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34번째 줄: 334번째 줄:
 
* '''아로사'''(Arosa) : 소형 3도어 해치백으로 2005년에 단종된 후 2011년에 빈 자리를 미로 대체했다. 1997년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1998년에 공식 출시가 이루어졌으며 같은 해에 출시된 폭스바겐 루포와 형제차였다. 2000년 10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폭스바겐 루포와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였다. 스페인 지역의 이름을 따오는 세아트 차량의 전통답게 아로사 역시 '빌라가르시아데아로우사'(Vilagarcía de Arousa)라는 갈라시아 지방 폰테베드라 주에 위치한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차량 라인업은 3인승 및 4인승 해치백 사양만 존재하였다. 초기 생산은 독일 볼프스부르크에 위치한 폭스바겐 공장에서 이루어졌으나 1998년 5월을 기점으로 세아트의 스페인 마토렐 공장으로 옮겨서 초기형은 2000년 8월까지 후기형은 2005년 6월까지 생산하였다. 차량의 디자인은 부가티 베이론의 개발을 담당했던 조제프 카반의 주도로 이루어졌다.후기형 차량은 과거에 피아트 판다를 기반으로 한 세아트 마르벨라를 대체하였다. 2001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는 '세아트 아로사 레이서'와 '세아트 아로사 시티 크루저'라는 컨셉트카가 공개되기도 했다. 수상은 1997년 골든 스티어링 휠과 포르투갈에서 1998년 Utilitário do Ano Award를 탄 적이 있었다. 파워트레인은 1.0L 8v OHC I4 엔진, 1.4L 8v/16v OHC I4 엔진(이상 가솔린), 1.2L TDI 6v OHC I3 엔진, 1.4L TDI 6v OHC I3 엔진, 1.7L SDI 8v OHC I4 엔진(이상 디젤)이 탑재되며 각각 50PS/60PS/101PS/61PS/75PS/60PS의 최대 파워와 86Nm/116Nm/128Nm/140Nm/195Nm/115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모든 사양에는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는 1.4L 8v 가솔린 사양에만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3,551mm, 전폭은 1,639mm, 전고는 1,460mm, 휠베이스는 2,323mm이다.<ref> 〈[https://namu.wiki/w/%EC%84%B8%EC%95%84%ED%8A%B8%20%EC%95%84%EB%A1%9C%EC%82%AC 세아트 아로사]〉, 《나무위키》, </ref>
 
* '''아로사'''(Arosa) : 소형 3도어 해치백으로 2005년에 단종된 후 2011년에 빈 자리를 미로 대체했다. 1997년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1998년에 공식 출시가 이루어졌으며 같은 해에 출시된 폭스바겐 루포와 형제차였다. 2000년 10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폭스바겐 루포와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였다. 스페인 지역의 이름을 따오는 세아트 차량의 전통답게 아로사 역시 '빌라가르시아데아로우사'(Vilagarcía de Arousa)라는 갈라시아 지방 폰테베드라 주에 위치한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차량 라인업은 3인승 및 4인승 해치백 사양만 존재하였다. 초기 생산은 독일 볼프스부르크에 위치한 폭스바겐 공장에서 이루어졌으나 1998년 5월을 기점으로 세아트의 스페인 마토렐 공장으로 옮겨서 초기형은 2000년 8월까지 후기형은 2005년 6월까지 생산하였다. 차량의 디자인은 부가티 베이론의 개발을 담당했던 조제프 카반의 주도로 이루어졌다.후기형 차량은 과거에 피아트 판다를 기반으로 한 세아트 마르벨라를 대체하였다. 2001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는 '세아트 아로사 레이서'와 '세아트 아로사 시티 크루저'라는 컨셉트카가 공개되기도 했다. 수상은 1997년 골든 스티어링 휠과 포르투갈에서 1998년 Utilitário do Ano Award를 탄 적이 있었다. 파워트레인은 1.0L 8v OHC I4 엔진, 1.4L 8v/16v OHC I4 엔진(이상 가솔린), 1.2L TDI 6v OHC I3 엔진, 1.4L TDI 6v OHC I3 엔진, 1.7L SDI 8v OHC I4 엔진(이상 디젤)이 탑재되며 각각 50PS/60PS/101PS/61PS/75PS/60PS의 최대 파워와 86Nm/116Nm/128Nm/140Nm/195Nm/115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모든 사양에는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는 1.4L 8v 가솔린 사양에만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3,551mm, 전폭은 1,639mm, 전고는 1,460mm, 휠베이스는 2,323mm이다.<ref> 〈[https://namu.wiki/w/%EC%84%B8%EC%95%84%ED%8A%B8%20%EC%95%84%EB%A1%9C%EC%82%AC 세아트 아로사]〉, 《나무위키》, </ref>
  
