]]''' : [[국민은행]] 스마트전략 부장으로,  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의 발굴 및 제휴 뿐만 아니라 최근 은행권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있다. 또한, 리브 모바일 사업 실무를 총괄했다.
 
* '''[[서영일]]''' : [[㈜케이티]]의 상무로 블록체인 연구개발 총괄 책임자이다. 그는 90년대 중반부터 ㈜케이티 융합기술원에 재직하며 IPTV 등 굵직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왔으며, 카드사 블록체인 기반 문서관리시스템, 프로그래머블 코인(Programmable Coin) 사업을 진행했다.
 
* '''[[서영일]]''' : [[㈜케이티]]의 상무로 블록체인 연구개발 총괄 책임자이다. 그는 90년대 중반부터 ㈜케이티 융합기술원에 재직하며 IPTV 등 굵직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왔으며, 카드사 블록체인 기반 문서관리시스템, 프로그래머블 코인(Programmable Coin) 사업을 진행했다.
  
189번째 줄: 189번째 줄:
 
{{글 보임 끝}}
 
{{글 보임 끝}}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Science ICT BCC) : 방송위원회의 방송 정책 및 규제, 정보통신부의 통신 서비스 정책과 규제를 총괄하는 국회 소속의 기구이다. 20대 국회 전반기 현임 위원장은 [[자유한국당]] 소속 [[신상진]]이다.
+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Science ICT BCC) : 방송위원회의 방송 정책 및 규제, 정보통신부의 통신서비스 정책과 규제를 총괄하는 국회 소속의 기구이다. 20대 국회 전반기 현임 위원장은 [[자유한국당]] 소속 [[신상진]]이다.
* '''[[민주연구원]]'''(The Institute for Demovracy) : 2008년에 민주당 산하의 정책 연구소로 설립되었다. 이후, 합당 등의 과정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산하에 있게 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의 정책과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연구원장은 [[양정철]]이다.
+
* '''[[민주연구원]]'''(The Institute for Demovracy) : 2008년에 민주당 산하의 정책 연구소로 설립되었다. 이후, 합당 등의 과정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산하에 있게 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의 정책과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연구원장은 [[양정철]]이다.
* '''[[세계경제포럼]]'''(WEF) :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저널리스트,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국제 민간회의이다. '세계 경제올림픽'으로 불릴 만큼 권위와 영향력이 있는 유엔 비정부 자문기구로 성장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나 서방 선진 7개국(G7) 회담 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 '''[[세계경제포럼]]'''(WEF) : 저명한 기업인, 경제학자, 저널리스트,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국제민간회의이다. '세계경제올림픽'으로 불릴 만큼 권위와 영향력이 있는 유엔 비정부자문기구로 성장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나 서방선진 7개국(G7) 회담 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R3]]''' : 세계 최대의 블록체인 컨소시엄이다. 분산원장 기술인 코다(Corda)를 이용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인 코다 플랫폼을 개발했다. 코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금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주도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을 금융 산업에 본격적으로 적용,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R3]]''' : 세계 최대의 블록체인 컨소시엄이다. 분산원장 기술인 코다(Corda)를 이용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인 코다 플랫폼을 개발했다. 코다 플랫폼을 기반으로 금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주도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을 금융 산업에 본격적으로 적용,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전력연구원]]'''(KEPCO) : 1961년 한국전력 전기 시험소로 출범하여 1993년 대덕연구단지에 둥지를 튼 한국전력공사 기업부설 연구소이다.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력그룹사의 중앙연구소로 한국 전력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전력연구원장은 [[김숙철]]이다.
+
* '''[[전력연구원]]'''(KEPCO) : 1961년 한국전력 전기시험소로 출범하여 1993년 대덕연구단지에 둥지를 튼 한국전력공사 기업부설연구소이다.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력그룹사의 중앙연구소로 한국 전력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전력연구원장은 [[김숙철]]이다.  
 
* '''[[㈜케이티]]'''(KT) : 대한민국의 유무선 통신 서비스 매출액 1위의 선두 업체이다. 유·무선 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 유·무선 통신 서비스업이 주요 업종이다.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창립한 뒤 2001년 12월에 ㈜케이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대표이사는 [[황창규]]이다.
 
