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8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KBIPA)]]
 
[[파일: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KBIPA)]]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8'''(Blockchain Industry Innovation Conference 2018)은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와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운영위원회와 [[㈜테크월드]]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2회 블록체인 산업혁신 콘퍼런스 행사이다. 간략히 '''BIIC 2018'''이라고 부른다. 11월 21일(수) 서울 용산구 청파로20길 95 [[서울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행사는 '2018 블록체인 KOREA 골든타임을 논하다'라는 주제로 지난 8월 '블록체인 오피니언 리더 좌담회'를 시작해, 10월 '블록체인 산업 리더 간담회'를 거쳐 4개월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되었다. 철저한 준비과정을 통해 국내외 블록체인 선도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8'''(Blockchain Industry Innovation Conference 2018)은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와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운영위원회(BIIC 운영위원회)와 [[㈜테크월드]]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2회 블록체인 산업혁신 콘퍼런스 행사이다. 간략히 '''BIIC 2018'''이라고 부른다. 11월 21일(수) 서울 용산구 청파로20길 95 [[서울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행사는 '2018 블록체인 KOREA 골든타임을 논하다'라는 주제로 지난 8월 '블록체인 오피니언 리더 좌담회'를 시작해, 10월 '블록체인 산업 리더 간담회'를 거쳐 4개월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되었다. 철저한 준비과정을 통해 국내외 블록체인 선도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
  
 
==개요==
 
==개요==
9번째 줄: 9번째 줄:
 
* 장소 :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20길 95 서울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
 
* 장소 :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20길 95 서울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
 
* 주최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블록체인 산업혁신 콘퍼런스 운영위원회, [[㈜테크월드]]
 
* 주최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블록체인 산업혁신 콘퍼런스 운영위원회, [[㈜테크월드]]
* 후원 기관 : [[주한 프랑스 대사관]],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 [[주한 러시아 무역대표부]]
+
* 후원 기관 : [[주한 프랑스 대사관]],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 [[주한 러시아연방 무역대표부]]
 
* 참가자 : 업계 관계자, 개발자, 투자자, 일반인, 학생 등  
 
* 참가자 : 업계 관계자, 개발자, 투자자, 일반인, 학생 등  
 
* 참가비 :
 
* 참가비 :
53번째 줄: 53번째 줄:
 
|align=center|10:45 ~ 11:00
 
|align=center|10:45 ~ 11:00
 
|align=center|'''발표4'''
 
|align=center|'''발표4'''
|align=center|[[정보통신기획평가원]] '''[[김종현 (정보통신기획평가원)|김종현]]''' 프로덕트 매니저
+
|align=center|[[정보통신기획평가원]] '''[[김종현]]''' 프로덕트 매니저
 
|align=center|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혁신
 
|align=center|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혁신
 
|-
 
|-
146번째 줄: 146번째 줄:
 
{{글 보임 끝}}
 
{{글 보임 끝}}
  
* '''[[김형주]]'''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이사장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학과, 동 대학교 대학원 동유럽지역연구학 석사 및 국제관계연구학 박사 과정을 졸업한 후 아름다운재단 등에서 활동하였다. 제17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 '''[[김형주]]'''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이사장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학과, 동 대학교 대학원 동유럽지역연구학 석사 및 국제관계연구학 박사 과정을 졸업한 후 아름다운재단 등에서 활동하였다. 제17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매트 루카스]]'''(Matt Lucas) : [[IBM]] 블록체인 인게이지먼트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산업군 내 블록체인 고객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컨셉, 고객 사례, 기술 문서 등 다수의 블록체인 저서를 저술했다.
 
* '''[[매트 루카스]]'''(Matt Lucas) : [[IBM]] 블록체인 인게이지먼트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산업군 내 블록체인 고객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컨셉, 고객 사례, 기술 문서 등 다수의 블록체인 저서를 저술했다.
 
* '''[[스텔라 쿵]]'''(Stella Kung) : 블록체인 컨설팅 그룹 [[파노니]](Panony)의 수석 고문이자 [[퀀텀]](QTUM)의 최고마케팅책임자이다. 파노니에서는 사업 전략 개발과 PR, 미디어 컨택 또한 맡고 있다. 퀀텀은 [[비트코인]]의 빌딩 블록을 사용하여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엔진을 연결한 플랫폼이다.
 