* '''코르도바'''(Cordoba) : 세아트에서 이비자 2세대 및 3세대 차량의 세단, 에스테이트 왜건, 쿠페 버전의 차량으로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되었다. 1993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여름에 출시되었다. 디자인은 조르제토 주지아로(Giorgetto Giugiaro)가 맡았으며 3세대 폭스바겐 폴로를 기반으로 한 2세대 세아트 이비자의 플랫폼을 사용하였다. 생산은 스페인 마르토렐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1996년 3월에 '코르도바 SX'라는 2도어 쿠페 사양과 같은 해 8월에는 에스테이트 왜건 사양인 '코르도바 바리오'가 추가되었다. 1999년 8월에는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는데, 실내, 범퍼, 헤드 및 테일램프, 전면 그릴 등에 변화가 이루어졌고 새로운 재료와 장식들이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은 16밸브 ABF형 엔진이 대체되어 156마력의 1.8L 터보 엔진이 탑재되면서 쿠프라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
* '''코르도바'''(Cordoba) : 세아트에서 이비자 2세대 및 3세대 차량의 세단, 에스테이트 왜건, 쿠페 버전의 차량으로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되었다.
 
 
: 2세대 2003년형은 2002년 파리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3세대 세아트 이비자의 세단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적재공간은 일반이 485L, 됫좌석을 접을 시 800L 정도까지 확장이 이루어진다. 1세대와 다르게 에스테이트 왜건이나 쿠페 사양은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디자인은 발터 드 실바(Walter Maria de Silva)가 맡았다. 2006년 2월부터 영국 시장에서 판매가 중단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생산이 중단되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는 2009년을 끝으로 단종되었다.<ref> 〈[https://namu.wiki/w/%EC%84%B8%EC%95%84%ED%8A%B8%20%EC%BD%94%EB%A5%B4%EB%8F%84%EB%B0%94 세아트 코르도바]〉, 《나무위키》, </ref>
 
 
 
:코르도바 WRC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세계랠리챔피언십에서 SEAT의 공식 랠리카였다. 2.0L 터보차지 엔진을 탑재해 총 3개의 포디움을 달성했다. 코르도바는 FIA 월드 랠리크로스 챔피언십에서도 사용되었다. 덴마크 선수 데니스 뢰머(Dennis Rømer)는 2014년 독일 월드 RX에 출전해 41명의 참가 선수 중 40위를 차지했다. 현재까지 코르도바가 월드 챔피언십 랠리 크로스에서 사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가장 유력하다. SEAT 이비자는 제조사 엔트리로 사용되었다.<ref> "[https://en.wikipedia.org/wiki/SEAT_C%C3%B3rdoba SEAT Córdoba]", ''Wikipedia'', </ref>
 
 
 
* '''잉카'''(Inca) : 1995년에 세아트가 야심차게 내놓은 소형 픽업트럭의 짐칸에 박스 형태의 화물칸이 추가된 형태의 차량이다. 2003년에 후속없이 단종되었으나 폭스바겐에서는 캐디라는 이름으로 리뱃징해서 후속모델까지 생산중이다. 1997년 포르투갈에서 'Comercial do Ano'상을 수상했다. 잉카는 1.460 브레이크 마력(45kW, 61PS)과 1.675bhp(56kW, 76PS)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다. 또한 폴크스바겐 골프와 폴로의 64bhp(48kW; 65PS) 1.9(1896cc) 간접주입 디젤 엔진 또는 특정 국가의 90bhp(67kW) 터보차지 직분사(TDI) 디젤 엔진도 사용할 수 있었다. 1999년부터는 전자제어 및 간접분사 엔진에 비해 경제성이 개선된 64bhp(48 kW; 65 PS) 1.9흡입 디젤분사(SDI) 직접분사 디젤도 출시되었다. 1995년 출시부터 2003년 생산이 끝날 때까지 11만5,000 대 이상의 SEAT Inca 자동차가 생산 및 판매되었다.<ref> "[https://en.wikipedia.org/wiki/SEAT_Inca SEAT Inca]", ''Wikipedia'', </ref>
 
