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성찬영.jpg|썸네일|300픽셀|'''성찬영'''(Chris Sung)]]
+
'''성찬영'''(Chris Sung)
[[파일:퍼블리시㈜ 글자.png|썸네일|300픽셀|'''[[퍼블리시㈜]]''']]
 
[[파일:케이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케이체인]]'''(KCHAIN)]]
 
 
 
'''성찬영''' 또는 '''크리스 성'''(Chris Sung)은 블록체인 기반 언론 미디어 플랫폼 '''[[퍼블리시㈜]]'''<!--퍼블리시-->의 공동대표이다.
 
 
 
== 개요 ==
 
성찬영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UC Berkeley)에서 커뮤니케이션학 학사학위를 취득한 뒤, 뉴욕소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권성민]]'''과 함께 언론 산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솔루션 제공 업체 퍼블리시㈜를 공동 창립한 뒤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임팩트 금융 플랫폼 스타트업인 [[기빙레저]](Giving Ledger)의 대표이사이며 전략, 컨설팅. 디지털, 기술 및 운영 분야에서 광범위한 블록체인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회사 [[케이체인]](KCHAIN)의 최고전략책임자(CSO)이기도 하다.
 
  
 
== 학력 ==
 
== 학력 ==
20번째 줄: 13번째 줄:
 
== 주요활동 ==
 
== 주요활동 ==
 
=== 퍼블리시㈜ ===
 
=== 퍼블리시㈜ ===
퍼블리시㈜는 언론 산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솔루션 제공 업체이다. 콘텐츠 관리, 토큰화, 플랫폼 게임화, 정보 진위 확인 및 검증 등을 통해 언론사의 편집 및 재정 독립성 확보를 지향하며 퍼블리시 프로토콜(PUBLISHprotocol) 기반 미디어 댑(DApp)의 발굴과 유기적인 성장을 위해 자체적으로 발행한 생태계 암호화폐인 NEWS 토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 블록체인 표준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인터넷 신문 CMS 솔루션 퍼블리시 소프트(PUBLISHsoft)를 개발하고, 자체 디지털 자산 지갑인 퍼블리시월렛(PUBLISHwallet)과 환전소 역할을 할 퍼블리시 익스체인지(PUBLISHexchange)를 출시했으며 산업차원에서의 프로토콜 도입을 위한 글로벌 미디어·기술업체·학문기관 연합체인 퍼블리시 얼라이언스(PUBLISHalliance)를 자체적으로 창설하는 한편 한국인터넷신문협회와 세계신문협회의 공식적인 지지를 받으며 언론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퍼블리시는 언론을 위한, 언론에 의한 혁신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뉴스 및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배포,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언론사와 독자, 그리고 광고주를 연결하며 중소언론의 자생력 강화를 목표로 블록체인 기반 뉴스 생태계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ref>https://drive.google.com/file/d/1WadQFp8Kgn_aRfeaQiT5sl-5rAPAS6lu/view</ref><ref>https://www.publishprotocol.io/</ref>{{자세히|퍼블리시㈜}}
+
퍼블리시㈜는 언론 산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솔루션 제공 업체이다. 콘텐츠 관리, 토큰화, 플랫폼 게임화, 정보 진위 확인 및 검증 등을 통해 언론사의 편집 및 재정 독립성 확보를 지향하며 퍼블리시 프로토콜(PUBLISHprotocol) 기반 미디어 댑(DApp)의 발굴과 유기적인 성장을 위해 자체적으로 발행한 생태계 암호화폐인 NEWS 토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 블록체인 표준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인터넷 신문 CMS 솔루션 퍼블리시 소프트(PUBLISHsoft)를 개발하고, 자체 디지털 자산 지갑인 퍼블리시월렛(PUBLISHwallet)과 환전소 역할을 할 퍼블리시 익스체인지(PUBLISHexchange)를 출시했으며 산업차원에서의 프로토콜 도입을 위한 글로벌 미디어·기술업체·학문기관 연합체인 퍼블리시 얼라이언스(PUBLISHalliance)를 자체적으로 창설하는 한편 한국인터넷신문협회와 세계신문협회의 공식적인 지지를 받으며 언론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퍼블리시는 언론을 위한, 언론에 의한 혁신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뉴스 및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배포,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언론사와 독자, 그리고 광고주를 연결하며 중소언론의 자생력 강화를 목표로 블록체인 기반 뉴스 생태계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
 
