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 소프트웨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상용 소프트웨어'''(commercial software)란 상업적 목적으로나,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사용 허락의 조건으로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사용권을 받으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커머셜 소프트웨어, 페이웨어(payware) 또는 간략하게 '''상용 S/W'''라고도 한다.
 
'''상용 소프트웨어'''(commercial software)란 상업적 목적으로나,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사용 허락의 조건으로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사용권을 받으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커머셜 소프트웨어, 페이웨어(payware) 또는 간략하게 '''상용 S/W'''라고도 한다.
  
{{:인터넷 배너|호스팅}}
+
==개요==
 
 
== 개요 ==
 
 
상용 소프트웨어는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프리웨어]](Freeware), [[셰어웨어]](Shareware), [[애드웨어]](Adware) 등도 넓은 의미에서 상용 소프트웨어에 속한다. [[프로그래밍]]을 통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일은 물리적인 상품을 개발하는 것과 필적할 정도로 시간, 노동 집약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디지털]] 상품으로 재생산, 복제, 공유하는 일은 특수한 기계나 값비싼 추가자원이 필요하지 않고, 비교적 쉬운 일이다. 이로 인해 [[컴퓨터]] 시대 초기에는 대중 시장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상업화가 불가능했다. 순전히 무료로 공유되거나, [[하드웨어]]를 고객에게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서비스]]의 일부로 하드웨어에 덤으로 판매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컴퓨터 산업의 변화로 인해 소프트웨어는 천천히 스스로 상업화되었다. 1969년, 반독점법 소송의 위협을 받은 [[IBM]]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비용을 별도 부과함으로써 산업 변화를 주도하였으며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일을 중단하였다. 1983년 바이너리 소프트웨어가 [[애플]] 대 프랭클린 법 결정에 의해 저작권 보유가 가능해졌는데, 그 이전까지는 오직 소스 코드의 저작권 보유만 가능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C%9A%A9_%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 상용 소프트웨어]〉, 《위키백과》</ref> 사용자가 돈을 주고 구매한 [[윈도우]], [[오피스]] [[프로그램]], 한글, [[그래픽]] 프로그램 등이 해당한다. G2 크라우드 어워드에서 2019년 최고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뽑힌 상용 소프트웨어에는 [[아마존]]의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인 AWS Lambda, [[구글]]의 광고 타겟팅 플랫폼인 애드 센스, 비즈니스 분석 도구인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Splunk Enterprise) 등이 있다.<ref name=“장단점”>LOU RENERCHUK, 〈[https://www.modensoft.co.kr/copyright_define_crackdown.html COMMERCIAL VS OPEN SOURCE SOFTWARE: BENEFITS AND DRAWBAVKS]〉, 《echo》, 2019-10-02</ref>
 
상용 소프트웨어는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프리웨어]](Freeware), [[셰어웨어]](Shareware), [[애드웨어]](Adware) 등도 넓은 의미에서 상용 소프트웨어에 속한다. [[프로그래밍]]을 통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일은 물리적인 상품을 개발하는 것과 필적할 정도로 시간, 노동 집약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디지털]] 상품으로 재생산, 복제, 공유하는 일은 특수한 기계나 값비싼 추가자원이 필요하지 않고, 비교적 쉬운 일이다. 이로 인해 [[컴퓨터]] 시대 초기에는 대중 시장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상업화가 불가능했다. 순전히 무료로 공유되거나, [[하드웨어]]를 고객에게 유용하게 만들기 위해 [[서비스]]의 일부로 하드웨어에 덤으로 판매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컴퓨터 산업의 변화로 인해 소프트웨어는 천천히 스스로 상업화되었다. 1969년, 반독점법 소송의 위협을 받은 [[IBM]]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비용을 별도 부과함으로써 산업 변화를 주도하였으며 소스 코드를 제공하는 일을 중단하였다. 1983년 바이너리 소프트웨어가 [[애플]] 대 프랭클린 법 결정에 의해 저작권 보유가 가능해졌는데, 그 이전까지는 오직 소스 코드의 저작권 보유만 가능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C%9A%A9_%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 상용 소프트웨어]〉, 《위키백과》</ref> 사용자가 돈을 주고 구매한 [[윈도우]], [[오피스]] [[프로그램]], 한글, [[그래픽]] 프로그램 등이 해당한다. G2 크라우드 어워드에서 2019년 최고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뽑힌 상용 소프트웨어에는 [[아마존]]의 서버리스 컴퓨팅 [[플랫폼]]인 AWS Lambda, [[구글]]의 광고 타겟팅 플랫폼인 애드 센스, 비즈니스 분석 도구인 스플렁크 엔터프라이즈(Splunk Enterprise) 등이 있다.<ref name=“장단점”>LOU RENERCHUK, 〈[https://www.modensoft.co.kr/copyright_define_crackdown.html COMMERCIAL VS OPEN SOURCE SOFTWARE: BENEFITS AND DRAWBAVKS]〉, 《echo》, 2019-10-02</ref>
  