 
 
* '''엑세오'''(Exeo) : 아우디 A4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준중형 세단, 왜건(ST). 2013년에 단종 후 4세대 톨레도와 레온 ST로 대체되었다. 전륜구동 세단 차종으로 초기에는 코드명이 '볼레로'로 알려졌으나, 이후 Typ 3R이라는 코드명으로 변경되었다. 차량의 명칭은 라틴어로 '넘어서다'를 뜻하는 'exire'에서 유래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스페인 지역의 이름으로 짓던 차량의 명칭법을 깬 최초의 사례이기도 했다. 생산은 스페인 마트로렐 세아트 공장에서 이루어졌는데, 생산을 위해 독일 잉골슈타트에서 생산되는 A4의 생산 및 조립 라인을 해체한 후 옮겨오기도 했었다. 2008년 파리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을 때는 5도어 세단 사양이 있었으나 출시 이후에는 4도어 세단 사양과 5도어 왜건 사양인 '엑세오 ST'가 존재했었다. 플랫폼은 폭스바겐 AG의 PL46형(B7)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독창적인 본네트, 프론트 윙, 트렁크, 도어/외부 도어 미러 등 아우디 A4와 비교했을 때 전면 및 후면부 디자인의 차이가 존재했다. 그럼에도 A4 카브리올레의 실내와 B6/B7 아우디 A4의 실내 장비 및 전기 부품을 사용하였다. 서유럽 지역에서는 2009년 3월부터 판매가 이루어졌다. 사양은 총 3가지로 Reference, Stylance, Sport 트림이 있었다. 2013년 5월부로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총 81,552대가 생산되었다.<ref> 〈[https://namu.wiki/w/%EC%84%B8%EC%95%84%ED%8A%B8%20%EC%97%91%EC%84%B8%EC%98%A4 세아트 엑세오]〉, 《나무위키》, </ref>
 
 
 
* '''알테아'''(Altea) : 세아트에서 2004년부터 2015년까지 만든 MPV 차량이다. 디자인은 현재의 아우디 디자인을 만들어낸 발터 드 실바가 맡았다. 후속으로 세아트 아테카가 등장했다. 스페인을 돌아다니다 보면 택시로 많이 보인다. 또 다른 확장 버전인 Altea XL은 2006년 파리모터쇼에서 처음 선보였다. 2007년에는 4WD 이상의 서스펜션을 갖춘 알테아 프리트랙이 출시되었다. 2015년 8월 21일, 세아트는 알테아와 알테아 XL이 단종되었다고 발표했다. 알테아에 대한 직접적인 대체는 계획되지 않았지만, 세아트는 세아트 레온을 기반으로 한 자체 SUV 모델을 출시함으로써 MPV에서 SUV로의 전 세계적인 변화를 따랐다. 2016년 2월 알테아의 후계자로 지목된 아테카가 출범했다.<ref> "[https://en.wikipedia.org/wiki/SEAT_Altea SEAT Altea]", ''Wikipedia'', </ref>
 
  
 
