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들 서울 2018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시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시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8%"|구분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0%"|구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발 표 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발 표 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45%"|발표 주제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27%"|발표 주제
 
|-
 
|-
 
|align=center bgcolor="#ffffff"|08:00 ~ 09:00
 
|align=center bgcolor="#ffffff"|08:00 ~ 09:00
44번째 줄: 44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0:20 ~ 10:50
 
|align=center bgcolor="#f5ffff"|10:20 ~ 10:50
|align=center bgcolor="#f5ffff"|'''휴식'''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휴식'''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참가자 전원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0:50 ~ 11:20
 
|align=center|10:50 ~ 11:20
63번째 줄: 61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점심 식사'''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점심 식사'''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참가자 전원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3:10 ~ 13:30
 
|align=center|13:10 ~ 13:30
89번째 줄: 85번째 줄:
 
|align=center|14:30 ~ 14:50
 
|align=center|14:30 ~ 14:50
 
|align=center|'''발표'''
 
|align=center|'''발표'''
|align=center colspan="2"|[[누사이퍼]] '''[[매클레인 윌키슨]]''' 대표이사
+
|align=center colspan="2"|[[누사이퍼]] '''[[맥레인 윌키슨]]''' 대표이사
 
|align=center|누사이퍼 : 분산 웹의 개인정보보호 계층
 
|align=center|누사이퍼 : 분산 웹의 개인정보보호 계층
 
|-
 
|-
102번째 줄: 98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5:40 ~ 16:10
 
|align=center bgcolor="#f5ffff"|15:40 ~ 16:10
|align=center bgcolor="#f5ffff"|'''휴식'''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휴식'''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참가자 전원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 rowspan=2|16:10 ~ 17:00
 
|align=center rowspan=2|16:10 ~ 17:00
141번째 줄: 135번째 줄: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시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시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8%"|구분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0%"|구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발 표 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발 표 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45%"|발표 주제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27%"|발표 주제
 
|-
 
|-
 
|align=center bgcolor="#ffffff"|09:00 ~ 10:00
 
|align=center bgcolor="#ffffff"|09:00 ~ 10:00
152번째 줄: 146번째 줄:
 
|align=center|10:00 ~ 10:10
 
|align=center|10:00 ~ 10:10
 
|align=center|'''소개'''
 
|align=center|'''소개'''
|align=center colspan="2"|[[크립토서울]] '''[[강현정]]'''(Erica Kang) 설립자
+
|align=center colspan="2"|[[크립토서울]] '''[[에리카 강]]'''  설립자
 
|align=center|
 
|align=center|
 
|-
 
|-
180번째 줄: 174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점심 식사'''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점심 식사'''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참가자 전원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3:10 ~ 13:30
 
|align=center|13:10 ~ 13:30
211번째 줄: 203번째 줄:
 
|-
 
|-
 
|align=center|패널
 
|align=center|패널
|align=center|[[리팩터캐피탈]] '''[[데이비드 리]]''' 공동설립자<br>[[블록워터캐피탈]] '''[[신채호]]''' 공동설립자<br>[[한화투자증권]] '''[[김열매]]''' 애널리스트<br>[[원케이엑스]] '''[[라세 클라우젠]]''' 설립파트너
+
|align=center|[[리팩터캐피탈]] '''[[데이비드 리]]''' 공동설립자<br>[[블록워터캐피탈]] '''[[신채호]]''' 공동설립자<br>[[한화투자증권]] '''[[김열매]]''' 애널리스트<br>[[1KX]] '''[[라세 클라우젠]]''' 설립파트너
 
|-
 
|-
 
|align=center bgcolor="#f5ffff"|15:10 ~ 15:40
 
|align=center bgcolor="#f5ffff"|15:10 ~ 15:40
|align=center bgcolor="#f5ffff"|'''휴식'''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휴식'''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참가자 전원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5:40 ~ 16:10
 
|align=center|15:40 ~ 16:10
248번째 줄: 238번째 줄:
 
|align=center bgcolor="#f5ffff"|18:20 ~ 18:30
 
|align=center bgcolor="#f5ffff"|18:20 ~ 18:30
 
|align=center bgcolor="#f5ffff"|'''엔딩'''
 
|align=center bgcolor="#f5ffff"|'''엔딩'''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크립토서울]] '''[[강현정]]'''(Erica Kang) 대표이사
+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크립토서울]] '''[[에리카 강]]''' 대표이사
 
|align=center bgcolor="#f5ffff"|
 
|align=center bgcolor="#f5ffff"|
 
|}
 
|}
257번째 줄: 247번째 줄:
 
:{|class=wikitable width=11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class=wikitable width=11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big>'''BUIDL SEOUL 2018(DAVINCI BALLROOM)'''</big>
 
|+<big>'''BUIDL SEOUL 2018(DAVINCI BALLROOM)'''</big>
|align=center colspan="5"|<big>'''Thursday, November 29, 2018'''</big>
+
|align=center colspan="5"|<big>'''2018년 11월 29일 목요일'''</big>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Time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시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0%"|Sortation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0%"|구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Presenter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발 표 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27%"|Presentation Topic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27%"|발표 주제
 
|-
 
|-
 
|align=center bgcolor="#ffffff"|08:00 ~ 09:00
 
|align=center bgcolor="#ffffff"|08:00 ~ 09:00
285번째 줄: 275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0:20 ~ 10:50
 
|align=center bgcolor="#f5ffff"|10:20 ~ 10:50
|align=center bgcolor="#f5ffff"|'''Coffee Break'''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Coffee Break'''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All participant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0:50 ~ 11:20
 
|align=center|10:50 ~ 11:20
304번째 줄: 292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LUNCH'''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LUNCH'''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All participant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3:10 ~ 13:30
 
|align=center|13:10 ~ 13:30
343번째 줄: 329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5:40 ~ 16:10
 
|align=center bgcolor="#f5ffff"|15:40 ~ 16:10
|align=center bgcolor="#f5ffff"|'''Coffee Break'''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Coffee Break'''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All participant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 rowspan=2|16:10 ~ 17:00
 
|align=center rowspan=2|16:10 ~ 17:00
379번째 줄: 363번째 줄:
  