* '''[[스텔라 쿵]]'''(Stella Kung) : 블록체인 컨설팅 그룹 [[파노니]](Panony)의 수석 고문이자 [[퀀텀]](QTUM)의 최고마케팅책임자이다. 파노니에서는 사업 전략 개발과 PR, 미디어 컨택 또한 맡고 있다. 퀀텀은 [[비트코인]]의 빌딩 블록을 사용하여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엔진을 연결한 플랫폼이다.
 
* '''[[스티븐 케이드]]'''(Stephen Kade) : 미국 [[달러]]와 1:1로 교환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인 [[트루USD]](TrueUSD)를 만든 [[트러스트토큰]](TrustToken) 회사의 공동 창업자이다. 2018년 11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트루USD 코인에 대해 발표했다.
 
* '''[[스티븐 케이드]]'''(Stephen Kade) : 미국 [[달러]]와 1:1로 교환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인 [[트루USD]](TrueUSD)를 만든 [[트러스트토큰]](TrustToken) 회사의 공동 창업자이다. 2018년 11월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트루USD 코인에 대해 발표했다.
* '''[[김종현 (정보통신기획평가원)|김종현]]'''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블록체인]] 융합 분야 프로덕트 매니저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삼성SDS]], [[IBM]], EY, [[KB국민은행]], [[아주대학교]]에서 근무했다. 현재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근무 중이다.
+
* '''[[김종현]]'''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블록체인]] 융합 분야 프로덕트 매니저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했으며, [[삼성SDS]], [[IBM]], EY, [[KB국민은행]], [[아주대학교]]에서 근무했다. 현재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근무 중이다.
 
* '''[[김승기]]''' : 전자문서 인증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애스톤]](Aston)을 만든 [[㈜엑스블록시스템즈]](XBlock Systems)의 대표이자,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와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 '''[[김승기]]''' : 전자문서 인증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애스톤]](Aston)을 만든 [[㈜엑스블록시스템즈]](XBlock Systems)의 대표이자,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와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 '''[[예르네이 아다미치]]'''(Jernej Adamic) : 블록체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술들을 채택한 [[제노디스]](Zenodys)의 대표이다. 또한, 넥스트그리드(NextGrid)에서 딥러닝 기술을 홍보하는 후원자이다. 공익사업, 제조업체, 운송, 정부, 은행, 금융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근무했다.  
 
* '''[[예르네이 아다미치]]'''(Jernej Adamic) : 블록체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같은 기술들을 채택한 [[제노디스]](Zenodys)의 대표이다. 또한, 넥스트그리드(NextGrid)에서 딥러닝 기술을 홍보하는 후원자이다. 공익사업, 제조업체, 운송, 정부, 은행, 금융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근무했다.  
156번째 줄: 156번째 줄:
 
* '''[[권용석]]''' : [[애스톤]](Aston)을 만든 [[㈜엑스블록시스템즈]](XBlock Systems)의 최고기술책임자이다. 애스톤에 사용된 X-체인 기술은 기존 블록체인의 선형적 구조와는 다르게 다차원적인 구조로 블록들을 연결하여, 전자문서 환경에 최적화시켰다.
 
* '''[[권용석]]''' : [[애스톤]](Aston)을 만든 [[㈜엑스블록시스템즈]](XBlock Systems)의 최고기술책임자이다. 애스톤에 사용된 X-체인 기술은 기존 블록체인의 선형적 구조와는 다르게 다차원적인 구조로 블록들을 연결하여, 전자문서 환경에 최적화시켰다.
 
* '''[[정용협]]''' : [[㈜앤드어스]](AndUs)의 대표이다. deb 합의 알고리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앤드어스의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를 총괄한다. [[㈜아이씨엠SI]] 본부장을 지냈다. ㈜앤드어스는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개발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메인넷인 [[앤드어스체인]](AndUsChain)을 운영 중이다.
 
