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각 블록은 저장된 위치(특정 스토리지 시스템의 특정 디스크)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블록들을 재구성해 하나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달된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스위치라는 기기를 필요하게 된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스위치는 이러한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지와 서버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방식은 각 서버와 스토리지를 광케이블로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샌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나스 스토리지와 비교해서 큰 비용과 장비들의 투자가 필요하고, 기존 시스템들의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이므로 몇 가지 제약이 있다. 샌을 이기종 간의 여러 서버에서 하나의 스토리지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샌 관리 소프트웨어가 별도로 필요로 하고, 나스와는 달리 샌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축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ref name="동네 아는 형"> 동네 아는 형, 〈[https://blog.naver.com/gojump0713/140111144418 SAN, NAS, DAS의 개념비교]〉, 《네이버 블로그》, 2010-07-21</ref><ref name="박주형"></ref>
+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블록이라는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각 블록은 저장된 위치(특정 스토리지 시스템의 특정 디스크)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블록들을 재구성해 하나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달된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스위치라는 기기를 필요하게 된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스위치는 위에서 설명한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스토리지와 서버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방식은 각 서버와 스토리지를 광케이블로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샌은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가바이트 이상의 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이 빠르고 필요에 따라서 성능과 용량을 확장하기가 쉽다. 랜을 사용하지 않아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기 적합하다. 단점으로는 다른 스토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고 이더넷 네트워크와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동시에 운영하기에 관리가 힘들어진다. 관리하는데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고 블록 백업에 스토리지 공간이 더 요구된다. 주로 데이터베이스나, 가상화 환경, 영상 편집 같은 빠른 속도를 요구하고 [[가상화]] 구축 환경에 적합하고 고성능 샌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많이 쓰인다.<ref name="박주형 SAN"> 박주형, 〈[https://tech.gluesys.com/blog/2019/12/17/storage_2_intro.html 스토리지 기초 지식 2편: 스토리지 프로토콜]〉, 《글루시스 기술 블로그》, 2019-12-17</ref>
+
샌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나스 스토리지와 비교해서 큰 비용과 장비들의 투자가 필요하고, 기존 시스템들의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이므로 몇 가지 제약이 있다. 샌을 이기종 간의 여러 서버에서 하나의 스토리지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샌 관리 소프트웨어가 별도로 필요로 하고, 나스와는 달리 샌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축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샌은 서버와 스토리지 사이의 채널 접속에 파이버채널 스위치를 넣어 네트워크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스카시(SCSI, Small Computers System Interface)의 경우 오픈 시스템의 채널 인터페이스이긴 하지만 접속 거리가 최대 25m로 네트워크로 구성하기에는 거리제약이 있으며 스위칭을 위한 고려가 전혀 되어있지 않는 인터페이스란 점 때문에 파이버채널을 샌의 표준으로 정하게 되었다. 파이버채널 스위치를 중간에 넣음으로써 서버의 접속 포트 하나에서 여러 대의 스토리지를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스토리지의 접속 포트 하나에 여러 서버가 접속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여러 서버에서 파일 공유를 하려는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동일 파일 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각각의 서버에서 해야 하므로 잠금 문제와 일관성 문제가 생기게 되고 그런 이유로 파일 공유가 되지 않는다. 샌에서 말하는 공유는 서버 측면에서의 스토리지 공유 또는 스토리지 측면에서의 서버 공유를 의미한다. 샌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에는 파일 시스템의 공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러한 노력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파일 시스템의 공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ref name="동네 아는 형"> 동네 아는 형, 〈[https://blog.naver.com/gojump0713/140111144418 SAN, NAS, DAS의 개념비교]〉, 《네이버 블로그》, 2010-07-21</ref><ref name="박주형"></ref>
 +
 
 +
=== 장단점 ===
 +
샌은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가바이트 이상의 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이 빠르고 필요에 따라서 성능과 용량을 확장하기가 쉽다. 랜을 사용하지 않아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기 적합하다. 단점으로는 다른 스토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고 이더넷 네트워크와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동시에 운영하기에 관리가 힘들어진다. 관리하는데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고 블록 백업에 스토리지 공간이 더 요구된다. 주로 데이터베이스나, 가상화 환경, 영상 편집 같은 빠른 속도를 요구하고 가상화 구축 환경에 적합하고 고성능 샌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많이 쓰인다.<ref name="박주형 SAN"> 박주형, 〈[https://tech.gluesys.com/blog/2019/12/17/storage_2_intro.html 스토리지 기초 지식 2편: 스토리지 프로토콜]〉, 《글루시스 기술 블로그》, 2019-12-17</ref>
  