 
:{|class=wikitable width=11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class=wikitable width=11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align=center colspan="5"|<big>'''Friday, November 30, 2018'''</big>
+
|align=center colspan="5"|<big>'''2018년 11월 39일 목요일'''</big>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Time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20|시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0%"|Sortation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0%"|구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Presenter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colspan="2"|발 표 자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27%"|Presentation Topic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27%"|발표 주제
 
|-
 
|-
 
|align=center bgcolor="#ffffff"|09:00 ~ 10:00
 
|align=center bgcolor="#ffffff"|09:00 ~ 10:00
421번째 줄: 405번째 줄:
 
|-
 
|-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12:10 ~ 13:10
|align=center bgcolor="#f5ffff"|'''LUNCH'''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LUNCH'''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All participant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3:10 ~ 13:30
 
|align=center|13:10 ~ 13:30
452번째 줄: 434번째 줄:
 
|-
 
|-
 
|align=center|Panelists
 
|align=center|Panelists
|align=center|'''[[David Lee]]''' (Managing Partner, [[Refactor Capital]])<br>'''[[Chaeho Shin]]''' (Managing Partner, [[Blockwater Capital]])<br>'''[[Yeol Mae Kim]]''' (Analayst, [[Hanwha Investment & Securities]])<br>'''[[Lasse Clausen]]''' (Founding Partner, [[원케이엑스]])
+
|align=center|'''[[David Lee]]''' (Managing Partner, [[Refactor Capital]])<br>'''[[Chaeho Shin]]''' (Managing Partner, [[Blockwater Capital]])<br>'''[[Yeol Mae Kim]]''' (Analayst, [[Hanwha Investment & Securities]])<br>'''[[Lasse Clausen]]''' (Founding Partner, [[1kx]])
 
|-
 
|-
 
|align=center bgcolor="#f5ffff"|15:10 ~ 15:40
 
|align=center bgcolor="#f5ffff"|15:10 ~ 15:40
|align=center bgcolor="#f5ffff"|'''Coffee Break'''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5ffff" colspan="5"|'''휴식'''
|align=center bgcolor="#f5ffff" colspan="2"|All participant
 
|align=center bgcolor="#f5ffff"|
 
 
|-
 
|-
 
|align=center|15:40 ~ 16:10
 
|align=center|15:40 ~ 16:10
497번째 줄: 477번째 줄:
 
{{글 보임 시작}}
 
{{글 보임 시작}}
 
{{이미지블록180
 
{{이미지블록180
|제임스 롭||[[카사]] CTO|재 권||[[코스모스코인]] 설립자|거빈더 알루왈리아||[[디지털트윈랩스]] 대표|데이비드 리||[[리팩터캐피탈]] 파트너|로이 루||[[카이버 네트워크]] 대표|차오헝||[[아이리스넷]] 공동창업자|존 최||[[이더리움 재단]] 엔지니어|디에고 잘디바르||[[루트스탁]] 대표|알리스테어 스튜어트||[[Web3.js]] 연구책임자|김용대||[[카이스트]] 교수|버질 그리피스||[[이더리움 재단]] 기술자|매클레인 윌키슨||[[누사이퍼]] 대표|천정희||[[래셔널마인드]] 공동창업자|윌리엄 마티노||[[카데나]] 대표|에릭 윌리엄스||공동 창립자|크리스티 김||[[옴브레이터]] 대표|스티븐 케이드||[[트러스트토큰]] 공동 창립자|김재윤||[[디사이퍼]] 학회장|가이 지스킨드||[[이니그마]] 대표|로버트 하버마이어||[[폴카닷]] 대표|토머 아펙||[[스페이스메시]] 공동 창립자|브루클린 어릭||[[아라]] 대표|박승택||[[액트투 테크놀로지스]] CTO|김원범||[[블로코]] 대표|아와 선 인||[[크립티움랩스]] 대표|정은진||[[래셔널마인드]] 공동 창립자|케이 오다||[[퀀트스탬프]] 관리자|룽 왕||[[리퍼블릭 프로토콜]] CTO|오비나타 유스케||[[노드 도쿄]] 대표|프레데리코 사비노||[[노시스]] 엔지니어|조시 프레이저||[[오리진]] 대표|베니 지앙||[[크립토키티]] 공동 설립자|조나단 추||[[비토큰]] 공동 창립자|요헤이 오카||[[퀀트스탬프]] 엔지니어|이유리||[[더블유재단]] 대표|아민 솔레이마니||[[스팽크체인]] 대표|데이비드 노트||[[오미세고]] 연구원|에릭 정||[[대퍼 네트워크]] 대표|하시은||[[논스]] 공동 설립자|후지모토 마이||[[그라코네]] 대표|벤자민 라모||[[바이낸스랩스]] 이사|김열매||[[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임무영||[[김앤장]] 변호사|량칭카이||[[셀러네트워크]] 공동 설립자|딘 아이겐만||[[이더리움네임서비스]] 설립자|신채호||[[블록워터캐피탈]] 책임자|이도 벤토프||[[스페이스메시]] 과학자|김승주||[[고려대학교]] 교수|최윤일||[[삼성전자]] 연구원|알레한드로 반자스||[[루트스탁]] 개발자|스콧 무어||[[깃코인]] 기술개발자|딜런 존스||[[리퍼리움]] 설립자|주기영||[[크립토퀀트]] 대표|김승우||[[코드체인]] 엔지니어|김승환||[[메디블록]] 개발자|에디 송||[[디콘]] 파트너|서상민||[[그라운드엑스]] 기술책임자|김종호||[[해치랩스]] 대표|윤희균||[[카데나]] 엔지니어|칼 린||[[솔라나]] 엔지니어|딜런 댐 스마||[[크립토마인디드]] 공동 설립자|라세 클라우젠||[[원케이엑스]] 대표|강현정||[[크립토서울]] 대표|}}
+
|제임스 롭||[[카사]] CTO|재 권||[[코스모스코인]] 설립자|거빈더 알루왈리아||[[디지털트윈랩스]] 대표|데이비드 리||[[리팩터캐피탈]] 파트너|로이 루||[[카이버 네트워크]] 대표|차오헝||[[아이리스넷]] 공동창업자|존 최||[[이더리움 재단]] 엔지니어|디에고 잘디바르||[[루트스탁]] 대표|알리스테어 스튜어트||[[Web3.js]] 연구책임자|김용대||[[카이스트]] 교수|버질 그리피스||[[이더리움 재단]] 기술자|맥레인 윌키슨||[[누사이퍼]] 대표|천정희||[[래셔널마인드]] 공동창업자|윌리엄 마티노||[[카데나]] 대표|에릭 윌리엄스||공동 창립자|크리스티 김||[[옴브레이터]] 대표|스티븐 케이드||[[트러스트토큰]] 공동 창립자|김재윤||[[디사이퍼]] 학회장|가이 지스킨드||[[이니그마]] 대표|로버트 하버마이어||[[폴카닷]] 대표|토머 아펙||[[스페이스메시]] 공동 창립자|브루클린 얼릭||[[아라]] 대표|박승택||[[액트투 테크놀로지스]] CTO|김원범||[[블로코]] 대표|아와 선 인||[[크립티움랩스]] 대표|정은진||[[래셔널마인드]] 공동 창립자|케이 오다||[[퀀트스탬프]] 관리자|룽 왕||[[리퍼블릭 프로토콜]] CTO|오비나타 유스케||[[노드 도쿄]] 대표|프레데리코 사비노||[[노시스]] 엔지니어|조시 프레이저||[[오리진]] 대표|베니 지앙||[[크립토키티]] 공동 설립자|조나단 추||[[비토큰]] 공동 창립자|요헤이 오카||[[퀀트스탬프]] 엔지니어|이유리||[[더블유재단]] 대표|아민 솔레이마니||[[스팽크체인]] 대표|데이비드 노트||[[오미세고]] 연구원|에릭 정||[[대퍼 네트워크]] 대표|하시은||[[논스]] 공동 설립자|후지모토 마이||[[그라코네]] 대표|벤자민 라모||[[바이낸스랩스]] 이사|김열매||[[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임무영||[[김앤장]] 변호사|량칭카이||[[셀러네트워크]] 공동 설립자|딘 아이겐만||[[이더리움네임서비스]] 설립자|신채호||[[블록워터캐피탈]] 책임자|이도 벤토프||[[스페이스메시]] 과학자|김승주||[[고려대학교]] 교수|최윤일||[[삼성전자]] 연구원|알레한드로 반자스||[[루트스탁]] 개발자|스콧 무어||[[깃코인]] 기술개발자|딜런 존스||[[리퍼리움]] 설립자|주기영||[[크립토퀀트]] 대표|김승우||[[코드체인]] 엔지니어|김승환||[[메디블록]] 개발자|에디 송||[[디콘]] 파트너|서상민||[[그라운드엑스]] 기술책임자|김종호||[[해치랩스]] 대표|윤희균||[[카데나]] 엔지니어|칼 린||[[솔라나]] 엔지니어|딜런 댐 스마||[[크립토마인디드]] 공동 설립자|라세 클라우젠||[[1KX]] 대표|에리카강||[[크립토서울]] 대표|}}
 