* '''[[정용협]]''' : [[㈜앤드어스]](AndUs)의 대표이다. deb 합의 알고리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앤드어스의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를 총괄한다. [[㈜아이씨엠SI]] 본부장을 지냈다. ㈜앤드어스는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개발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메인넷인 [[앤드어스체인]](AndUsChain)을 운영 중이다.
* '''[[김항진]]''' : ㈜데일리인텔리전스(Dayli Intelligence) 블록체인 사업부의 이사이자 [[㈜아이콘루프]](ICONLOOP)의 컨설팅본부 이사이다. 아이콘 프로젝트의 ICO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핵심 멤버로, 2017년 9월 아이콘 프로젝트는 당시 기준 45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치에 성공했다.
+
* '''[[김항진]]''' : [[㈜데일리인텔리전스]](Dayli Intelligence) 블록체인 사업부의 이사이자 [[㈜아이콘루프]](ICONLOOP)의 컨설팅본부 이사이다. 아이콘 프로젝트의 ICO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핵심 멤버로, 2017년 9월 아이콘 프로젝트는 당시 기준 45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치에 성공했다.
 
* '''[[박성대]]''' : 개인의 건강·의료 정보를 담는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인 헥스(HEX)를 구축한 [[헥스 이노베이션]]의(HEX Innov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이다. 이번 행사에서 '블록체인을 통한 의료산업 혁신'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 '''[[박성대]]''' : 개인의 건강·의료 정보를 담는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인 헥스(HEX)를 구축한 [[헥스 이노베이션]]의(HEX Innov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이다. 이번 행사에서 '블록체인을 통한 의료산업 혁신'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 '''[[김태원]]'''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인 [[하이콘]](Hycon)을 만든 [[㈜글로스퍼]]의 대표이사이다. 한국의 블록체인 1세대 인물이다. 동국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며 졸업한 후 한국신용평가정보에 입사한 후,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2012년 대학 후배 5명과 글로스퍼를 설립하였다.  
 
* '''[[김태원]]'''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암호화폐인 [[하이콘]](Hycon)을 만든 [[㈜글로스퍼]]의 대표이사이다. 한국의 블록체인 1세대 인물이다. 동국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며 졸업한 후 한국신용평가정보에 입사한 후,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2012년 대학 후배 5명과 글로스퍼를 설립하였다.  
 
* '''[[최수혁]]''' :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인 [[심버스]](SymVerse)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게임이론을 전공하여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근무했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겸임 교수이다. 2018년 ㈜심버스를 창업하고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 '''[[최수혁]]''' :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인 [[심버스]](SymVerse)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게임이론을 전공하여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근무했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겸임 교수이다. 2018년 ㈜심버스를 창업하고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 '''[[이진석]]''' : [[㈜오퍼스엠]]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이다.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를 개발한 [[㈜블로코]](Blocko)의 최고기술책임자,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 현재 블로코의 어드바이저를 맡고 있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출신으로 티맥스소프트(TmaxSoft) 추론 엔진을 개발했다.
 
* '''[[이진석]]''' : [[㈜오퍼스엠]]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이다.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를 개발한 [[㈜블로코]](Blocko)의 최고기술책임자,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 현재 블로코의 어드바이저를 맡고 있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출신으로 티맥스소프트(TmaxSoft) 추론 엔진을 개발했다.
* '''[[박세열]]''' : [[IBM]] 블록체인 기술 총괄 상무이다. 박세열은 블록체인 기술 개발 사업에 진출하여, [[하이퍼레저]](Hyperledger)라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이끌고 있으며, 각종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여하고, 블록체인에 관련된 시론을 썼다.
+
* '''[[박세열]]''' : [[IBM]] 블록체인 기술 총괄 상무이다. 박세열은 블록체인 기술 개발 사업에 진출하여, [[하이퍼레저]](Hyperledger)라는 [[프라비잇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이끌고 있으며, 각종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여하고, 블록체인에 관련된 시론을 썼다.
 
* '''[[김종광]]''' : [[㈜인섹시큐리티]](Insec Security)의 대표이자, 인섹시큐리티 교육센터 원장이다. 모바일 포렌식, 디지털 포렌식, 컴퓨터 포렌식 전문가, 컴퓨터 해킹 포렌식 전문가, 악성코드 분석가, 보안 취약점 분석가, 모의해킹, 침투테스터, 재해복구전문가, 통합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무선랜 보안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분야를 갖추고 있다.
 
* '''[[김종광]]''' : [[㈜인섹시큐리티]](Insec Security)의 대표이자, 인섹시큐리티 교육센터 원장이다. 모바일 포렌식, 디지털 포렌식, 컴퓨터 포렌식 전문가, 컴퓨터 해킹 포렌식 전문가, 악성코드 분석가, 보안 취약점 분석가, 모의해킹, 침투테스터, 재해복구전문가, 통합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무선랜 보안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분야를 갖추고 있다.
 
