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세아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세아트'''(西亚特, SEAT)]]
 
[[파일:세아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세아트'''(西亚特, SEAT)]]
 
[[파일:폭스바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Volkswagen)]]
 
[[파일:폭스바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Volkswagen)]]
[[파일:쿠프라 글자.png|썸네일|300픽셀|'''[[쿠프라]]'''(Cupra)]]
+
[[파일:쿠프라 글자.png|썸네일|300픽셀|'''쿠프라'''(Cupra) 로고]]
 
[[파일:세아트 로고 변화.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세아트 로고 역사]]
 
[[파일:세아트 로고 변화.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세아트 로고 역사]]
 
[[파일:마르토렐 SEAT산업단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마르토렐 SEAT산업단지]]
 
[[파일:마르토렐 SEAT산업단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마르토렐 SEAT산업단지]]
8번째 줄: 8번째 줄:
  
 
'''세아트'''(SEAT, 西亚特)는 [[스페인]]의 유일한 양산형 자동차 생산 판매 기업이다. 현재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자회사로 편입되어 있다. 정확히 아우디 앤 람보르기니(Audi And Lamborghini)에 속해 있으며 본사는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마르토렐(Martorell)에 있다. 1950년 5월 9일에 카탈루냐 지역인 바르셀로나 근처의 마르토렐에서 국영 기업체인 'Sociedad Española de Automoviles de Turismo'(에스빠냐 투리스모 자동차 회사)로서 설립되었다. 이를 줄여서 세아트(SEAT)라고 부르게 되었다. 초기에는 피아트의 모델들을 라이센스 생산하다가 1953년부터 본격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피아트의 차량을 라이센스해서 세아트 브랜드로 바꿔서 판매, 수출만을 해오다가 1982년에 최초의 독자개발 모델인 론다(Ronda)의 생산을 시작으로 이비자(Ibiza) 등의 독자 모델을 개발,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나 1986년에 폭스바겐이 세아트의 주식 75%를 인수하면서부터 폭스바겐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며 1990년에는 폭스바겐이 세아트의 지분 99.99%를 인수하여 완전 자회사화하게 되었다. 2020년 10월 1일부터 '''[[웨인 그리피스]]'''(Wayne Griffiths)가 사장으로 임명되었다.
 
'''세아트'''(SEAT, 西亚特)는 [[스페인]]의 유일한 양산형 자동차 생산 판매 기업이다. 현재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자회사로 편입되어 있다. 정확히 아우디 앤 람보르기니(Audi And Lamborghini)에 속해 있으며 본사는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마르토렐(Martorell)에 있다. 1950년 5월 9일에 카탈루냐 지역인 바르셀로나 근처의 마르토렐에서 국영 기업체인 'Sociedad Española de Automoviles de Turismo'(에스빠냐 투리스모 자동차 회사)로서 설립되었다. 이를 줄여서 세아트(SEAT)라고 부르게 되었다. 초기에는 피아트의 모델들을 라이센스 생산하다가 1953년부터 본격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피아트의 차량을 라이센스해서 세아트 브랜드로 바꿔서 판매, 수출만을 해오다가 1982년에 최초의 독자개발 모델인 론다(Ronda)의 생산을 시작으로 이비자(Ibiza) 등의 독자 모델을 개발,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나 1986년에 폭스바겐이 세아트의 주식 75%를 인수하면서부터 폭스바겐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며 1990년에는 폭스바겐이 세아트의 지분 99.99%를 인수하여 완전 자회사화하게 되었다. 2020년 10월 1일부터 '''[[웨인 그리피스]]'''(Wayne Griffiths)가 사장으로 임명되었다.
{{:자동차 배너|폭스바겐}}
 
  
 
== 개요 ==
 
== 개요 ==
32번째 줄: 31번째 줄:
  