{{글 보임 끝}}
 
{{글 보임 끝}}
  
511번째 줄: 491번째 줄:
 
* '''[[김용대]]'''(Youngdae Kim) : 연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수로 10년간 정보보호 연구 활동을 했다. 현재 [[카이스트]](KAIST)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이버보안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 '''[[김용대]]'''(Youngdae Kim) : 연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수로 10년간 정보보호 연구 활동을 했다. 현재 [[카이스트]](KAIST)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이버보안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 '''[[버질 그리피스]]'''(Virgil Griffith) :  [[이더리움재단]](Ethereum foundation) 기술자다.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그는 2019년 4월 평양에서 열린 ‘블록체인·암호화폐 컨퍼런스’에 참석해 (북한이) 암호화폐를 이용해 글로벌 금융 시스템으로부터 독립하는 방법 등을 강연한 거로 알려졌다.
 
* '''[[버질 그리피스]]'''(Virgil Griffith) :  [[이더리움재단]](Ethereum foundation) 기술자다.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그는 2019년 4월 평양에서 열린 ‘블록체인·암호화폐 컨퍼런스’에 참석해 (북한이) 암호화폐를 이용해 글로벌 금융 시스템으로부터 독립하는 방법 등을 강연한 거로 알려졌다.
* '''[[매클레인 윌키슨]]'''(MacLane Wilkison) : 매클레인 윌키슨은 [[누사이퍼]]의 대표이사이다. 누사이퍼는 이더리움 등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 디앱들에게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  2015년 디앱 개발자들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사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목표로 설립됐다.  
+
* '''[[맥레인 윌키슨]]'''(MacLane Wilkison) : 맥레인 윌키슨은 [[누사이퍼]]의 대표이사이다. 누사이퍼는 이더리움 등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 디앱들에게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  2015년 디앱 개발자들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사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목표로 설립됐다.  
 
* '''[[천정희]]'''(Junghee Cheon) :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이다. '암호학의 대가'라고 불리며 미국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정은진]] 교수와 함께 [[래셔널마인드]](Rational Mind) 회사를 창업하고,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천정희]]'''(Junghee Cheon) :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이다. '암호학의 대가'라고 불리며 미국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정은진]] 교수와 함께 [[래셔널마인드]](Rational Mind) 회사를 창업하고,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윌리엄 마티노]]'''(William Martino) : 현재 [[카데나]]의 대표이사이다.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의 견고함과 공용 네트워크에서 발견되는 속도를 융합한 최초의 전체적 블록체인 기술 업체이다. 카데나 하이브리드 (퍼블릭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은 확장성, 보안성, 빠른 속도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 '''[[윌리엄 마티노]]'''(William Martino) : 현재 [[카데나]]의 대표이사이다.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의 견고함과 공용 네트워크에서 발견되는 속도를 융합한 최초의 전체적 블록체인 기술 업체이다. 카데나 하이브리드 (퍼블릭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은 확장성, 보안성, 빠른 속도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521번째 줄: 501번째 줄:
 
* '''[[로버트 하버마이어]]'''(Robert Habermeier) : 로버트 하버마이어는 [[폴카닷]](Polkadot)의 대표이사이다. 블록체인, 분산 시스템 및 암호화에 대한 연구개발 배경을 가지고 있다. 폴카닷은 기능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분산 웹을 쉽게 하기 위해 설립된 스위스 재단 [[Web3.js]]의 첫 번째 프로젝트이다.
 