== 특징 ==
+
==특징==
 
대개는 사유 소프트웨어인 경우가 많지만, [[자유 소프트웨어]] 패키지 또한 상용 소프트웨어인 경우가 있으며, 무료 소프트웨어와 달리 불법 복제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시디 키 또는 시리얼 넘버와 문자의 조합으로 되어있는 암호를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대부분 유료이지만, 비용을 지불하면 기능이나 시간제한 없이 온전한 프로그램을 합법적으로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 실행 [[코드]]만 제공하고 소스 코드는 배포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소스 코드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개작이 불가능하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서는 복제와 재배포도 허용되지 않는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8553&cid=42346&categoryId=42346 상용 소프트웨어]〉, 《네이버 지식백과》</ref> 소프트웨어를 만든 사람 또는 팀만이 소스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상용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가 구매한 상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불법으로 다운로드한 제품을 설치한 것이 발각될 경우 법적 처벌을 받게 된다.<ref>휴식같은 친구, 〈[https://invitetour.tistory.com/396 소프트웨어 저작권(라이선스) 종류 알아보기]〉, 《티스토리》, 2018-04-25</ref> 상용 소프트웨어에는 [[리포팅툴]], [[백업 솔루션]], [[보안 솔루션]], [[GIS 솔루션]] 등이 있다. 
 
대개는 사유 소프트웨어인 경우가 많지만, [[자유 소프트웨어]] 패키지 또한 상용 소프트웨어인 경우가 있으며, 무료 소프트웨어와 달리 불법 복제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시디 키 또는 시리얼 넘버와 문자의 조합으로 되어있는 암호를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대부분 유료이지만, 비용을 지불하면 기능이나 시간제한 없이 온전한 프로그램을 합법적으로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 실행 [[코드]]만 제공하고 소스 코드는 배포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소스 코드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개작이 불가능하며,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서는 복제와 재배포도 허용되지 않는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8553&cid=42346&categoryId=42346 상용 소프트웨어]〉, 《네이버 지식백과》</ref> 소프트웨어를 만든 사람 또는 팀만이 소스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상용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가 구매한 상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불법으로 다운로드한 제품을 설치한 것이 발각될 경우 법적 처벌을 받게 된다.<ref>휴식같은 친구, 〈[https://invitetour.tistory.com/396 소프트웨어 저작권(라이선스) 종류 알아보기]〉, 《티스토리》, 2018-04-25</ref> 상용 소프트웨어에는 [[리포팅툴]], [[백업 솔루션]], [[보안 솔루션]], [[GIS 솔루션]] 등이 있다. 
  
15번째 줄: 13번째 줄:
 
설정, 사용자 입력, [[데이터]] 교환 및 데이터 형식화와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경우 유연성에 따라 [[시스템]] 컨설팅 및 시스템 관리에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예정인 사용자의 수나,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의 수에 따라서도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돌아갈 거란 보장이 없어, 구매 실패를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 불법 복제 감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보다 과한 기능의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돈을 낭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비슷하게 특정 기능만 구매할 수 없어 제품 전체를 구매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낭비될 가능성이 있다. 최악의 경우 개발자나 기업에서 소프트웨어를  폐기 처분하거나, 공급을 중단할 경우, 시간과 비용을 들여 사용하던 프로그램과 비슷한 소프트웨어를 다시 찾아야 한다. 찾아낸다 하더라도, 필요에 맞게 설정하고, 이전의 데이터들을 불러오는 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ref name=“장단점”></ref>
 
