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계 배터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배터리 양극재 이미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배터리 양극재 이미지]]
 
[[파일:배터리 양극재 이미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배터리 양극재 이미지]]
'''사원계 배터리'''는 4가지 성분을 조합해 만든 양극재를 사용한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NCMA]]'''(엔씨엠에이) 배터리가 대표적인 사원계 배터리이다. 니켈·코발트·망가니즈·알루미늄을 조합해 만든 것이 특징이다. [[NCMA]] 배터리는 [[㈜엘지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전기차(EV)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 트렌드가 삼원계에서 사원계로 바뀌고 있다. [[테슬라]], [[제너럴모터스]](GM), [[폭스바겐]], [[르노]] 등 완성차 업체들도 차세대 전기차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ref>이수환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8093 배터리 핵심소재 양극재 '사원계'가 뜬다]〉, 《디일렉》, 2020-10-08</ref>
+
'''사원계 배터리'''는 4가지 성분을 조합해 만든 양극재를 사용한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NCMA]]'''(엔씨엠에이) 배터리가 대표적인 사원계 배터리이다. 니켈·코발트·망가니즈·알루미늄을 조합해 만든 것이 특징이다. [[NCMA]]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전기차(EV)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 트렌드가 삼원계에서 사원계로 바뀌고 있다. [[테슬라]], [[제너럴모터스]](GM), [[폭스바겐]], [[르노]] 등 완성차 업체들도 차세대 전기차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ref>이수환 기자,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8093 배터리 핵심소재 양극재 '사원계'가 뜬다]〉, 《디일렉》, 2020-10-08</ref>
  
현재 사원계 양극재 경쟁에서 가장 앞선 기업은 [[㈜에코프로비엠]]이다. '''[[NCMX]]'''라 부르는 제품 개발을 끝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르면 2021년 하반기 고객사에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단결정 구조를 적용했다. 3D 코팅, 공정 최적화를 통해 수명과 성능을 높였다.<ref>최락선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30/2020113000669.html 배터리 양극재 세계 2위 '에코프로' 이동채 회장 "코로나에도 매출 9500억 달성 예상"]〉, 《조선비즈》, 2020-11-30</ref>
+
현재 사원계 양극재 경쟁에서 가장 앞선 기업은 '''[[에코프로비엠]]'''이다. '''[[NCMX]]'''라 부르는 제품 개발을 끝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르면 2021년 하반기 고객사에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단결정 구조를 적용했다. 3D 코팅, 공정 최적화를 통해 수명과 성능을 높였다.<ref>최락선 기자,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30/2020113000669.html 배터리 양극재 세계 2위 '에코프로' 이동채 회장 "코로나에도 매출 9500억 달성 예상"]〉, 《조선비즈》, 2020-11-30</ref>
  
 
== 현황 ==
 
== 현황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