 
SEAT의 자회사 중 SEAT Deutschland GmbH 자회사는 독일 뫼어펠덴-발도로프(Mörfelden-Walldorf)에 본사를두고 있으며 상업적 활동과 별도로 SEAT의 전자 플랫폼인 SEAT IT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영 할 책임이 있다. 독일 볼프스부르크에서는 폭스바겐 그룹의 기업테마파크인 아우토스타드 내 호수 한가운데에 SEAT의 테마파크가 있는데, 이 공원에서 가장 큰 전시관 중 하나이다.<ref name="wiki"> "[https://en.wikipedia.org/wiki/SEAT SEAT]", '' - Wikipedia'', </ref>   
 
SEAT의 자회사 중 SEAT Deutschland GmbH 자회사는 독일 뫼어펠덴-발도로프(Mörfelden-Walldorf)에 본사를두고 있으며 상업적 활동과 별도로 SEAT의 전자 플랫폼인 SEAT IT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영 할 책임이 있다. 독일 볼프스부르크에서는 폭스바겐 그룹의 기업테마파크인 아우토스타드 내 호수 한가운데에 SEAT의 테마파크가 있는데, 이 공원에서 가장 큰 전시관 중 하나이다.<ref name="wiki"> "[https://en.wikipedia.org/wiki/SEAT SEAT]", '' - Wikipedia'', </ref>   
 +
  
 
== 리더십 ==
 
== 리더십 ==
[[파일:호세 오티즈-에차귀 후에르타스.jpg|썸네일|200픽셀|'''[[호세 오티즈-에차귀 후에르타스]]'''(José Ortiz-Echagüe Puertas)]]
+
현재 폭스바겐 그룹의 자회사인 SEAT의 리더는 그룹 감독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된다.<ref name="wiki"></ref>
 
 
현재 [[폭스바겐그룹]]의 자회사인 세아트(SEAT)의 리더는 그룹 감독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된다.<ref name="wiki"></ref>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78번째 줄: 76번째 줄:
 
[[파일:세아트의 첫 번째 엠블럼.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세아트의 첫 번째 엠블럼]]
 
[[파일:세아트의 첫 번째 엠블럼.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세아트의 첫 번째 엠블럼]]
 
[[파일:세아트1400 생산(1950년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세아트1400 생산(1950년대)]]
 
[[파일:세아트1400 생산(1950년대).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세아트1400 생산(1950년대)]]
[[파일:호세 오르티즈-에차귀에 푸에르타스.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SEAT의 초대 회장인 [[호세 오르티즈-에차귀에 후에르타스]](José Ortiz-Echagüe Puertas)는 1976년에 평생 명예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
[[파일:호세 오르티즈-에차귀에 푸에르타스.jpg|썸네일|300픽셀|오른쪽|SEAT의 초대 회장인 호세 오르티즈-에차귀에 푸에르타스(José Ortiz-Echagüe Puertas)는 1976년에 평생 명예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파일:SEAT1400.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1953년에 생산한 최초의 모델 SEAT1400]]
 
[[파일:SEAT1400.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1953년에 생산한 최초의 모델 SEAT1400]]
 
[[파일:스페인의 기적을 상징하는 SEAT600 기념비.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스페인의 기적을 상징하는 SEAT600 기념비]]
 
[[파일:스페인의 기적을 상징하는 SEAT600 기념비.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스페인의 기적을 상징하는 SEAT600 기념비]]
90번째 줄: 88번째 줄:
 