* '''[[로버트 하버마이어]]'''(Robert Habermeier) : 로버트 하버마이어는 [[폴카닷]](Polkadot)의 대표이사이다. 블록체인, 분산 시스템 및 암호화에 대한 연구개발 배경을 가지고 있다. 폴카닷은 기능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분산 웹을 쉽게 하기 위해 설립된 스위스 재단 [[Web3.js]]의 첫 번째 프로젝트이다.
 
* '''[[토머 아펙]]'''(Tomer Afek) : [[스페이스메시]](spacemesh)의 공동 창립자이다. 스페이스메시는 블록체인보다는 새로운 [[블록메시]](blockmesh)에 기초한 분산 플랫폼이다. 스페이스메시는 메시에 의해 구조화된 새로운 공간증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토머 아펙]]'''(Tomer Afek) : [[스페이스메시]](spacemesh)의 공동 창립자이다. 스페이스메시는 블록체인보다는 새로운 [[블록메시]](blockmesh)에 기초한 분산 플랫폼이다. 스페이스메시는 메시에 의해 구조화된 새로운 공간증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브루클린 어릭]]'''(Brooklyn Earick) : [[리틀스타]](Littlstar)의 마케팅 책임자이며 [[아라]](ARA)의 마케팅 파트너이다. 아라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 및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판매할 수 있는  분산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
* '''[[브루클린 얼릭]]'''(Brooklyn Earick) : [[리틀스타]](Littlstar)의 마케팅 책임자이며 [[아라]](ARA)의 마케팅 파트너이다. 아라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 및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판매할 수 있는  분산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 '''[[박승택]]'''(Seung Taek Park) : [[액트투 테크놀로지스]](Actwo Technologies)와 [[해시타워]](HashTower)의 최고기술책임자이다. 머신 러닝, 데이터 마이닝, 블록체인 및 암호화 금융 분야의 전문가이다.  
 
* '''[[박승택]]'''(Seung Taek Park) : [[액트투 테크놀로지스]](Actwo Technologies)와 [[해시타워]](HashTower)의 최고기술책임자이다. 머신 러닝, 데이터 마이닝, 블록체인 및 암호화 금융 분야의 전문가이다.  
 
* '''[[김원범]]'''(Won Beom Kim) :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를 개발한 [[㈜블로코]](Blocko)의 공동 대표이사이다. [[㈜블로코]]는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시스템 상용화 사례를 다수 보유한 블록체인 기업으로 2015년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바스]](BaaS) 솔루션을 적용한 [[코인스택]](Coinstack)을 출시했다.  
 
* '''[[김원범]]'''(Won Beom Kim) :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를 개발한 [[㈜블로코]](Blocko)의 공동 대표이사이다. [[㈜블로코]]는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시스템 상용화 사례를 다수 보유한 블록체인 기업으로 2015년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바스]](BaaS) 솔루션을 적용한 [[코인스택]](Coinstack)을 출시했다.  
561번째 줄: 541번째 줄:
 
* '''[[칼 린]]'''(Carl Lin) : [[솔라나]]의 선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다. 솔라나는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인 ‘샤딩’ 없이 자체 알고리즘인 역사 증명(Proof of History)을 기반으로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다.  
 
* '''[[칼 린]]'''(Carl Lin) : [[솔라나]]의 선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다. 솔라나는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인 ‘샤딩’ 없이 자체 알고리즘인 역사 증명(Proof of History)을 기반으로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구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다.  
 
* '''[[딜런 댐스마]]'''(Dylan Damsma) : [[카운토]](Kaunto) 및 [[크립토마인디드]](Cryptominded)의 공동 설립자이다. 크립토마인디드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관련 리소스, 서비스 및 도구의 디렉터리이다. 고품질 광고 캠페인을 제공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메시지와 영상을 최적화하여 전달한다.
 
* '''[[딜런 댐스마]]'''(Dylan Damsma) : [[카운토]](Kaunto) 및 [[크립토마인디드]](Cryptominded)의 공동 설립자이다. 크립토마인디드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관련 리소스, 서비스 및 도구의 디렉터리이다. 고품질 광고 캠페인을 제공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메시지와 영상을 최적화하여 전달한다.
* '''[[라세 클라우젠]]'''(Lasse Clausen)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초기 단계의 토큰 펀드인 [[원케이엑스]]의 설립 파트너이다. 원케이엑스는 송금, 계산, 저장, 예측 및 전력 부문에 투자하는 데 중점을 둔 초기 단계 토큰 펀드로 비트코인의 성공을 통해 암호경제 인센티브를 모든 것에 포함시키는 것을 추정한다.
+
* '''[[라세 클라우젠]]'''(Lasse Clausen)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초기 단계의 토큰 펀드인 [[1KX]]의 설립 파트너이다. 1kx는 송금, 계산, 저장, 예측 및 전력 부문에 투자하는 데 중점을 둔 초기 단계 토큰 펀드로 비트코인의 성공을 통해 암호경제 인센티브를 모든 것에 포함시키는 것을 추정한다.
* '''[[강현정]]'''(Erica Kang) : [[크립토서울]](kryptoseoul)의 대표이사이다. '에리카 강'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크립토서울은 커뮤니티 매니저를 비롯해 다양한 경력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빌딩 및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
* '''[[에리카 강]]'''(Erica Kang) : [[크립토서울]](kryptoseoul)의 대표이사이다. 크립토서울은 커뮤니티 매니저를 비롯해 다양한 경력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빌딩 및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 관련업체 ==  
 
== 관련업체 ==  
607번째 줄: 587번째 줄:
 
* '''[[앰버데이터]]'''(Amberdata) : 앰버데이터는 성장하는 크립토 자산 경제의 허브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시장 데이터 업체이다. 모든 주요 블록체인 및 교환에서 분석, 모니터링, 검색, 태그 및 추적을 제공한다.
 
* '''[[앰버데이터]]'''(Amberdata) : 앰버데이터는 성장하는 크립토 자산 경제의 허브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시장 데이터 업체이다. 모든 주요 블록체인 및 교환에서 분석, 모니터링, 검색, 태그 및 추적을 제공한다.
 