설정, 사용자 입력, [[데이터]] 교환 및 데이터 형식화와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경우 유연성에 따라 [[시스템]] 컨설팅 및 시스템 관리에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예정인 사용자의 수나, 이용 가능한 [[전자기기]]의 수에 따라서도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매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돌아갈 거란 보장이 없어, 구매 실패를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 불법 복제 감사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보다 과한 기능의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돈을 낭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비슷하게 특정 기능만 구매할 수 없어 제품 전체를 구매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낭비될 가능성이 있다. 최악의 경우 개발자나 기업에서 소프트웨어를  폐기 처분하거나, 공급을 중단할 경우, 시간과 비용을 들여 사용하던 프로그램과 비슷한 소프트웨어를 다시 찾아야 한다. 찾아낸다 하더라도, 필요에 맞게 설정하고, 이전의 데이터들을 불러오는 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ref name=“장단점”></ref>
  
== 분류 ==
+
==분류==
 
다음은 2017년에 발표된 2차 글로벌 상용 소프트웨어 백서에 의해 분류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분류와 소분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은 2017년에 발표된 2차 글로벌 상용 소프트웨어 백서에 의해 분류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분류와 소분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31번째 줄: 29번째 줄:
 
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는 2차 백서에서 새롭게 등장한 대분류로 크게 문서도구, 협업응용, 자원관리 제품군으로 분류된다. 오피스 등의 문서저작 및 문서 변환 소프트웨어는 문서도구 제품군에 속하고, 그룹웨어, 기업용 SNS 등은 경영협업 제품군에 속하며, 전사적자원관리(ERP), 공급망관리(SCM), 고객관계관리(CRM),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생산관리시스템(MES) 등을 포함한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는 2차 백서에서 새롭게 등장한 대분류로 크게 문서도구, 협업응용, 자원관리 제품군으로 분류된다. 오피스 등의 문서저작 및 문서 변환 소프트웨어는 문서도구 제품군에 속하고, 그룹웨어, 기업용 SNS 등은 경영협업 제품군에 속하며, 전사적자원관리(ERP), 공급망관리(SCM), 고객관계관리(CRM),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생산관리시스템(MES) 등을 포함한다.
  
===사회 기반 소프트웨어===
+
===사회기반 소프트웨어===
 
; 건설
 
; 건설
 
사람이 거주 및 활동하는 주택, 아파트, 빌딩, 플랜트 구조물 등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계획, 엔지니어링 설계, 건축설비 및 환경, 에너지 설계 분야에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시공분야 소프트웨어는 계획과 설계가 완료된 시설물에 대한 공사를 진행하면서 공정이나 공사비, 투입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사전 검토하기 위한 시공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시티와 관계된 소프트웨어는 스마트시티플랫폼, 스마트도로관제, 스마트빌딩 분야로 구분한다. 건설분야는 구조물을 설계하고 시공하는데 필요한 도면을 작성하는 분야와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해석 설계 분야 그리고 시공에 필요한 공정시뮬레이션 분야 중심으로 가 발전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연계성과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는 통합플랫폼으로 확장 및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단일통합시스템으로의 확장이 전망된다.
 
사람이 거주 및 활동하는 주택, 아파트, 빌딩, 플랜트 구조물 등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계획, 엔지니어링 설계, 건축설비 및 환경, 에너지 설계 분야에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시공분야 소프트웨어는 계획과 설계가 완료된 시설물에 대한 공사를 진행하면서 공정이나 공사비, 투입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사전 검토하기 위한 시공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시티와 관계된 소프트웨어는 스마트시티플랫폼, 스마트도로관제, 스마트빌딩 분야로 구분한다. 건설분야는 구조물을 설계하고 시공하는데 필요한 도면을 작성하는 분야와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해석 설계 분야 그리고 시공에 필요한 공정시뮬레이션 분야 중심으로 가 발전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연계성과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는 통합플랫폼으로 확장 및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단일통합시스템으로의 확장이 전망된다.
77번째 줄: 75번째 줄:
 