현재 명칭의 SEAT는 1950년 5월 9일, 국립산업연구원(INI)의 'Sociedad Española de Automóviles de Turismo, SA'(SEAT)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초기 자본금은 약 6억 페세트에 달한다. 거의 360만 유로로 주당 1,000페세타 60만주 형태이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국가 경제의 기본 구조를 개조해야할 때 SEAT의 탄생은 스페인 정부와 6개의 스페인 은행('Banco Urquijo', ' Banco Español de Crédito (Banesto) ', ' Banco de Bilbao ', ' Banco de Vizcaya, Banco Hispano-Americano ','Banco Central')은 스페인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되살리기 위해 외국 동맹국과의 협력을 촉구, 우선 협상 대상자는 독일의 [[폭스바겐]]과 이탈리아의 [[피아트]]였다. 피아트는 스페인 남북전쟁에서 파괴된 과달라하라에  '피아트 히스파니아' 공장을 세우는 계획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낙찰됐다. 피아트가 프랑스 기업 심카(Simca)와 협업한 것은 피아트의 국제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입증했다. 이탈리아의 반회전 자동차 시장에서의 피아트의 경험은 스페인에서 가장 쉽게 이전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졌는데, 당시 두 곳 모두 비슷한 도로 조건뿐만 아니라 저소득층과 제한된 자동차 시장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 명칭의 SEAT는 1950년 5월 9일, 국립산업연구원(INI)의 'Sociedad Española de Automóviles de Turismo, SA'(SEAT)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초기 자본금은 약 6억 페세트에 달한다. 거의 360만 유로로 주당 1,000페세타 60만주 형태이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국가 경제의 기본 구조를 개조해야할 때 SEAT의 탄생은 스페인 정부와 6개의 스페인 은행('Banco Urquijo', ' Banco Español de Crédito (Banesto) ', ' Banco de Bilbao ', ' Banco de Vizcaya, Banco Hispano-Americano ','Banco Central')은 스페인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되살리기 위해 외국 동맹국과의 협력을 촉구, 우선 협상 대상자는 독일의 [[폭스바겐]]과 이탈리아의 [[피아트]]였다. 피아트는 스페인 남북전쟁에서 파괴된 과달라하라에  '피아트 히스파니아' 공장을 세우는 계획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낙찰됐다. 피아트가 프랑스 기업 심카(Simca)와 협업한 것은 피아트의 국제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입증했다. 이탈리아의 반회전 자동차 시장에서의 피아트의 경험은 스페인에서 가장 쉽게 이전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졌는데, 당시 두 곳 모두 비슷한 도로 조건뿐만 아니라 저소득층과 제한된 자동차 시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피아트가 12마력 이하 차량 시장을 장악했는데, 이는 당초 스페인의 주요 시장 부문이 될 것으로 보였다. 제2차 세계대전의 상대적인 경제적 고립은 이탈리아를 손상시켰고 피아트는 이탈리아 밖의 기회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47년 방코 우르키조 그룹은 S.I.A.T. 사업을 부활시켰고, 이듬해 INI가 51%의 지배지분을 보유할 것이라는 이해와 함께 '국가간 국제간 거래'에서 기업의 집중적인 접근방식을 보존하는 신설회사에서의 지배행위로 성공적으로 회담이 종료되었다. 파트너 자동차 회사인 피아트는 기술 지원을 받는 대가로 7%의 지분을 제공받았다. 이렇게 SEAT는 1960년대와 70년대에 가장 큰 고용주로서 국가의 경제 회복을 재창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대부분 농촌 경제였던 것의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 초대 사장은 스페인의 항공기 제조업체인 콘스트루시온스 아에로나우티카스 SA(CONSTRUCCIONES Aeronáuticas SA)에서 온 산업 및 항공 엔지니어, 조종사, 사진작가인 [[호세 오티즈-에차귀 후에르타스]](José Ortiz-Echagüe Puertas)로  CEO 직책을 맡아 왔으며 1976년에 SEAT 명예 종신 사장으로 임명되었다.<ref name="wiki"></ref>
+
이탈리아에서는 피아트가 12마력 이하 차량 시장을 장악했는데, 이는 당초 스페인의 주요 시장 부문이 될 것으로 보였다. 제2차 세계대전의 상대적인 경제적 고립은 이탈리아를 손상시켰고 피아트는 이탈리아 밖의 기회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47년 방코 우르키조 그룹은 S.I.A.T. 사업을 부활시켰고, 이듬해 INI가 51%의 지배지분을 보유할 것이라는 이해와 함께 '국가간 국제간 거래'에서 기업의 집중적인 접근방식을 보존하는 신설회사에서의 지배행위로 성공적으로 회담이 종료되었다. 파트너 자동차 회사인 피아트는 기술 지원을 받는 대가로 7%의 지분을 제공받았다. 이렇게 SEAT는 1960년대와 70년대에 가장 큰 고용주로서 국가의 경제 회복을 재창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대부분 농촌 경제였던 것의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 초대 사장은 스페인의 항공기 제조업체인 콘스트루시온스 아에로나우티카스 SA(CONSTRUCCIONES Aeronáuticas SA)에서 온 산업 및 항공 엔지니어, 조종사, 사진작가인 [[호세 오르티즈-에차귀에 푸에르타스]](José Ortiz-Echagüe Puertas)로  CEO 직책을 맡아 왔으며 1976년에 SEAT 명예 종신 사장으로 임명되었다.<ref name="wiki"></ref>
  