* '''[[㈜케이티]]'''(KT) : 대한민국의 유무선 통신 서비스 매출액 1위의 선두 업체이다. 유·무선 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 유·무선 통신 서비스업이 주요 업종이다.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창립한 뒤 2001년 12월에 ㈜케이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대표이사는 [[황창규]]이다.
*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 : 2017년 8월에 출범한 민주연구원의 부설 연구소이다. 국민주권선거 대책위원회 산하 기구이며, 조직을 계승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의 상시적인 정책 싱크탱크이다. 센터장은 [[공구]]이다.
+
* '''[[민주연구원 집단지성센터]]''' : 2017년 8월에 출범한 민주연구원의 부설 연구소이다.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산하 기구이며, 조직을 계승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의 상시적인 정책 싱크탱크이다. 센터장은 [[공구]]이다.
* '''[[서강대학교]]'''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명문 가톨릭 사립대학교이다. 예수회가 미국의 학부 중심 대학(Liberal Arts College)를 모델로 설립하고 개교 10년만인 1970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국내 최초로 대학 공연장인 메리홀(Marry Hall)과 국내 최초로 완전 개가식 체제의 로욜라(Loyaola) 도서관을 개관하였다. 총장은 [[박종구]]이다.
+
* '''[[서강대학교]]'''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명문 가톨릭 사립 대학교이다. 예수회가 미국의 학부중심대학(Liberal Arts College)를 모델로 설립하고 개교 10년만인 1970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국내 최초로 대학 공연장인 메리홀(Marry Hall)과 국내 최초로 완전 개가식 체제의 로욜라(Loyaola) 도서관을 개관하였다. 총장은 [[박종구]]이다.
  
 
=== 후원업체 ===
 
=== 후원업체 ===
209번째 줄: 209번째 줄:
 
* '''[[서울]]''' : 한반도 중앙부에 있는 대한민국의 수도로,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2022년까지 총 14개의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시장은 [[박원순]]이다.
 
* '''[[서울]]''' : 한반도 중앙부에 있는 대한민국의 수도로,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2022년까지 총 14개의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시장은 [[박원순]]이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대한민국의 인터넷 진흥, 인터넷 정보보호 및 그에 대한 국제 협력 업무를 수행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2009년 7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기관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정보통신국제협력진흥원(KIICA)이 통합되어 출범하였다. 원장은 [[김석환]]이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대한민국의 인터넷 진흥, 인터넷 정보보호 및 그에 대한 국제 협력 업무를 수행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다. 2009년 7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기관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정보통신국제협력진흥원(KIICA)이 통합되어 출범하였다. 원장은 [[김석환]]이다.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 부속 기관으로 통합된 공공기관이며, 정보통신 분야 기획 및 평가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정부의 연구관리 전문기관 효율화 방침에 따라 2019년 1월 1일부터 한국연구재단 부설기관으로 통합, 운영된다. 원장은 [[석재범]]이다.
+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부속 기관으로 통합된 공공기관이며, 정보통신 분야 기획 및 평가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정부의 연구관리 전문기관 효율화 방침에 따라 2019년 1월 1일부터 한국연구재단 부설기관으로 통합, 운영된다. 원장은 [[석재범]]이다.
* '''[[금융보안원]]''' : 금융위원회의 주도로 금융권 사이버 위협정보를 원활하게 공유하고 금융보안을 전담하기 위해서 기존 금융결제원의 금융 ISAC, 코스콤의 증권 ISAC, 금융보안연구원이 합쳐져 만들어진 기관으로 2015년 4월 10일에 출범했다.
+
* '''[[금융보안원]]''' : 금융위원회의 주도로 금융권 사이버 위협정보를 원활하게 공유하고 금융보안을 전담하기 위해서 기존 금융결제원의 금융ISAC, 코스콤의 증권ISAC, 금융보안연구원이 합쳐져 만들어진 기관으로 2015년 4월 10일에 출범했다.
 
* '''[[블록체인 오픈포럼]]'''(Blockchain Open Forum) : 2018년 6월에 [[토큰포스트]](TokenPost)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 공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했다. 토큰포스트의 대표는 [[권성민]]이다.
 
* '''[[블록체인 오픈포럼]]'''(Blockchain Open Forum) : 2018년 6월에 [[토큰포스트]](TokenPost)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 공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했다. 토큰포스트의 대표는 [[권성민]]이다.
 