국내 인공지능 기술 역량이 제고됨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리더의 역량 또한 제고되고 있다. 따라서 양면시장 플랫폼 성격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속성에 부합되는 R&D 지원 정책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참여를 통한 차별화 전략 추진이 필요하며 정부의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인터넷 정보,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분석, 소셜 미디어, 인터넷 융합 서비스가 있다. 인터넷 정보 서비스에는 검색, [[전자상거래]], [[핀테크]] 서비스가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분석 서비스에는 대용량데이터 분석 서비스, 제품-서비스 융합이,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는 협업 도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융합 서비스에는 [[미디어]] 융합 서비스, e스포츠,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다.<ref name=“논문”></ref>
 
국내 인공지능 기술 역량이 제고됨에 따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리더의 역량 또한 제고되고 있다. 따라서 양면시장 플랫폼 성격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속성에 부합되는 R&D 지원 정책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참여를 통한 차별화 전략 추진이 필요하며 정부의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인터넷 정보,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분석, 소셜 미디어, 인터넷 융합 서비스가 있다. 인터넷 정보 서비스에는 검색, [[전자상거래]], [[핀테크]] 서비스가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 데이터 분석 서비스에는 대용량데이터 분석 서비스, 제품-서비스 융합이,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는 협업 도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융합 서비스에는 [[미디어]] 융합 서비스, e스포츠,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다.<ref name=“논문”></ref>
  
== 상용화 ==
+
==상용화==
 
===독점 소프트웨어===
 
===독점 소프트웨어===
 
디지털 상품으로서의 소프트웨어가 대중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독점상품으로서 상용화될 수 있다는 것은, 사용자의 무료 공유 및 복사 즉,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통제는 계약법, 소프트웨어 특허 및 영업 비밀과 함께, 소프트웨어 소유자, 지적 재산 소유자에게 법적 근거를 제공하는 저작권에 의해서 배포 및 상용화에 대한 독점권을 설정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시장에서 바이너리 형태(클로즈드 소스)로만 판매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로부터 생성된 제품이나 추가 개발에 대한 독점적인 제어도 이루어진다. 인증되지 않은 제삼자의 수정, 개발에 필요한 복잡한 소프트웨어의 바이너리 형태에서 소스 코드 형태로의 역 엔지니어링 재구성 [[프로세스]]는 부담스럽고, 가끔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사실은 유연한 수정 및 개발을 위해 다른 개발자에게 소스 코드를 허용하여, 소스 코드 형태로 된 소프트웨어를 더 높은 가격에 상용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한다. 연구 및 개발 모델, IP 임대 모델, 독점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이라고도 불리는 이 모델은 2001년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크레이그 먼디(Craig Mundie)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설명되었다. 기업과 투자자들은 실물 경제에서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에 집중해야 하고, 본사는 소프트웨어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독립 소프트웨어 분야의 지속적인 활력을 보장하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계속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적재산권의 중요성에 기초한 연구개발방식은 기업의 자본 조달, 위험 부담, 장기 집중, 지속 가능한 사업 모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의 기반이었다. 지적 재산을 보호하는 경제 모델과 연구 개발비를 회수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인상적인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이를 매우 폭넓게 분배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차례 보여주었다.<ref name=“상용화”>〈[https://en.wikipedia.org/wiki/Commercial_software 상용 소프트웨어]〉, 《위키피디아》</ref>
 