 
== 구성 요소 ==
 
== 구성 요소 ==
26번째 줄: 29번째 줄:
  
 
== 전송 방법 ==
 
== 전송 방법 ==
샌은 서버와 스토리지 사이의 채널 접속에 파이버채널 스위치를 넣어 네트워크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스카시(SCSI, Small Computers System Interface)의 경우 오픈 시스템의 채널 인터페이스이긴 하지만 접속 거리가 최대 25m로 네트워크로 구성하기에는 거리제약이 있으며 스위칭을 위한 고려가 전혀 되어있지 않는 인터페이스란 점 때문에 파이버채널을 샌의 표준으로 정하게 되었다. 파이버채널 스위치를 중간에 넣음으로써 서버의 접속 포트 하나에서 여러 대의 스토리지를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스토리지의 접속 포트 하나에 여러 서버가 접속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여러 서버에서 파일 공유를 하려는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동일 파일 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각각의 서버에서 해야 하므로 잠금 문제와 일관성 문제가 생기게 되고 그런 이유로 파일 공유가 되지 않는다. 샌에서 말하는 공유는 서버 측면에서의 스토리지 공유 또는 스토리지 측면에서의 서버 공유를 의미한다. 샌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에는 파일 시스템의 공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러한 노력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파일 시스템의 공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ref name="동네 아는 형"> 동네 아는 형, 〈[https://blog.naver.com/gojump0713/140111144418 SAN, NAS, DAS의 개념비교]〉, 《네이버 블로그》, 2010-07-21</ref><ref name="박주형"></ref>
 
 
 
=== 인터넷 스카시 ===
 
=== 인터넷 스카시 ===
 
인터넷 스카시는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스토리지 시설을 이어주는 IP 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이다. 인터넷 스카시는 IP망을 통해 스카시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인트라넷을 거쳐 데이터 전송을 쉽게 하고 먼 거리에 걸쳐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데 쓰인다. 인터넷 스카시는 근거리 통신망과 원거리 통신망,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쓰이며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데이터 보관과 복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수 목적의 케이블링을 요구하는 전통적인 파이버채널과 달리 인터넷 스카시는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여 먼 거리에 걸쳐 운영할 수 있다. TCP/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스카시 I/O 명령을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기반의 스토리지이다. IP 기반으로 로컬 네트워크 및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저장소 운영이 가능하다. 윈도우 및 리눅스 등의 운영 체제에서는 인터넷 스카시 디스크는 실제 하드 디스크로 연결된다. 샌 기반 구성보다는 대폭적 저비용 및 IP 네트워크 기반의 유연성이 매우 높다. 네트워크 티밍(Network Teaming)과 함께 구성 시 매우 높은 고가용 시스템을 구축한다. IBM은 1998년 개념 증명서로 인터넷 스카시를 개발했고 2000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인터넷 스카시 표준의 초안을 제시했다. 그 의정서는 2003년에 비준되었다.<ref name="iSCSI 위키백과">iSCSI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ISCSI</ref><ref name="한비로">한비로 - http://hanbiro.com/management/iscsi-storage.html</ref>
 
인터넷 스카시는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스토리지 시설을 이어주는 IP 기반의 스토리지 네트워킹 표준이다. 인터넷 스카시는 IP망을 통해 스카시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인트라넷을 거쳐 데이터 전송을 쉽게 하고 먼 거리에 걸쳐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데 쓰인다. 인터넷 스카시는 근거리 통신망과 원거리 통신망, 아니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쓰이며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데이터 보관과 복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수 목적의 케이블링을 요구하는 전통적인 파이버채널과 달리 인터넷 스카시는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사용하여 먼 거리에 걸쳐 운영할 수 있다. TCP/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스카시 I/O 명령을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기반의 스토리지이다. IP 기반으로 로컬 네트워크 및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저장소 운영이 가능하다. 윈도우 및 리눅스 등의 운영 체제에서는 인터넷 스카시 디스크는 실제 하드 디스크로 연결된다. 샌 기반 구성보다는 대폭적 저비용 및 IP 네트워크 기반의 유연성이 매우 높다. 네트워크 티밍(Network Teaming)과 함께 구성 시 매우 높은 고가용 시스템을 구축한다. IBM은 1998년 개념 증명서로 인터넷 스카시를 개발했고 2000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인터넷 스카시 표준의 초안을 제시했다. 그 의정서는 2003년에 비준되었다.<ref name="iSCSI 위키백과">iSCSI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ISCSI</ref><ref name="한비로">한비로 - http://hanbiro.com/management/iscsi-storage.html</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