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프렌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번째 줄: 39번째 줄:
 
==제휴==
 
==제휴==
 
===케이스타그룹===
 
===케이스타그룹===
비트프렌즈는 2018년 11월 16일 [[케이스타그룹]](대표이사 [[황철희]])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케이스타그룹의 디지털 자산인 [[스타케이에스티]](StarKST)를 기축통화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신규 디지털 자산이 거래소에 상장될 경우, 스타케이에스티 마켓에 우선 상장되고 일정 수량 이상의 스타케이에스티를 보유한 이용자는 신규 디지털 자산의 거래소 상장에 대한 투표 권한도 갖게 된다. 스타케이에스티(StarKST)는 콘서트 또는 스포츠 경기 티켓 예매는 물론 외식 산업에도 결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어 실생활에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질 전망이다.<ref>조하은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181213175504687 케이스타그룹, 비트프렌즈에 디지털 자산 스타케이에스티 상장]〉, 《아주경제》, 2018-12-13</ref> 거래소 내에서 [[스타코인]](KST)을 비롯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시총 상위 코인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저작권 교환 플랫폼인 콘텐츠 딜(DEAL)을 전략 코인으로 선정해 총 9종의 코인 거래가 가능하다.
+
비트프렌즈는 2018년 11월 16일 케이스타그룹(대표이사 황철희)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케이스타그룹의 디지털 자산인 스타케이에스티(StarKST)를 기축통화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신규 디지털 자산이 거래소에 상장될 경우, 스타케이에스티 마켓에 우선 상장되고 일정 수량 이상의 스타케이에스티를 보유한 이용자는 신규 디지털 자산의 거래소 상장에 대한 투표 권한도 갖게 된다. 스타케이에스티(StarKST)는 콘서트 또는 스포츠 경기 티켓 예매는 물론 외식 산업에도 결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어 실생활에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소비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ref>조하은 기자, 〈[https://www.ajunews.com/view/20181213175504687 케이스타그룹, 비트프렌즈에 디지털 자산 스타케이에스티 상장]〉, 《아주경제》, 2018-12-13</ref>거래소 내에서 스타코인(KST)을 비롯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등 시총 상위 코인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저작권 교환 플랫폼인 콘텐츠 딜(DEAL)을 전략 코인으로 선정해 총 9종의 코인 거래가 가능하다.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