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효과==
 
==효과==
사이프는 [[그루브 (타이어)|그루브]] 주위에 가로로 새겨진 얇은 [[선]]이다. 0.6~0.8㎜ 정도로 그루브에 비해 확연히 구별될 정도로 얇다. 이는 블록의 강성을 분산시켜 소음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눈길에서도 추가적인 그립력을 발휘할 수 있다.<ref>사실요것만고치면돼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t9411&logNo=150158867074 타이어의 구조 <1> - 외부 영역]〉, 《네이버 블로그》, 2013-02-06</ref> 그래서 [[겨울용 타이어]]에는 [[사계절 타이어]]보다 사이프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겨울용 타이어는 사계절 타이어에 비해 깊은 블록 형태의 패턴과 커프, 배수를 위한 넓은 홈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ref>〈[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5/12/1197829/ (타이어 하이테크) 물 배출하고 소음 튕겨내고...'타이어 패턴의 마법']〉, 《매일경제》, 2015-12-21</ref> 하지만 사이프가 너무 많으면, 타이어 표면과 노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제동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로 방향의 사이프들은 주행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디자인되어 진동과 소음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이어 디자인 및 연구개발자들은 타이어 퍼포먼스를 극대화하기 위해 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다양한 단면 각도를 적용하여 접지압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핸들링]] 및 제동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아이디어를 적용하기도 한다.<ref>손해용 기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075929#home (타이어ABC)①타이어 무늬가 주행능력을 좌우한다.]〉, 《중앙일보》, 2017-11-02</ref> 그래서 사이프의 크기, 위치, 길이, 깊이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ref>한국타이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423381&memberNo=2508057 타이어 패턴을 알면 성능이 보인다! 타이어 패턴 디자인의 비밀]〉, 《네이버 포스트》, 2017-11-07</ref>
+
사이프는 [[그루브 (타이어)|그루브]] 주위에 가로로 새겨진 얇은 [[선]]이다. 0.6~0.8㎜ 정도로 그루브에 비해 확연히 구별될 정도로 얇다. 이는 블록의 강성을 분산시켜 소음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눈길에서도 추가적인 그립력을 발휘할 수 있다.<ref>사실요것만고치면돼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t9411&logNo=150158867074 타이어의 구조 <1> - 외부 영역]〉, 《네이버 블로그》, 2013-02-06</ref> 그래서 [[겨울용 타이어]]에는 [[사계절용 타이어]]보다 사이프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겨울용 타이어는 사계절용 타이어에 비해 깊은 블록 형태의 패턴과 커프, 배수를 위한 넓은 홈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ref>〈[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5/12/1197829/ (타이어 하이테크) 물 배출하고 소음 튕겨내고...'타이어 패턴의 마법']〉, 《매일경제》, 2015-12-21</ref> 하지만 사이프가 너무 많으면, 타이어 표면과 노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제동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로 방향의 사이프들은 주행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디자인되어 진동과 소음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이어 디자인 및 연구개발자들은 타이어 퍼포먼스를 극대화하기 위해 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다양한 단면 각도를 적용하여 접지압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핸들링]] 및 제동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아이디어를 적용하기도 한다.<ref>손해용 기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075929#home (타이어ABC)①타이어 무늬가 주행능력을 좌우한다.]〉, 《중앙일보》, 2017-11-02</ref> 그래서 사이프의 크기, 위치, 길이, 깊이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ref>한국타이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423381&memberNo=2508057 타이어 패턴을 알면 성능이 보인다! 타이어 패턴 디자인의 비밀]〉, 《네이버 포스트》, 2017-11-07</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