* '''[[권용민]]''' : [[에스케이텔레콤㈜]] 부장이다. 이번 행사에서 블록체인 신분증을 선보였다. 기존의 신분증이 단순히 누구인지를 증명했다면 에스케이텔레콤은 신분증은 소유자의 권한과 권리까지 증명한다. 기존의 주민등록증을 비롯해 운전면허증 및 각종 국가 자격증, 회원증, 사원증, 부동산 소유 증명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 '''[[권용민]]''' : [[에스케이텔레콤㈜]] 부장이다. 이번 행사에서 블록체인 신분증을 선보였다. 기존의 신분증이 단순히 누구인지를 증명했다면 에스케이텔레콤은 신분증은 소유자의 권한과 권리까지 증명한다. 기존의 주민등록증을 비롯해 운전면허증 및 각종 국가 자격증, 회원증, 사원증, 부동산 소유 증명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216번째 줄: 216번째 줄:
 
* 온오프믹스 사이트 - https://www.onoffmix.com/event/159552
 
* 온오프믹스 사이트 - https://www.onoffmix.com/event/159552
 
* 예르네이 아다미치 공식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jernejadamic/
 
* 예르네이 아다미치 공식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jernejadamic/
 +
* 안재후 기자, 〈[https://m.sedaily.com/NewsView/1S76A5PR80/GD01#_enliple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BIIC 2018), 곧 다가올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미래를 예견한다]〉, 《서울경제》, 2018-11-13
 +
* 김현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555926619405064&mediaCodeNo=257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BIIC 2018), 20일과 21일 개최]〉, 《이데일리》, 2018-11-12
 
* 〈[https://ko.wikipedia.org/wiki/%EB%9F%AC%EC%8B%9C%EC%95%84 러시아]〉,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B%9F%AC%EC%8B%9C%EC%95%84 러시아]〉, 《위키백과》
* 〈[https://namu.wiki/w/Qtum Qtum]〉, 《나무위키》
 
 
* 〈[https://www.nextico.co.kr/contact/noticeread?idx=76 헥스(Hex) 프리세일 안내]〉, 《넥스트ico》, 2018-08-31
 
* 〈[https://www.nextico.co.kr/contact/noticeread?idx=76 헥스(Hex) 프리세일 안내]〉, 《넥스트ico》, 2018-08-31
 
* 막내, 〈[https://blog.naver.com/poinsettia_sh/221346059905 애스톤(Aston, ATX) 코인 호재 분석 + 헥스(HEX) 코인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08-26
 
* 막내, 〈[https://blog.naver.com/poinsettia_sh/221346059905 애스톤(Aston, ATX) 코인 호재 분석 + 헥스(HEX) 코인분석]〉, 《네이버 블로그》, 2018-08-26
225번째 줄: 226번째 줄:
 
* 김진범, 〈[http://www.coinreaders.com/4095 퀀텀(QTUM) 수석 마케팅책임자 스텔라 쿵 “미디어, 정확한 분석 위해 블록체인 기술 먼저 이해해야”]〉, 《코인리더스》, 2019-05-05
 
* 김진범, 〈[http://www.coinreaders.com/4095 퀀텀(QTUM) 수석 마케팅책임자 스텔라 쿵 “미디어, 정확한 분석 위해 블록체인 기술 먼저 이해해야”]〉, 《코인리더스》, 2019-05-05
 
* 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article-8530 파노니 수석 고문 스텔라 쿵, "미디어, 정확한 분석 위해 블록체인 기술 먼저 이해해야"]〉, 《토큰포스트》, 2019-04-24
 
* 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article-8530 파노니 수석 고문 스텔라 쿵, "미디어, 정확한 분석 위해 블록체인 기술 먼저 이해해야"]〉, 《토큰포스트》, 2019-04-24
 +
* 〈[https://namu.wiki/w/Qtum Qtum]〉, 《나무위키》
 
* 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article-918 권용석 CTO "모바일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기술로 탈중앙화 구현 목표"]〉, 《토큰포스트》, 2017-11-29
 