* '''론다'''(Ronda) : 세아트가 1982년부터 1987년까지 생산한 준중형차의 명칭이다. 피아트로부터 독립한 뒤 독자개발을 해서 처음 출시한 신차 3종류 중 하나이자, 세아트에서 공식적으로 수출한 첫 차종이다. 이름의 유래는 스페인의 도시 명칭인 론다이다. 세아트 론다는 피아트 리트모를 손봐 만들되, 세아트가 자사의 기술 센터와 피아트 차량의 현지화를 통해 쌓은 기술력을 활용해 인테리어 디자인을 새로 진행하고, 외관 디자인은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인 레이톤 피소레와 같이 디자인했다. 엔진 역시 피아트 엔진 4종류(1.2와 1.6, 2리터 휘발유 엔진과 1.7리터 디젤 엔진)를 그대로 사용했으나, 휘발유 엔진은 스페인 사양 전용에다가 세아트가 새로 튜닝을 했고, 디젤 엔진도 단순히 이탈리아에서 가져오는 게 아니라 스페인 현지에서 직접 라이센스 생산했다. 라인업상으로도 65 CL, 75 CLX, 100 크로노(Crono)의 3개 라인업에 5단 수동변속기, 5도어 해치백 차체만 있었지만 CLX와 크로노는 기본 장비도 가격에 비해 상당히 많았고, 무엇보다도 기존의 리트모에서 발견되던 품질 문제를 잡으려는 노력도 엿보였다. 1984년에는 폭스바겐과의 기술제휴가 성사되어 포르쉐와 공동 개발한 엔진 2종류(1.2리터와 1.6리터 휘발유 엔진)를 장착했고, 홍보 역시 포르쉐와의 기술제휴를 강조하면서 뒷부분에 "P" 데칼이 추가되었다. 1987년까지 약 18만대 가까이 생산되었으며, 단종된 뒤 12년 후에 후속차종인 세아트 레온이 등장했다. 원본인 피아트 리트모와의 비교 시승기에 의하면, 리트모가 훨씬 고성능에다가 현대적인 반면 론다는 리트모보다 5~6% 더 저렴하다는 점으로 이를 상쇄했다고 한다.<ref> 〈[https://namu.wiki/w/%EC%84%B8%EC%95%84%ED%8A%B8%20%EB%A1%A0%EB%8B%A4 세아트 론다]〉, 《나무위키》, </ref>
 
* '''론다'''(Ronda) : 세아트가 1982년부터 1987년까지 생산한 준중형차의 명칭이다. 피아트로부터 독립한 뒤 독자개발을 해서 처음 출시한 신차 3종류 중 하나이자, 세아트에서 공식적으로 수출한 첫 차종이다. 이름의 유래는 스페인의 도시 명칭인 론다이다. 세아트 론다는 피아트 리트모를 손봐 만들되, 세아트가 자사의 기술 센터와 피아트 차량의 현지화를 통해 쌓은 기술력을 활용해 인테리어 디자인을 새로 진행하고, 외관 디자인은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인 레이톤 피소레와 같이 디자인했다. 엔진 역시 피아트 엔진 4종류(1.2와 1.6, 2리터 휘발유 엔진과 1.7리터 디젤 엔진)를 그대로 사용했으나, 휘발유 엔진은 스페인 사양 전용에다가 세아트가 새로 튜닝을 했고, 디젤 엔진도 단순히 이탈리아에서 가져오는 게 아니라 스페인 현지에서 직접 라이센스 생산했다. 라인업상으로도 65 CL, 75 CLX, 100 크로노(Crono)의 3개 라인업에 5단 수동변속기, 5도어 해치백 차체만 있었지만 CLX와 크로노는 기본 장비도 가격에 비해 상당히 많았고, 무엇보다도 기존의 리트모에서 발견되던 품질 문제를 잡으려는 노력도 엿보였다. 1984년에는 폭스바겐과의 기술제휴가 성사되어 포르쉐와 공동 개발한 엔진 2종류(1.2리터와 1.6리터 휘발유 엔진)를 장착했고, 홍보 역시 포르쉐와의 기술제휴를 강조하면서 뒷부분에 "P" 데칼이 추가되었다. 1987년까지 약 18만대 가까이 생산되었으며, 단종된 뒤 12년 후에 후속차종인 세아트 레온이 등장했다. 원본인 피아트 리트모와의 비교 시승기에 의하면, 리트모가 훨씬 고성능에다가 현대적인 반면 론다는 리트모보다 5~6% 더 저렴하다는 점으로 이를 상쇄했다고 한다.<ref> 〈[https://namu.wiki/w/%EC%84%B8%EC%95%84%ED%8A%B8%20%EB%A1%A0%EB%8B%A4 세아트 론다]〉, 《나무위키》, </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