* '''[[루나민트]]'''(Lunamint) : [[루나민트]](Lunamint)는 [[코스모스]](Cosmos) 아카데미의 로컬 파트너 기업으로서, 코스모스 테스트넷의 검증인 역할을 수행하고 [[루나그램]](Lunagram)이라는 지갑을 개발하고 있다. 공동 설립자는 [[윤승완]]이다.
 
* '''[[루나민트]]'''(Lunamint) : [[루나민트]](Lunamint)는 [[코스모스]](Cosmos) 아카데미의 로컬 파트너 기업으로서, 코스모스 테스트넷의 검증인 역할을 수행하고 [[루나그램]](Lunagram)이라는 지갑을 개발하고 있다. 공동 설립자는 [[윤승완]]이다.
* '''[[셀러네트워크]]'''(Celer Network) : 단순 결제뿐만 아니라 오프체인 스마트 계약에서도 빠르고 쉽고 안전한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레이어-2 스케일링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공동창업자는 [[동모]](Dong Mo), [[류준다]](Liu Junda), [[리샤오저우]](Li Xiaozhou), [[량칭카이]](Liang Qingkai)이다.
+
* '''[[셀러네트워크]]'''(Celer Network) : 단순 결제뿐만 아니라 오프체인 스마트 계약에서도 빠르고 쉽고 안전한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레이어-2 스케일링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공동창업자는 [[동모]](Dong Mo), [[류준다]](Liu Junda), [[리샤오주]](Li Xiaozhou), [[량칭카이]](Liang Qingkai)이다.
 
* '''[[클레이튼]]'''(Klaytn) :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가 개발한 디앱(dApp·분산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그라운드X는 IT 강국인 한국의 기술로 글로벌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을 개발했다. 클레이튼을 창시한 그라운드X의 대표이사는 [[한재선]]이다.
 
* '''[[클레이튼]]'''(Klaytn) :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가 개발한 디앱(dApp·분산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그라운드X는 IT 강국인 한국의 기술로 글로벌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을 개발했다. 클레이튼을 창시한 그라운드X의 대표이사는 [[한재선]]이다.
  
632번째 줄: 612번째 줄:
 
* '''[[셀러네트워크]]'''(Celer Network) : 단순 결제뿐만 아니라 오프체인 스마트 계약에서도 빠르고 쉽고 안전한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레이어-2 스케일링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공동창업자는 동모(Dong Mo), 류준다(Liu Junda), 리샤오주(Li Xiaozhou), [[량칭카이]](Liang Qingkai)이다.
 
* '''[[셀러네트워크]]'''(Celer Network) : 단순 결제뿐만 아니라 오프체인 스마트 계약에서도 빠르고 쉽고 안전한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레이어-2 스케일링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공동창업자는 동모(Dong Mo), 류준다(Liu Junda), 리샤오주(Li Xiaozhou), [[량칭카이]](Liang Qingkai)이다.
 
* '''[[클레이튼]]'''(Klaytn) :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가 개발한 디앱(dApp·분산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그라운드X는 IT 강국인 한국의 기술로 글로벌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을 개발했다. 클레이튼을 창시한 그라운드X의 대표이사는 [[한재선]]이다.
 
* '''[[클레이튼]]'''(Klaytn) :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가 개발한 디앱(dApp·분산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그라운드X는 IT 강국인 한국의 기술로 글로벌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을 개발했다. 클레이튼을 창시한 그라운드X의 대표이사는 [[한재선]]이다.
* '''[[카사]]'''(Casa) : 카사는 소비자가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장치에 전자서명을 저장해 사용하는 암호화폐 지갑이다. 다중서명 지갑을 통해 현재 사용 가능한 키를 도난, 화재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제레미 웰치]](Jeremy Welch)이다.  
+
* '''[[카사]]'''(Casa) : 카사는 소비자가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장치에 전자서명을 저장해 사용하는 암호화폐 지갑이다. 다중서명 지갑을 통해 현재 사용 가능한 키를 도난, 화재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제레미 월치(Jeremy Welch)이다.  
 
* '''[[빗고]]'''(BitGo) : 빗고는 디지털 자산 금융서비스 업체로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보안, 유동성, 솔루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계에서 제일 큰 온체인 비트코인 처리기관으로 비트코인 거래 중 15%를 담당하며 매월 150억 달러의 암호화폐 거래를 처리한다.
 
* '''[[빗고]]'''(BitGo) : 빗고는 디지털 자산 금융서비스 업체로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자산의 보관, 보안, 유동성, 솔루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계에서 제일 큰 온체인 비트코인 처리기관으로 비트코인 거래 중 15%를 담당하며 매월 150억 달러의 암호화폐 거래를 처리한다.
 
* '''[[텐더민트]]'''(Tendermint) : 텐더민트는 [[코스모스]](Cosmos) 블록체인의 합의 엔진으로 코스모스 블록체인의 특징, 성능, 한계는 전적으로 텐더민트 합의 엔진의 특성, 성능, 한계를 따라간다.  
 
* '''[[텐더민트]]'''(Tendermint) : 텐더민트는 [[코스모스]](Cosmos) 블록체인의 합의 엔진으로 코스모스 블록체인의 특징, 성능, 한계는 전적으로 텐더민트 합의 엔진의 특성, 성능, 한계를 따라간다.  
676번째 줄: 656번째 줄:
 
* '''[[크립토마인디드]]'''(CryptoMinded) :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관련 리소스, 서비스 및 도구의 디렉터리이다. 고품질 광고 캠페인을 제공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메시지와 영상을 최적화하여 전달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딜런 댐스마(Dylan Damsma)이다.
 
* '''[[크립토마인디드]]'''(CryptoMinded) :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관련 리소스, 서비스 및 도구의 디렉터리이다. 고품질 광고 캠페인을 제공하고 고객과 협력하여 메시지와 영상을 최적화하여 전달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딜런 댐스마(Dylan Damsma)이다.
 
* '''[[레두몬트]]'''(ReDumont) : 재정을 재정의하고 금융 자본을 사용하여 사회 복지를 창출하는 기업이다. 자산을 저장, 수입 및 성장시키고 금융에 대해 교육하는데 도움이되는 서비스를 만든다. 대표이사는 딜런 댐스마(Dylan Damsma)이다.
 
