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류강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비류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이다. 맹산군영봉과 양덕군오강산(吳江山)에서 발원해 대동강으로 흐르며, 대동강에서 3번째로 큰 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A5%98%EA%B0%95  비류강]〉, 《위키백과》</ref> 평안남도 신양군 북동부경계의 민봉산 남서쪽 경사면에서 발원하여 성천군 영역을 통과하여 은산군 남원리와 대양리의 경계에서 대동강에 흘러드는 강이다. [[벼랑]]을 감돌아 흐른다 하여 '비루(벼랑)강'이라 하였다. 유차의진(游車衣津)이라고도 한다. 옛 문헌에서는 졸본천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실학자들은 강선수라 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성천읍 서쪽 흘골산 밑에 있는 4개의 굴에서 물이 부글부글 끓으면서 솟구쳐 나온다 하여 끓을 '비(沸)'자, 흐를 '류(流)'자를 써서 비류강이라 하였다 한다. 대동강의 지류들 가운데서 두 번째로 길고 세 번째로 유역면적이 넓은 큰 강이다. 181개의 지류를 모아서 흐르고 있는데, 그중 길이 5km 이상의 지류는 62개, 길이 15km 이상의 지류는 13개이다. 주요 지류로는 평원천(길이 40.7km, 유역면적 439㎦), 소창천(길이 52.5km, 유역면적 357.6㎦), 금평천(길이 27km, 유역면적 127.4㎦), 옥류천(길이 24km, 유역면적 91㎦), 맹산개, 필밀천, 지동천, 성저천 등이다. 하계는 수지형이며 수계가 발달하여 주요 하천망밀도는 0.97km/㎦이다. 비류강은 발원지에서 어구까지 기본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르나 지질구조선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서 흐름 방향이 다르며 물길 방향이 직각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류, 상류의 골짜기는 좁고 깊으며 강골짜기 경사면의 물매가 급하다. 경사면에는 바위절벽들이 곳곳에 드러나 있다.
 
* '''비류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이다. 맹산군영봉과 양덕군오강산(吳江山)에서 발원해 대동강으로 흐르며, 대동강에서 3번째로 큰 강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A5%98%EA%B0%95  비류강]〉, 《위키백과》</ref> 평안남도 신양군 북동부경계의 민봉산 남서쪽 경사면에서 발원하여 성천군 영역을 통과하여 은산군 남원리와 대양리의 경계에서 대동강에 흘러드는 강이다. [[벼랑]]을 감돌아 흐른다 하여 '비루(벼랑)강'이라 하였다. 유차의진(游車衣津)이라고도 한다. 옛 문헌에서는 졸본천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실학자들은 강선수라 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성천읍 서쪽 흘골산 밑에 있는 4개의 굴에서 물이 부글부글 끓으면서 솟구쳐 나온다 하여 끓을 '비(沸)'자, 흐를 '류(流)'자를 써서 비류강이라 하였다 한다. 대동강의 지류들 가운데서 두 번째로 길고 세 번째로 유역면적이 넓은 큰 강이다. 181개의 지류를 모아서 흐르고 있는데, 그중 길이 5km 이상의 지류는 62개, 길이 15km 이상의 지류는 13개이다. 주요 지류로는 평원천(길이 40.7km, 유역면적 439㎦), 소창천(길이 52.5km, 유역면적 357.6㎦), 금평천(길이 27km, 유역면적 127.4㎦), 옥류천(길이 24km, 유역면적 91㎦), 맹산개, 필밀천, 지동천, 성저천 등이다. 하계는 수지형이며 수계가 발달하여 주요 하천망밀도는 0.97km/㎦이다. 비류강은 발원지에서 어구까지 기본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르나 지질구조선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서 흐름 방향이 다르며 물길 방향이 직각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류, 상류의 골짜기는 좁고 깊으며 강골짜기 경사면의 물매가 급하다. 경사면에는 바위절벽들이 곳곳에 드러나 있다.
  
* '''비류강'''은 평안남도 맹산군영봉(靈峰, 1,135m)과 양덕군 오강산(吳江山)에서 발원하여 평안남도 동부의 중앙을 서류하면서 대동강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길이 151㎞. 발원지가 두 곳으로 한 줄기는 맹산군영봉에서, 또 하나는 양덕군오강산에서 발원한다. 두 줄기가 성천군별창(別倉) 부근에서 합류하여 북서류하다가 신성천(新城川) 부근에서 기창후천(岐倉後川)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다시 서쪽으로 곡류하면서 성천읍을 가로지르며 대동강으로 흘러든다. 옛 이름은 졸본천(卒本川) 혹은 유거의진(遊車衣津)이라 하며 흘골산(紇骨山) 밑을 지날 때 산 밑에 있는 네 개의 굴속을 뚫고 흐르다 비등(沸騰)하여 서쪽으로 흐르므로 비류강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중하류 지역에는 침식분지인 성천분지가 전개되어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성천읍을 지나는 강변은 절경으로 햇빛의 영향으로 아침에는 동쪽에 우뚝 솟은 강선루(降仙樓)가, 저녁에는 서쪽에 있는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 또는 紇骨山)이 물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며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128 비류강(沸流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 '''비류강'''은 평안남도 맹산군영봉(靈峰, 1,135m)과 양덕군 오강산(吳江山)에서 발원하여 평안남도 동부의 중앙을 서류하면서 대동강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길이 151㎞. 발원지가 두 곳으로 한 줄기는 맹산군영봉(靈峰, 1,135m)에서, 또 하나는 양덕군오강산(吳江山)에서 발원한다. 두 줄기가 성천군별창(別倉) 부근에서 합류하여 북서류하다가 신성천(新城川) 부근에서 기창후천(岐倉後川)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다시 서쪽으로 곡류하면서 성천읍을 가로지르며 대동강으로 흘러든다. 옛 이름은 졸본천(卒本川) 혹은 유거의진(遊車衣津)이라 하며 흘골산(紇骨山) 밑을 지날 때 산 밑에 있는 네 개의 굴속을 뚫고 흐르다 비등(沸騰)하여 서쪽으로 흐르므로 비류강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중하류 지역에는 침식분지인 성천분지가 전개되어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성천읍을 지나는 강변은 절경으로 햇빛의 영향으로 아침에는 동쪽에 우뚝 솟은 강선루(降仙樓)가, 저녁에는 서쪽에 있는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 또는 紇骨山)이 물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며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128 비류강(沸流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비류강의 수로==
 
==비류강의 수로==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