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펑 P7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자율주행====
 
====자율주행====
샤오펑 P7은 샤오펑모터스 최초의 지능형 전기자동차로서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을 자랑하며 자율주행용 엑스 파일럿 3.0 프로그램에 AI 컴퓨터인 [[엔비디아]](Nvidia) 드라이브 AGX [[자비에]](Xavier) 컴퓨팅 플랫폼을 사용했다. 엔비디아의 자비에는 오늘날의 엄격한 안전 기준과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최초의 자동화된 자율주행 전용 컴퓨팅 플랫폼으로 30W의 전력만으로 30테라플롭스(1테라=초당 1조회 연산)의 연산 능력을 가졌다. 또한 사오펑 모터스는 향후 자비에 플랫폼과 강력한 아키텍처 호환성을 갖춘 엔비디아의 새로운 [[오린]](Orin) 플랫폼 채택을 적극 모색하고 있으며 끊임없는 기술 발전으로 운전자의 안전과 높은 주행성을 선사하겠다고 말했다. 차량 내부에는 개방형 엔비디아 드라이브 OS가 샤오펑의 독자적인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인 엑스 파일럿 3.0을 실행하며, 향후 자율주행 능력 향상에 중요한 지속적인 무선 업데이트를 제공하며 자율주행차 작동에 필요한 AI 추론을 위해 엔비디아 자비에의 딥러닝 가속기가 사용되고 있다.<ref >이성원,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98 中 샤오펑모터스 ‘P7’ 자율주행전기차 베일벗고 출시]〉, 《로봇신문》, 2020-04-28</ref>
+
샤오펑 P7은 샤오펑모터스 최초의 지능형 전기자동차로서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을 자랑하며 자율주행용 엑스 파일럿3.0 프로그램에 AI컴퓨터인 [[엔비디아]](Nvidia) 드라이브 AGX [[자비에]](Xavier) 컴퓨팅 플랫폼을 사용했다. 엔비디아의 자비에는 오늘날의 엄격한 안전 기준과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최초의 자동화된 자율주행 전용 컴퓨팅 플랫폼으로 30와트의 전력만으로 30테라플롭스(1테라=초당 1조회 연산)의 연산능력을 가졌다. 또한 사오펑 모터스는 향후 자비에 플랫폼과 강력한 아키텍처 호환성을 갖춘 엔비디아의 새로운 [[오린]](Orin) 플랫폼 채택을 적극 모색하고 있으며 끊임없는 기술 발전으로 운전자의 안전과 높은 주행성을 선사하겠다고 말했다. 차량 내부에는 개방형 엔비디아 드라이브 OS가 샤오펑의 독자적인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인 엑스 파일럿3.0을 실행하며, 향후 자율주행 능력 향상에 중요한 지속적인 무선 업데이트를 제공하며 자율주행차 작동에 필요한 AI 추론을 위해 엔비디아 자비에의 딥러닝 가속기가 사용되고 있다.<ref >이성원,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98 中 샤오펑모터스 ‘P7’ 자율주행전기차 베일벗고 출시]〉, 《로봇신문》, 2020-04-28</ref>
  
 
===외관 및 디자인===
 
===외관 및 디자인===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