* '''[[레두몬트]]'''(ReDumont) : 재정을 재정의하고 금융 자본을 사용하여 사회 복지를 창출하는 기업이다. 자산을 저장, 수입 및 성장시키고 금융에 대해 교육하는데 도움이되는 서비스를 만든다. 대표이사는 딜런 댐스마(Dylan Damsma)이다.
* '''[[크립토서울]]'''(KryptoSeoul) : 크립토서울은 국내외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빌딩 및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 세계에서 진행되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프로젝트 중 검증된 프로젝트만 선별하여 커뮤니티 빌딩과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강현정]](Erica Kang)이다.
+
* '''[[크립토서울]]'''(KryptoSeoul) : 크립토서울은 국내외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빌딩 및 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 세계에서 진행되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프로젝트 중 검증된 프로젝트만 선별하여 커뮤니티 빌딩과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활동을 지원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에리카 강]]이다.
  
 
=== 미디어 파트너 ===
 
=== 미디어 파트너 ===
684번째 줄: 664번째 줄:
 
{{글 보임 끝}}
 
{{글 보임 끝}}
  
* '''[[머니투데이]]'''(Money Today) : 1999년 9월 22일 설립되고, 2001년 6월 19일 오프라인 신문을 창간한 미디어 그룹이다.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149 청계 11빌딩에 위치해 있다. 회장은 [[홍선근]]이고, 대표이사는 [[박종면]]이다.
+
* '''[[머니투데이]]'''(Money Today) : 1999년 9월 22일 설립되고, 2001년 6월 19일 오프라인 신문을 창간한 미디어 그룹이다.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149 청계 11빌딩에 위치해 있다. 회장은 홍선근이고, 대표이사는 박종면이다.
* '''[[중앙일보]]'''(Joongangilbo) : 대한민국에서 매일 발행되는 종합일간신문으로 중앙그룹의 핵심 언론사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함께 보수계열을 대변하는 언론으로 간주한다. 대표이사는 [[홍정도]]이고, 편집국장은 [[박승희]]이다.
+
* '''[[중앙일보]]'''(Joongangilbo) : 대한민국에서 매일 발행되는 종합일간신문으로 중앙그룹의 핵심 언론사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함께 보수계열을 대변하는 언론으로 간주한다. 대표이사는 홍정도이고, 편집국장은 박승희이다.
* '''[[디스트리트]]'''(D.STREET) : [[매경미디어그룹]], [[데일리금융그룹]], [[블록크래프터스]]가 함께 만든 [[조인트벤처]]이다. 매일경제 기자가 직접 만드는 블록체인 관련 뉴스와 콘텐츠로 신뢰도가 높고, 블록체인 산업에 특화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
* '''[[디스트리트]]'''(D.STREET) : 매경미디어그룹, 데일리금융그룹, 블록크래프터스가 함께 만든 조인트벤처이다. 매일경제 기자가 직접 만드는 블록체인 관련 뉴스와 콘텐츠로 신뢰도가 높고, 블록체인 산업에 특화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 '''[[디스트리뷰티드]]'''(Distributed) : 암호화폐 가격과 블록체인 사용 사례부터 광범위한 P2P 경제 및 Web 3.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뉴스를 제공한다. 뉴스 요약, 리더십 등을 통해 암호화폐 관련 기술 등을 제공한다.
 
* '''[[디스트리뷰티드]]'''(Distributed) : 암호화폐 가격과 블록체인 사용 사례부터 광범위한 P2P 경제 및 Web 3.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뉴스를 제공한다. 뉴스 요약, 리더십 등을 통해 암호화폐 관련 기술 등을 제공한다.
 
* '''[[블록인프레스]]'''(Blockinpress) : 국내 블록체인과 관련된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설립된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이다. 국내·외 블록체인 전문가, 개발자, 금융인, 언론전문가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국내에 뉴스와 콘텐츠를 전하고 올바른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블록인프레스]]'''(Blockinpress) : 국내 블록체인과 관련된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설립된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이다. 국내·외 블록체인 전문가, 개발자, 금융인, 언론전문가들이 함께하고 있으며, 국내에 뉴스와 콘텐츠를 전하고 올바른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블록데일리]]'''(Block Daily) : 블록데일리는 속도, 정확성, 공정성을 최우선의 가치로 여기는 한국의 [[블록체인 미디어]]이다.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를 포함해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 미디어, 커뮤니티 등 국내외 블록체인 산업계에서 다양한 커리어를 쌓아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
* '''[[블록데일리]]'''(Block Daily) : 블록데일리는 속도, 정확성, 공정성을 최우선의 가치로 여기는 한국의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이다.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를 포함해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 미디어, 커뮤니티 등 국내외 블록체인 산업계에서 다양한 커리어를 쌓아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 '''[[코인포스트]]'''(Coinpost) : 코인포스트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에 대한 최신 뉴스를 제공하는 종합 정보 미디어이다. 방대한 통찰력과 전문 지식 기반의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제공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타카히로 미야모토]](Takahiro Miyamoto)이다.
+
* '''[[코인포스트]]'''(Coinpost) : 코인포스트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에 대한 최신 뉴스를 제공하는 종합 정보 미디어이다. 방대한 통찰력과 전문 지식 기반의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제공한다. 현재 대표이사는 타카히로 미야모토(Takahiro Miyamoto)이다.
* '''[[파이낸셜뉴스]]'''(Financial News) : '퍼스트 클래스(First-Class) 경제신문’을 기치로 2000년 6월 23일 [[넥스트미디어그룹]]에서 창간한 대한민국의 종합 경제 일간지이다. 대표이사 회장은 [[전재호]]이며, 대표이사 사장은 [[김주현]]이다.
+
* '''[[파이낸셜뉴스]]'''(Financial News) : '퍼스트 클래스(First-Class) 경제신문’을 기치로 2000년 6월 23일 넥스트미디어그룹에서 창간한 대한민국의 종합 경제 일간지이다. 대표이사 회장은 전재호이며, 대표이사 사장은 김주현이다.
* '''[[블록포스트]]'''(The Block Post) : [[파이낸셜뉴스]] 그룹이 블록체인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만든 미디어이다. 더블록포스트라고도 한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뉴스와 투자 정보를 제공한다. 대표자는 [[전선익]]이다.
+
* '''[[블록포스트]]'''(The Block Post) : 파이낸셜뉴스 그룹이 블록체인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만든 미디어이다. 더블록포스트라고도 한다.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뉴스와 투자 정보를 제공한다. 대표자는 전선익이다.
* '''[[아시아 블록체인 리뷰]]'''(ASIA BLOCKCHAIN REVIEW) : 블록체인 관계자들을 지역적 단위로 연결하고 블록체인의 기술적 기반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그룹 토론, 기술적 워크샵, 회담과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업체이다. 대표이사는 [[피터 린]](Peter Lin)이다.
+
* '''[[아시아 블록체인 리뷰]]'''(ASIA BLOCKCHAIN REVIEW) : 블록체인 관계자들을 지역적 단위로 연결하고 블록체인의 기술적 기반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그룹 토론, 기술적 워크샵, 회담과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업체이다. 대표이사는 피터 린(Peter Lin)이다.
* '''[[블록미디어]]'''(Block Media) : "믿고 보는 No.1 뉴스 미디어"를 슬로건으로 블록체인 관련 마켓, 테크, 블록체인101, 인터뷰, 이벤트, 영어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 사이트이다. 한국 최초로 전 세계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관한 콘텐츠를 전하는 미디어 스타트업이다. 대표이사는 [[최창환]]이다.
+
* '''[[블록미디어]]'''(Block Media) : "믿고 보는 No.1 뉴스 미디어"를 슬로건으로 블록체인 관련 마켓, 테크, 블록체인101, 인터뷰, 이벤트, 영어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 사이트이다. 한국 최초로 전 세계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관한 콘텐츠를 전하는 미디어 스타트업이다. 대표이사는 최창환이다.
* '''[[토큰포스트]]'''(TokenPost) : 블록체인을 포함한 분산원장 관련 기술 및 정보 분야 보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뉴스 사이트이다. 자체 암호화폐인 [[토큰포스트코인]](TPC)을 발행했다. 대표자는 [[권성민]]이다.
+
* '''[[토큰포스트]]'''(TokenPost) : 블록체인을 포함한 분산원장 관련 기술 및 정보 분야 보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뉴스 사이트이다. 자체 암호화폐인 토큰포스트코인(TPC)을 발행했다. 대표자는 권성민이다.
 