* '''[[에스케이㈜ 씨앤씨]]'''(SK C&C) : [[SK]]의 [[IT 서비스 회사]] 부문이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IT]] 아웃소싱 서비스 체제를 도입하면서 자산과 구매 통합을 통한 시너지 제고, 선진 SLA(Service Level Agreement) 체계 적용 등을 통해 비용 및 품질 면에서 우수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표는 [[안정옥]]이다.
 
* '''[[에스케이㈜ 씨앤씨]]'''(SK C&C) : [[SK]]의 [[IT 서비스 회사]] 부문이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IT]] 아웃소싱 서비스 체제를 도입하면서 자산과 구매 통합을 통한 시너지 제고, 선진 SLA(Service Level Agreement) 체계 적용 등을 통해 비용 및 품질 면에서 우수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표는 [[안정옥]]이다.
 
*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 : 에스케이그룹 계열의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이동전화, 유무선 통합 포털, 모바일 멀티미디어, 엠커머스, 글로벌 로밍,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등이다. 대표이사는 [[박정호]]이다.
 
*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 : 에스케이그룹 계열의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이동전화, 유무선 통합 포털, 모바일 멀티미디어, 엠커머스, 글로벌 로밍,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등이다. 대표이사는 [[박정호]]이다.
* '''[[국민은행]]'''(Kookmin Bank) : 1963년 2월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은행이자 [[KB금융그룹]]의 계열사이다. KB국민은행이라고도 한다. 주요 사업은 은행 업무, 신탁업무, [[신용카드]] 업무 등이다. 대표자는 [[허인]]이다.
+
* '''[[국민은행]]'''(Kookmin Bank) : 1963년 2월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은행이자 [[KB금융그룹]]의 계열사이다. KB국민은행<!--KB 국민은행-->이라고도 한다. 주요 사업은 은행업무, 신탁업무, [[신용카드]] 업무 등이다. 대표자는 [[허인]]이다.
* '''[[IBM]]''' : 사무용 기기 사업으로 출발하여 세계 최대 컴퓨터 제조업체로 성장한 후, 기업 컨설팅 및 IT 솔루션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서비스 분야에 치중하면서 빅데이터 사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지사의 대표는 [[장화진]]이다.
+
* '''[[IBM]]''' : 사무용 기기 사업으로 출발하여 세계 최대 컴퓨터 제조업체로 성장한 후, 기업 컨설팅 및 IT솔루션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서비스 분야에 치중하면서 빅데이터 사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지사의 대표는 [[장화진]]이다.
 
* '''[[㈜코인플러그]]'''(Coinplug) : 2013년 10월 4억 원의 엔젤투자를 유치하면서 설립된 한국의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인증 서비스를 위한 [[메타디움]] 자회사를 설립했고, [[씨피닥스]](CPDAX)라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어준선]]이다.
 
* '''[[㈜코인플러그]]'''(Coinplug) : 2013년 10월 4억 원의 엔젤투자를 유치하면서 설립된 한국의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인증 서비스를 위한 [[메타디움]] 자회사를 설립했고, [[씨피닥스]](CPDAX)라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어준선]]이다.
* '''[[㈜글로스퍼]]'''(Glosfer) :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과 핀테크 사업 전문 업체이다. 하이퍼 커넥티드 코인인 [[하이콘]](Hycon)과 지역 화폐인 [[노원화폐]](Nowon Cash) 등을 개발했다. 대표이사는 [[김태원]]이다.
+
* '''[[㈜글로스퍼]]'''(Glosfer) :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과 핀테크 사업 전문 업체이다. 하이퍼커넥티드 코인인 [[하이콘]](Hycon)과 지역 화폐인 [[노원화폐]](Nowon Cash) 등을 개발했다. 대표이사는 [[김태원]]이다.
 
* '''[[한국정보통신기술사협회]]'''(ICPEAK) : 정보 및 통신시스템의 효율적 기획, 개발,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건전한 국가 및 사회 건설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회장은 [[백형중]]이다.
 
* '''[[한국정보통신기술사협회]]'''(ICPEAK) : 정보 및 통신시스템의 효율적 기획, 개발,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건전한 국가 및 사회 건설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회장은 [[백형중]]이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