디지털 상품으로서의 소프트웨어가 대중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독점상품으로서 상용화될 수 있다는 것은, 사용자의 무료 공유 및 복사 즉,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통제는 계약법, 소프트웨어 특허 및 영업 비밀과 함께, 소프트웨어 소유자, 지적 재산 소유자에게 법적 근거를 제공하는 저작권에 의해서 배포 및 상용화에 대한 독점권을 설정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시장에서 바이너리 형태(클로즈드 소스)로만 판매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로부터 생성된 제품이나 추가 개발에 대한 독점적인 제어도 이루어진다. 인증되지 않은 제삼자의 수정, 개발에 필요한 복잡한 소프트웨어의 바이너리 형태에서 소스 코드 형태로의 역 엔지니어링 재구성 [[프로세스]]는 부담스럽고, 가끔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사실은 유연한 수정 및 개발을 위해 다른 개발자에게 소스 코드를 허용하여, 소스 코드 형태로 된 소프트웨어를 더 높은 가격에 상용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한다. 연구 및 개발 모델, IP 임대 모델, 독점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이라고도 불리는 이 모델은 2001년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크레이그 먼디(Craig Mundie)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설명되었다. 기업과 투자자들은 실물 경제에서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에 집중해야 하고, 본사는 소프트웨어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독립 소프트웨어 분야의 지속적인 활력을 보장하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계속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적재산권의 중요성에 기초한 연구개발방식은 기업의 자본 조달, 위험 부담, 장기 집중, 지속 가능한 사업 모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의 기반이었다. 지적 재산을 보호하는 경제 모델과 연구 개발비를 회수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인상적인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이를 매우 폭넓게 분배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차례 보여주었다.<ref name=“상용화”>〈[https://en.wikipedia.org/wiki/Commercial_software 상용 소프트웨어]〉, 《위키피디아》</ref>
86번째 줄: 84번째 줄:
 
독점 소프트웨어는 고객에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선스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고객이 소프트웨어 자체 또는 일부에 대한 수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도 한다. 독점 소프트웨어의 경우 특정한 수준의 지원은 종종 구매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일부 독점 소프트웨어 공급 업체는 유료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정의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자유 소프트웨어는 종종 무료로 제공되며, 독점 소프트웨어에 비해 영구적으로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자체를 변경하거나 프로그래머를 고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거나 개발하여 특정 요구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다만 자유 소프트웨어는 보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법적 책임을 부여하지 못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때, 소프트웨어의 조건과 사용 조건에 따라 두 당사자 간에 보증은 허용되고, 이러한 계약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는 별도로 이루어진다.<ref name=“상용화”></ref>
 
독점 소프트웨어는 고객에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선스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고객이 소프트웨어 자체 또는 일부에 대한 수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도 한다. 독점 소프트웨어의 경우 특정한 수준의 지원은 종종 구매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일부 독점 소프트웨어 공급 업체는 유료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정의하기도 한다. 이와 달리 자유 소프트웨어는 종종 무료로 제공되며, 독점 소프트웨어에 비해 영구적으로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 자체를 변경하거나 프로그래머를 고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거나 개발하여 특정 요구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다만 자유 소프트웨어는 보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법적 책임을 부여하지 못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때, 소프트웨어의 조건과 사용 조건에 따라 두 당사자 간에 보증은 허용되고, 이러한 계약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와는 별도로 이루어진다.<ref name=“상용화”></ref>
  
== 발전 ==
+
==발전==
 
; 모빌리티화
 
; 모빌리티화
 
기업 업무 현장이 점점 모바일 퍼스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어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시장의 형태로 확장되었다. 모바일 사용 인구의 증가, 모바일 앱의 확산, 보안위협의 고도화, 모바일 기기 관리의 필요성 증가 등이 상용 소프트웨어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스마트기기의 확대로 인하여 서버와 PC를 위한 운영체제 개발 및 확대로의 전략에서부터 ARM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모바일 기기에 운영되는 운영체제가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아이오에스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업 업무 현장이 점점 모바일 퍼스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어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시장의 형태로 확장되었다. 모바일 사용 인구의 증가, 모바일 앱의 확산, 보안위협의 고도화, 모바일 기기 관리의 필요성 증가 등이 상용 소프트웨어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스마트기기의 확대로 인하여 서버와 PC를 위한 운영체제 개발 및 확대로의 전략에서부터 ARM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모바일 기기에 운영되는 운영체제가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아이오에스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23번째 줄: 121번째 줄: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 기존의 서비스 시스템과는 다른 개념의 운용방식을 가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는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에는 데이터를 중앙에 두고 데이터의 접근을 최대한 막는 보안 방식을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로 생각하였지만, [[비트코인]] 서비스의 인기로 인하여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을 통해 효율성보다는 시장의 파괴적 혁신 그리고 이념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개념을 채택하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코스모스]] 등의 [[가상화폐]] 서비스는 기존의 중앙화된 절차를 없애고 전 세계에 퍼진 노드를 네트워크로 묶어냄으로 기존 제도권과 완전히 분리되어 작동하는 독자적 시장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가상화폐 시장뿐 만이 아닌 다양한 응용 시장을 만들어내고 있어 기존의 중앙화되고 모니터링 가능한 시스템에서 탈피할 수 있는 또 다른 시장의 형태를 만들어 내고 있다.<ref name=“논문”>〈[http://www.software.kr/_file/roadMap/total_2017.pdf 글로벌 상용 SW 백서[총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09</ref>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 기존의 서비스 시스템과는 다른 개념의 운용방식을 가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는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에는 데이터를 중앙에 두고 데이터의 접근을 최대한 막는 보안 방식을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로 생각하였지만, [[비트코인]] 서비스의 인기로 인하여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을 통해 효율성보다는 시장의 파괴적 혁신 그리고 이념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개념을 채택하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코스모스]] 등의 [[가상화폐]] 서비스는 기존의 중앙화된 절차를 없애고 전 세계에 퍼진 노드를 네트워크로 묶어냄으로 기존 제도권과 완전히 분리되어 작동하는 독자적 시장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가상화폐 시장뿐 만이 아닌 다양한 응용 시장을 만들어내고 있어 기존의 중앙화되고 모니터링 가능한 시스템에서 탈피할 수 있는 또 다른 시장의 형태를 만들어 내고 있다.<ref name=“논문”>〈[http://www.software.kr/_file/roadMap/total_2017.pdf 글로벌 상용 SW 백서[총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7-09</ref>
  