* '''[[크립토위클리]]'''(CryptoWeekly) : 크립토위클리는 금주의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뉴스와 스토리를 쉬운 형식으로 제공한다. 암호화폐 시장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몇 가지 스토리를 통해 업계 뉴스를 빠르게 훑어볼 수 있다.
 
* '''[[크립토위클리]]'''(CryptoWeekly) : 크립토위클리는 금주의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뉴스와 스토리를 쉬운 형식으로 제공한다. 암호화폐 시장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몇 가지 스토리를 통해 업계 뉴스를 빠르게 훑어볼 수 있다.
* '''[[지디넷코리아]]'''(ZDNet Korea) : 정보기술(IT) 분야 전문 온라인 미디어이다. 한국의 [[㈜메가뉴스]]가 미국의 [[지디넷]](ZDNet)과 제휴하여 운영하고 있다. 지디넷코리아를 운영하는 ㈜메가뉴스의 대표이사는 [[김경묵]]이고, 편집국장은 [[박승정]]이다.
+
* '''[[지디넷코리아]]'''(ZDNet Korea) : 정보기술(IT) 분야 전문 온라인 미디어이다. 한국의 ㈜메가뉴스가 미국의 지디넷(ZDNet)과 제휴하여 운영하고 있다. 지디넷코리아를 운영하는 ㈜메가뉴스의 대표이사는 김경묵이고, 편집국장은 박승정이다.
  
 
=== 커뮤니티 파트너 ===
 
=== 커뮤니티 파트너 ===
706번째 줄: 686번째 줄:
  
 
* '''[[이더리움커뮤니티펀드]]'''(ECF; Ethereum Community Fund) :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의 주류 편입을 목표로 비영리 펀드를 조성해 이더리움 기반 디앱(DApp)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ECF는 ‘기반 시설 그랜트’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활동을 시작하며 주요 오픈소스와 도구,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을 지원한다.
 
* '''[[이더리움커뮤니티펀드]]'''(ECF; Ethereum Community Fund) :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의 주류 편입을 목표로 비영리 펀드를 조성해 이더리움 기반 디앱(DApp)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ECF는 ‘기반 시설 그랜트’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활동을 시작하며 주요 오픈소스와 도구, 애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을 지원한다.
* '''[[논스]]'''(nonce) : 논스는 꿈의 실현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메커니즘(e.g. 커뮤니티 금융 - 보험과 투자, 인적 네트워크, 마케팅 채널, 공간, 문화)을 갖추고 이를 통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공동대표는 [[문영훈]], [[김지윤]]이다.
+
* '''[[논스]]'''(nonce) : 논스는 꿈의 실현에 필요한 다양한 도구와 메커니즘(e.g. 커뮤니티 금융 - 보험과 투자, 인적 네트워크, 마케팅 채널, 공간, 문화)을 갖추고 이를 통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다. 공동대표는 문영훈, 김지윤이다.
* '''[[디사이퍼]]'''(Decipher) : 디사이퍼는 [[김종호]] 부회장이 2018년 2월 블록체인 공부를 위해 만든 서울대 최초 블록체인 학회이다. 블록체인에 열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이며 현재 회장은 [[김재윤]]이다.
+
* '''[[디사이퍼]]'''(Decipher) : 디사이퍼는 김종호 부회장이 2018년 2월 블록체인 공부를 위해 만든 서울대 최초 블록체인 학회이다. 블록체인에 열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이며 현재 회장은 김재윤이다.
 
* '''[[스타피쉬]]'''(Starfish) : 스타피쉬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 더 나은 시스템을 공동으로 배우고 구축하는 창립자 및 건축업자 커뮤니티이다. 스타트업 허브로서 지속 가능성과 자유를 위한 솔루션을 설계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 '''[[스타피쉬]]'''(Starfish) : 스타피쉬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 더 나은 시스템을 공동으로 배우고 구축하는 창립자 및 건축업자 커뮤니티이다. 스타트업 허브로서 지속 가능성과 자유를 위한 솔루션을 설계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 '''[[인피니티블록체인벤처스]]'''(Infinity Blockchain Ventures) : 실용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컨설팅 및 개발 회사이다. 기술 전문 지식과 비즈니스 통찰력을 결합하여 차세대 블록체인 기업을 이끌고 효과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만든다.
 