* 토큰포스트, 〈[https://www.tokenpost.kr/article-918 권용석 CTO "모바일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기술로 탈중앙화 구현 목표"]〉, 《토큰포스트》, 2017-11-29
 
* 정세례 기자, 〈[http://www.blockchainnews.co.kr/news/view.php?idx=3059 "블록체인 몰라도 돼" SKT-글로스퍼, 상용 블록체인 기술 공개]〉, 《블록체인뉴스》, 2018-11-21
 
* 정세례 기자, 〈[http://www.blockchainnews.co.kr/news/view.php?idx=3059 "블록체인 몰라도 돼" SKT-글로스퍼, 상용 블록체인 기술 공개]〉, 《블록체인뉴스》, 2018-11-21
* 안재후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6A5PR80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BIIC 2018), 곧 다가올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미래를 예견한다]〉, 《서울경제》, 2018-11-13
 
* 김현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555926619405064&mediaCodeNo=257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BIIC 2018), 20일과 21일 개최]〉, 《이데일리》, 2018-11-12
 
*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3469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BIIC 2018, 서울 드래곤시티서 20·21일 개최]〉, 《블록타임즈TV닷컴》, 2018-11-14
 
* 정환용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766 (BIIC 2018) 앤드어스체인의 미래]〉, 《씨씨티브이뉴스》, 2018-11-21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439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BIIC), ‘융·복합 서울 대표 MICE’에 선정]〉, 《씨씨티브이뉴스》, 2018-04-23
 
* 양대규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782 (BIIC 2018) IBM 박세열 상무 “블록체인 생태계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씨씨티브이뉴스》, 2018-11-21
 
* 김현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762166619408016&mediaCodeNo=257 매트 루카스 “IBM, 600개 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진행중”]〉, 《이데일리》, 2018-11-21
 
* 백정호 기자, 〈[https://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5 스테판 케이드 TUSD 공동 설립자 "접근성과 투명성이 가장 큰 무기"]〉, 《더비체인》, 2018-11-26
 
* 김현아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78646619408016&mediaCodeNo=257 "김대중 대통령이 키운 인터넷, 문재인 대통령은 블록체인 경제로 가야"]〉, 《이데일리》, 2018-11-21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994 심버스 최수혁 대표,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유저 보유한 네트워크 될 것”]〉, 《씨씨티브이뉴스》, 2018-11-29
 
* 신보훈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181123085152979 “블록체인 산업, 현재와 미래”…’BIIC2018’ 개최]〉, 《아주경제》, 2018-11-23
 
* 신동훈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989 IBM, AI로 보안 위협 새로운 통찰력 제공하는 ‘큐레이더 어드바이저 2.0’ 론칭]〉, 《씨씨티브이뉴스》, 2018-12-05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942 (Pre-BIIC2018) 글로벌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트레이드렌즈]〉, 《씨씨티브이뉴스》, 2018-11-08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028 (Pre-BIIC2018) SK텔레콤, 블록체인 기반 ‘전국민 모바일 신분증’ 준비한다]〉, 《씨씨티브이뉴스》, 2018-11-09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238 (Pre-BIIC2018) 인섹시큐리티,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대응을 위한 방안]〉, 《씨씨티브이뉴스》, 2018-11-13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952 (Pre-BIIC2018) HEX, 개인이 주도하는 건강정보 비즈니스 생태계 구성이 목표]〉, 《씨씨티브이뉴스》, 2018-11-12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186 (Pre-BIIC2018) 얍체인, 블록체인 기술 체감위한 상용화 서비스 만들어 갈 것]〉, 《씨씨티브이뉴스》, 2018-11-12
 
* 조중환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869 (Pre-BIIC2018) 애스톤, 전자문서 생태계 구축위한 탈중앙화된 전자문서 플랫폼]〉, 《씨씨티브이뉴스》, 2018-11-07
 
* 김우겸 기자, 〈[http://www.kidd.co.kr/news/205814 (포토뉴스)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BIIC2018)’]〉, 《산업일보》, 2018-11-21
 
* 양대규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767 (BIIC 2018) HEX 박성대 매니저 ”블록체인 기반의 유기적인 헬스케어 플랫폼”]〉, 《씨씨티브이뉴스》, 2018-11-21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
*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운영위원회]]
 
* [[㈜테크월드]]
 
* [[㈜테크월드]]
  
{{한국 블록체인 행사|좋은글}}
+
{{행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