== 유의사항 ==
+
==유의사항==
 
===불법 복제===
 
===불법 복제===
 
상용 소프트웨어는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정품 인증서가 없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불법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경우 위법이다. 이때 구매한 증빙 문서(라이선스 증서, [[CD]])를 분실한 경우도 불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 복제하여 사용하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이 구매한 소프트웨어의 상위 버전을 사용하거나 수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구매한 정품을 여러 사용자가 설치하는 경우 등 저작권법을  침해할 경우 불법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헌법 제 136조에 따르면 복제권, 공중 송신권, 배포권 등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고, 불법으로 복제된 소프트웨어임을 알면서 업무상 이용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있다. 또한 양벌규정으로 단순히 불법 복제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불법 복제를 하도록 제품을 제공한 사용자 또는 법인까지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ref>〈[https://www.modensoft.co.kr/copyright_define_crackdown.html 불법 소프트웨어 단속이란?]〉, 《모든소프트》</ref>
 
상용 소프트웨어는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정품 인증서가 없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불법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경우 위법이다. 이때 구매한 증빙 문서(라이선스 증서, [[CD]])를 분실한 경우도 불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 복제하여 사용하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이 구매한 소프트웨어의 상위 버전을 사용하거나 수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가 구매한 정품을 여러 사용자가 설치하는 경우 등 저작권법을  침해할 경우 불법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헌법 제 136조에 따르면 복제권, 공중 송신권, 배포권 등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고, 불법으로 복제된 소프트웨어임을 알면서 업무상 이용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있다. 또한 양벌규정으로 단순히 불법 복제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불법 복제를 하도록 제품을 제공한 사용자 또는 법인까지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ref>〈[https://www.modensoft.co.kr/copyright_define_crackdown.html 불법 소프트웨어 단속이란?]〉, 《모든소프트》</ref>
130번째 줄: 128번째 줄:
 
최근 [[안랩]]에서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를 노려 ‘불법 다운로드 위장 [[피싱]]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 코드]]를 발견해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해커는 먼저 상용 소프트웨어의 [[크랙]](crack) 다운로드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제작했다. 크랙이란 무단복제, 불법 다운로드 방지 등의 기술이 적용된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사용하기 위해 보호 방식을 제거하는 프로그램 및 행위를 말한다.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받기 위한 키워드를 불법으로 다운받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제품명과 함께 검색하면 해커가 만든 위장 피싱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포함되어 나온다.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이 압축파일의 내부에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가 포함된 압축파일과 텍스트들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압축파일을 풀기 위해 텍스트 파일에 적힌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PC에서 정보 유출 악성코드가 설치되고, 해당 PC에 기록되어있는 [[웹]] 브라우저의 패스워드 정보 및 [[쿠키]] 정보, 가상화폐 지갑 정보 등이 유출된다. 안랩은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반드시 정품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이용하고, 의심되는 웹사이트는 방문을 자제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수칙을 지킬 것을 강조했다.<ref>양경숙 기자, 〈[http://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62968 안랩“상용SW 불법 다운로드 사용자 타깃 정보탈취 악성코드 주의”]〉, 《애플경제》, 2020-11-13</ref>
 