* '''[[인피니티블록체인벤처스]]'''(Infinity Blockchain Ventures) : 실용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컨설팅 및 개발 회사이다. 기술 전문 지식과 비즈니스 통찰력을 결합하여 차세대 블록체인 기업을 이끌고 효과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을 만든다.
* '''[[소라서밋]]'''(Sora Summit) : [[소라벤처스]](Sora Ventures)가 주최한 첫 번째 [[컨퍼런스]]이다. 아시아의 블록체인 생태계에 중점을 두고 블록체인 업계 리더와 커뮤니티 간의 협력 기회를 교육, 개발하는 목표를 두고 있다.
+
* '''[[소라서밋]]'''(Sora Summit) : 소라벤처스(Sora Ventures)가 주최한 첫 번째 컨퍼런스이다. 아시아의 블록체인 생태계에 중점을 두고 블록체인 업계 리더와 커뮤니티 간의 협력 기회를 교육, 개발하는 목표를 두고 있다.
* '''[[대퍼네트워크]]'''(Dapper Network) : 블록체인 기술로 구축된 실용적인 사용자 중심 분산 디앱(DApp)의 생성 및 채택을 가속화한다. DApper를한데 모아 협업의 자유로운 정보 흐름을 촉진하고, 잠재적 파트너와 동료를 연결한다. 설립자는 [[에릭 정]](Eric Chung)이다.
+
* '''[[대퍼네트워크]]'''(Dapper Network) : 블록체인 기술로 구축된 실용적인 사용자 중심 분산 디앱(DApp)의 생성 및 채택을 가속화한다. 우리는 DApper를한데 모아 협업의 자유로운 정보 흐름을 촉진하고, 잠재적 파트너와 동료를 연결한다. 설립자는 에릭 정(Eric Chung)이다.
 
* '''[[코드스테이츠]]'''(Code States) :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배우고 싶은 사람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새로운 직업을 시작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국내 최초의 코딩 부트캠프 프로그램이다. 검증된 커리큘럼과 체계적인 스케줄에 따라 학습하는 커뮤니티이다.
 
* '''[[코드스테이츠]]'''(Code States) :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배우고 싶은 사람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새로운 직업을 시작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국내 최초의 코딩 부트캠프 프로그램이다. 검증된 커리큘럼과 체계적인 스케줄에 따라 학습하는 커뮤니티이다.
 
* '''[[스터디파이]]'''(Studypie) : 스터디파이는 현직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끝까지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이다.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통해 경제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 '''[[스터디파이]]'''(Studypie) : 스터디파이는 현직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끝까지 공부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이다.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통해 경제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 '''[[쉬블록체이너스아시아]]'''(SHE Blockchainers Asia) : 쉬블록체이너스아시아는 블록체인 업계 여성에게 힘을 실어주는 협업 및 집단 커뮤니티다. 정보 공유, 업무 협업을 통해 모든 여성이 지식과 ​​경험을 확장하도록 도우며 설립자는 [[홍유리]]이다.
+
* '''[[쉬블록체이너스아시아]]'''(SHE Blockchainers Asia) : 쉬블록체이너스아시아는 블록체인 업계 여성에게 힘을 실어주는 협업 및 집단 커뮤니티다. 정보 공유, 업무 협업을 통해 모든 여성이 지식과 ​​경험을 확장하도록 도우며 설립자는 홍 유리이다.
* '''[[코박]]'''(Cobak) : 한국의 암호화폐 시세 조회 및 커뮤니티 사이트이다. 코박 라이브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코인 바운티 기회를 제공하는데, 코박 어플로 코박 라이브에 참여해 코인을 받을 수도 있다. 대표이사는 [[강민승]]이다.
+
* '''[[코박]]'''(Cobak) : 한국의 암호화폐 시세 조회 및 커뮤니티 사이트이다. 코박 라이브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코인 바운티 기회를 제공하는데, 코박 어플로 코박 라이브에 참여해 코인을 받을 수도 있다. 대표이사는 강민승이다.
* '''[[플래닛비]]'''(PLANET.B) : 플래닛비 구성원은 총 20명으로 모두 [[포항공대]] 출신인 학부생과 대학원생, 졸업생으로 구성됐다. 중앙집권 주체 없이 조직참여자의 자율적 제안과 합의를 통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학회장이 없다. 학회원의 연구 성과와 활동 실적에 따라 [[플래닛비익스체인지 토큰]](PBX; Planet B Exchange)이 지급된다.
+
* '''[[플래닛비]]'''(PLANET.B) : 플래닛비 구성원은 총 20명으로 모두 포항공대 출신인 학부생과 대학원생, 졸업생으로 구성됐다. 중앙집권 주체 없이 조직참여자의 자율적 제안과 합의를 통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학회장이 없다. 학회원의 연구 성과와 활동 실적에 따라 플래닛비익스체인지 토큰(PBX; Planet B Exchange)이 지급된다.
* '''[[브레이브뉴코인]]'''(BNC; BraveNewCoin) : 브레이브뉴코인은 50명 이상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으로, 현재 전 세계 암호화폐 지수와 가격, 집계된 시장 데이터, 뉴스 및 토큰 분석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산업 통찰력, 암호화 자산 가치 및 지수, 무역 데이터, 사용자 정의 기업 및 다양한 [[API]] 솔루션을 제공한다.
+
* '''[[브레이브뉴코인]]'''(BNC; BraveNewCoin) : 브레이브뉴코인은 50명 이상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으로, 현재 전 세계 암호화폐 지수와 가격, 집계된 시장 데이터, 뉴스 및 토큰 분석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산업 통찰력, 암호화 자산 가치 및 지수, 무역 데이터, 사용자 정의 기업 및 다양한 API 솔루션을 제공한다.
  
 
== 동영상 ==
 
== 동영상 ==
738번째 줄: 718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강현정]]
+
* [[에리카 강]]
 
* [[크립토서울]]
 
* [[크립토서울]]
  
{{한국 블록체인 행사|좋은글}}
+
{{행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