 
=== 피아트와의 파트너십 ===
 
=== 피아트와의 파트너십 ===
133번째 줄: 131번째 줄:
 
스페인에서 최초로 SEAT 모델이 생산된 것은 1996년이며, 포르투갈의 팔멜라 오토에우로파 공장에서 SEAT Alhambra Mk1이 생산되었다. 또한 1997년 1월에는 비스페인계 후손인 벨기에인 피에르 알랭 드 스메트(Pierre-Alain de Smedt)가 처음으로 세아트의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3도어 도시 해치백인 세아트 아로사(SEAT Arosa)가 1997년 출시돼 1980년대 초부터 생산해오던 SEAT 피아트 판다 버전 마벨라를 사실상 대체했다.
 
스페인에서 최초로 SEAT 모델이 생산된 것은 1996년이며, 포르투갈의 팔멜라 오토에우로파 공장에서 SEAT Alhambra Mk1이 생산되었다. 또한 1997년 1월에는 비스페인계 후손인 벨기에인 피에르 알랭 드 스메트(Pierre-Alain de Smedt)가 처음으로 세아트의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3도어 도시 해치백인 세아트 아로사(SEAT Arosa)가 1997년 출시돼 1980년대 초부터 생산해오던 SEAT 피아트 판다 버전 마벨라를 사실상 대체했다.
  
1999년에는 모델 레온(Leon)을 출시하여 유럽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엇고 이 때 회사의 정식 명칭이 "SEAT SA"가 되었다. 세아트는 톨레도(Toledo), 레온(Leon)과 같은 인기 차량을 양산하였으나 독자적인 특색이 없는 폭스바겐의 스페인식 마이너 체인지 버전 차량만을 양산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2002년에 세아트는 새로운 조직 개편된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아우디 브랜드 그룹의 아우디 앤 람보르기니에 소속되었다. 2004년에 이비자를 FR과 쿠프라(Cupra) 2개의 버전으로 분리했다. 2005년에는 스포티카 뉴레온(New Leon)을 출시했다. 2006년에는 본사를 마르토렐의 새 건물로 이전했으며 이 전까지 나온 모델 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레온 쿠프라(Leon Cupra)를 출시했다. 2016년 2월에는 스페인에서 브랜드 최초의 SUV인 아테카(Ateca)를 공개했다.<ref name="wiki"></ref>  <ref> 〈[http://www.rpm9.com/news/article.html?id=20100513090001 세아트 (1)(2) ]〉, 《RPM9 전자신문엔터테인먼트》, 2010-05-13</ref>
+
1999년에는 모델 레온(Leon)을 출시하여 유럽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엇고 이 때 회사의 정식 명칭이 "SEAT SA"가 되었다. 세아트는 톨레도(Toledo), 레온(Leon)과 같은 인기 차량을 양산하였으나 독자적인 특색이 없는 폭스바겐의 스페인식 마이너 체인지 버전 차량만을 양산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2002년에 세아트는 새로운 조직 개편된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아우디 브랜드 그룹의 아우디 앤 람보르기니에 소속되었다. 2004년에 이비자를 FR과 쿠프라(Cupra) 2개의 버전으로 분리했다. 2005년에는 스포티카 뉴레온(New Leon)을 출시했다. 2006년에는 본사를 마르토렐의 새 건물로 이전했으며 이 전까지 나온 모델 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레온 쿠프라(Leon Cupra)를 출시했다. 2016년 2월에는 스페인에서 브랜드 최초의 SUV인 아테카(Ateca)를 공개했다.<ref name="wiki"></ref>  <ref> 〈[http://www.rpm9.com/news/article.html?id=20100513090001 세아트 (1)(2) ]〉, 《RPM9 전자신문엔터테인먼트》, 2010-05-13</ref>  
  