최근 [[안랩]]에서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를 노려 ‘불법 다운로드 위장 [[피싱]]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 코드]]를 발견해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해커는 먼저 상용 소프트웨어의 [[크랙]](crack) 다운로드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제작했다. 크랙이란 무단복제, 불법 다운로드 방지 등의 기술이 적용된 상용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사용하기 위해 보호 방식을 제거하는 프로그램 및 행위를 말한다.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불법으로 다운받기 위한 키워드를 불법으로 다운받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제품명과 함께 검색하면 해커가 만든 위장 피싱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포함되어 나온다.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되는데, 이 압축파일의 내부에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가 포함된 압축파일과 텍스트들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압축파일을 풀기 위해 텍스트 파일에 적힌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PC에서 정보 유출 악성코드가 설치되고, 해당 PC에 기록되어있는 [[웹]] 브라우저의 패스워드 정보 및 [[쿠키]] 정보, 가상화폐 지갑 정보 등이 유출된다. 안랩은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반드시 정품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이용하고, 의심되는 웹사이트는 방문을 자제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수칙을 지킬 것을 강조했다.<ref>양경숙 기자, 〈[http://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62968 안랩“상용SW 불법 다운로드 사용자 타깃 정보탈취 악성코드 주의”]〉, 《애플경제》, 2020-11-13</ref>
  
== 관련 백서 ==
+
==관련 백서==
 
===1차===
 
===1차===
 
2016년 9월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 의해 처음으로 전 산업군에 적용되는 상용 소프트웨어 분류체계가 마련되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이상홍 센터장은 미래 소프트웨어 시장의 청사진으로 활용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산업 백서가 필요하다는 업계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고, 전 산업에서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없고, 급변하는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분류  체계가 필요했다며 백서 발간의 이유를 설명했다. 백서의 이름은 ‘글로벌 상용 소프트웨어 백서’로 총 1,514개의 상용 소프트웨어를 범용 소프트웨어 60개,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66개의 항목으로 분류했다. 백서에는 분류뿐만 아니라 기술 시장의 동향, 주요 이슈, 발전 방향, 주요 소프트웨어 목록, 경쟁 현황, 국산 소프트웨어 점유율 등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황이 담겼다.
 
2016년 9월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 의해 처음으로 전 산업군에 적용되는 상용 소프트웨어 분류체계가 마련되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이상홍 센터장은 미래 소프트웨어 시장의 청사진으로 활용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산업 백서가 필요하다는 업계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고, 전 산업에서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없고, 급변하는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분류  체계가 필요했다며 백서 발간의 이유를 설명했다. 백서의 이름은 ‘글로벌 상용 소프트웨어 백서’로 총 1,514개의 상용 소프트웨어를 범용 소프트웨어 60개, 산업특화 소프트웨어 66개의 항목으로 분류했다. 백서에는 분류뿐만 아니라 기술 시장의 동향, 주요 이슈, 발전 방향, 주요 소프트웨어 목록, 경쟁 현황, 국산 소프트웨어 점유율 등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황이 담겼다.
140번째 줄: 138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C%9A%A9_%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 상용 소프트웨어]〉,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83%81%EC%9A%A9_%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 상용 소프트웨어]〉, 《위키백과》
 
*LOU RENERCHUK, 〈[https://www.modensoft.co.kr/copyright_define_crackdown.html COMMERCIAL VS OPEN SOURCE SOFTWARE: BENEFITS AND DRAWBAVKS]〉, 《echo》, 2019-10-02
 
*LOU RENERCHUK, 〈[https://www.modensoft.co.kr/copyright_define_crackdown.html COMMERCIAL VS OPEN SOURCE SOFTWARE: BENEFITS AND DRAWBAVKS]〉, 《echo》, 2019-10-02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