 
=== 케이체인 ===
 
=== 케이체인 ===
케이체인(KCHAIN)은 전략, 컨설팅. 디지털, 기술 및 운영 분야에서 광범위한 블록체인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회사이다. 블록체인 산업 및 비즈니스 기능 전반에서 탁월한 경험과 전문 기술을 결합한 케이체인은 비즈니스와 기술의 교차점에서 고객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업계의 이해 관계자를 위해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케이체인은 산업과 삶을 개선하기 위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케이체인이 체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그들은 블록체인 개발의 선두주자로서, 블록체인 기술 및 애프리케이션의 선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케이체인은 업계 전반에 걸친 여러 사업에서 성공적인 블록체인 서비스 통합을 보장하기 위해 기술, 법률, 마케팅 그리고 IP 컨설팅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케이체인은 포괄적인 블록체인 교육 과정과 전문 개발자 교육을 제공한다. 이들의 비전은 블록체인 전문가를 양성하는 동시에 일반 대중에게 블록체인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들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전반적인 추세, 플랫폼, 기술 혁신 및 의미 있는 사용 사례 등에 대해 잘 조사하고 통찰력을 담고 있는 정기적인 보고서와 분석 기사를 작성한다.<ref>케이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kchain.kr/</ref>{{자세히|케이체인}}
+
케이체인(KCHAIN)은 전략, 컨설팅. 디지털, 기술 및 운영 분야에서 광범위한 블록체인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회사이다. 블록체인 산업 및 비즈니스 기능 전반에서 탁월한 경험과 전문 기술을 결합한 케이체인은 비즈니스와 기술의 교차점에서 고객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업계의 이해 관계자를 위해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케이체인은 산업과 삶을 개선하기 위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케이체인이 체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그들은 블록체인 개발의 선두주자로서, 블록체인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의 선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케이체인은 업계 전반에 걸친 여러 사업에서 성공적인 블록체인 서비스 통합을 보장하기 위해 기술, 법률, 마케팅 그리고 IP 컨설팅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케이체인은 포괄적인 블록체인 교육 과정과 전문 개발자 교육을 제공한다. 이들의 비전은 블록체인 전문가를 양성하는 동시에 일반 대중에게 블록체인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들은 블록체인 산업에서 전반적인 추세, 플랫폼, 기술 혁신 및 의미 있는 사용 사례 등에 대해 잘 조사하고 통찰력을 담고 있는 정기적인 보고서와 분석 기사를 작성한다.
===KEOS 서울 밋업===
 
케이체인은 2018년 5월 11일에 [[이오스]] [[블록 프로듀서]]로 공식 출마했다. 그에 따라 2018년 6월 1일에 '케이오스(KEOS) BP 후보 서울 밋업'을 개최했다. 이 밋업은 한국형 [[닥]]([[탈중앙화]] 자율기업)을 꿈꾸는 국내 이오스 블록 프로듀서와 전 세계 이오스 홀더가 참여한 서울에서 열린 첫 번째 밋업이다. 이 밋업은 저녁 7시에서 9시까지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419 파고다 빌딩 11층에서 100명의 방문객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밋업은 케이오스(KEOS)의 전체 로드맵과 스냅샷 및 [[에어드랍]]에 대한 일정 소개와 케이오스의 구체적인 계획 발표 등의 내용으로 구성 되었다.<ref>〈[http://a.to/198N5rd <행사안내> KEOS 서울 밋업 개최]〉, 《케인체인 미디엄》, 2018-05-23</ref>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성찬영 (크리스 성)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chrissunger/
 
 
* 퍼블리시 대표 인터뷰 -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78
 
* 퍼블리시 대표 인터뷰 -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78
* 퍼블리시 트위터 - https://twitter.com/PUBLISH_Inc
 
* 퍼블리시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company/publish-inc/
 
 
* 퍼블리시 한글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WadQFp8Kgn_aRfeaQiT5sl-5rAPAS6lu/view
 
* 퍼블리시 한글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WadQFp8Kgn_aRfeaQiT5sl-5rAPAS6lu/view
 
* 퍼블리시 영어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B6sUaeh6WH7EBeg_xJOBWEmGeAiz0xGo/view
 
* 퍼블리시 영어백서 - https://drive.google.com/file/d/1B6sUaeh6WH7EBeg_xJOBWEmGeAiz0xGo/view
* 퍼블리시프로토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publishprotocol.io/
 
* 퍼블리시프로토콜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pg/PUBLISHprotocol/about/?ref=page_internal
 
* 케이체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kchain.kr/
 
* 〈[http://a.to/198N5rd <행사안내> KEOS 서울 밋업 개최]〉, 《케인체인 미디엄》, 2018-05-2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