 
== 생산 판매 ==
 
== 생산 판매 ==
374번째 줄: 372번째 줄:
 
[[파일:미 일렉트릭.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미 일렉트릭]]
 
[[파일:미 일렉트릭.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미 일렉트릭]]
  
1990년대 초부터 세아트는 순 전기 파워트레인 또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중 하나를 탑재한 여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선보였는데, 여기에는 SITE Toledo Mk1 전기 모델(1992), SITE Ibiza Mk2 전기자동차(1993), SITE Inca 전기 밴(1995), SITE Leon Mk2 트윈 드라이브(2009), SITE 컨셉트(2010)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포함된다.
+
1990년대 초부터 세아트는 순 전기 파워트레인 또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중 하나를 탑재한 여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선보였는데, 여기에는 SITE Toledo Mk1 전기 모델(1992), SITE Ibiza Mk2 전기 자동차(1993), SITE Inca 전기 밴(1995), SITE Leon Mk2 트윈 드라이브(2009), SITE 컨셉트(2010)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포함된다.
  
 
'''주요 신에너지 차량'''
 
'''주요 신에너지 차량'''
396번째 줄: 394번째 줄:
  
 
=== 'Cenit verde' 프로젝트 ===
 
=== 'Cenit verde' 프로젝트 ===
Cenit VERDE 이니셔티브는 CENIT(National Strategic Considia for Technical Research) 프로그램이 지원하고 스페인 과학기술혁신부가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로 세아트가 핵심 역할을 한다. 스페인에서 하이브리드 및 전기동력 자동차의 기술, 부품, 인프라 개발을 목표로 하는 이 프로그램에는 16개 기술 회사(지멘스, 엔데사, 이베르드로라,  REE, 세가사, 피코사, 서킷오르, 코브라 또는 리어 포함)와 CTM 조정하에 16개 대학 및 연구 기관(센트레 테콜로지)이 CDTI(과학기술혁신부 소속 기관)의 지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0년 1월, Cenit Verde 협회는 마르토렐에 있는 세아트기술센터에서 개회했다. 그 기여의 일환으로 세아트는 2010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제시된 세아트 IBE 개념 제로 배출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EAT Leon Twin 드라이브에서 구현된 기술을 포함하여 자체적인 'Verde' 사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Cenit VERDE 이니셔티브는 CENIT(National Strategic Considia for Technical Research) 프로그램이 지원하고 스페인 과학기술혁신부가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로 세아트가 핵심 역할을 한다. 스페인에서 하이브리드 및 전기동력 자동차의 기술, 부품, 인프라 개발을 목표로 하는 이 프로그램에는 16개 기술 회사(지멘스, 엔데사, 이베르드로라,  REE, 세가사, 피코사, 서킷오르, 코브라 또는 리어 포함)와 CTM 조정하에 16개 대학 및 연구 기관(센트레 테콜로지)이 CDTI(과학기술혁신부 소속 기관)의 지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0년 1월, Cenit Verde 협회는 마르토렐에 있는 세아트기술센터에서 개회했다. 그 기여의 일환으로 세아트는 2010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제시된 세아트 IBE 개념 제로 배출 전기 자동차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EAT Leon Twin 드라이브에서 구현된 기술을 포함하여 자체적인 'Verde' 사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모터 스포츠 ==
 
== 모터 스포츠 ==
414번째 줄: 412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호세 오티즈-에차귀 후에르타스]]
 
 
* [[폭스바겐]]
 
* [[폭스바겐]]
 
* [[피아트]]
 
* [[피아트]]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