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수원시 시기.png|썸네일|300픽셀|'''수원시 시기''']]
+
'''수원시'''<!--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쪽으로는 [[안산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 [[의왕시]]와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팔달구 인계동이며, [[장안]], [[권선]], [[팔달구]], [[영통구]]의 4개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파일:수원시 위치.png|썸네일|300픽셀|'''수원시 위치''']]
 
[[파일:수원시청.png|썸네일|300픽셀|'''수원시청''']]
 
'''수원시'''<!--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는 [[용인시]], 서쪽으로는 [[안산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 [[의왕시]]와 접한다. 시청 소재지는 [[팔달구]] [[인계동]]이며,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의 4개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온전히 방벽이 있는 유일한 도시이다. 이 방벽은 경기도에서 가장 관광객 수가 많은 장소 가운데 하나이다. [[삼성전자]] R&D 센터와 본사가 영통구 매탄동에 위치한다. 수원시는 11개 대학교가 있는 주된 교육의 중심지이다.<ref name="위키">〈[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B%90%EC%8B%9C  수원시]〉, 《위키백과》</ref>  
+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온전히 방벽이 있는 유일한 도시이다. 이 방벽은 경기도에서 가장 관광객 수가 많은 장소 가운데 하나이다. [[삼성전자]] R&D 센터와 본사가 영통구 매탄동에 위치한다. 수원시는 11개 대학교가 있는 주된 교육의 중심지이다.<ref name="위키">〈[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B%90%EC%8B%9C  수원시]〉, 《위키백과》</ref>  
  
 
== 개요 ==
 
== 개요 ==
87번째 줄: 84번째 줄:
 
일반국도는 전남 [[목포시]]에서 수원시의 [[팔달구]]와 장안구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이어지는 1호선을 비롯하여 42호선(인천시 중구 북성동~수원시 권선구·팔달구·영통구~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43호선(세종시 아름동~수원시 영통구·장안구~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등이 지나간다. 권선구 대황교동에서 팔달구·장안구와 의왕시·군포시를 거쳐 안양시 만안구의 석수동까지 이어지는 국도 1호선 및 43호선의 일부를 경수대로(京水大路) 또는 경수산업도로라 칭하고, 팔달구 고등동에서 권선구와 안산시·시흥시를 거쳐 인천시 남동구 장수동까지 이어지는 국도 42호선의 일부를 수인로(水仁路) 또는 수인산업도로라 칭한다. 국도 1호선이 북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접속하고, 국도 43호선이 동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광교상현 나들목에서 용인서울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일반국도는 전남 [[목포시]]에서 수원시의 [[팔달구]]와 장안구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이어지는 1호선을 비롯하여 42호선(인천시 중구 북성동~수원시 권선구·팔달구·영통구~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43호선(세종시 아름동~수원시 영통구·장안구~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등이 지나간다. 권선구 대황교동에서 팔달구·장안구와 의왕시·군포시를 거쳐 안양시 만안구의 석수동까지 이어지는 국도 1호선 및 43호선의 일부를 경수대로(京水大路) 또는 경수산업도로라 칭하고, 팔달구 고등동에서 권선구와 안산시·시흥시를 거쳐 인천시 남동구 장수동까지 이어지는 국도 42호선의 일부를 수인로(水仁路) 또는 수인산업도로라 칭한다. 국도 1호선이 북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접속하고, 국도 43호선이 동수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와, 광교상현 나들목에서 용인서울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국가 지방지원도(국지도)는 84호선이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에서 수원시 [[권선구]]오목천동을 거쳐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으로 이어지고, 98호선이 [[팔달구]] 인계동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여 용인·광주·여주·양평·남양주·가평·포천·양주·파주·고양·김포·인천·시흥·안산·화성 등지의 경기·인천 지역을 순환하는 수도권 순환선으로 건설되고 있다. 이밖에 일반지방도는 309호선이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권선구]]를 거쳐 [[과천시]] 과천동까지 이어지고, 315호선이 평택시 팽성읍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영통구를 거쳐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까지 이어진다. 지방도 309호선이 북수원 나들목에서 영동 고속도로와, 금곡 나들목에서 평택 파주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
국가 지방지원도(국지도)는 84호선이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에서 [[수원시]] 권선구의 오목천동을 거쳐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으로 이어지고, 98호선이 팔달구 인계동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여 용인·광주·여주·양평·남양주·가평·포천·양주·파주·고양·김포·인천·시흥·안산·화성 등지의 경기·인천 지역을 순환하는 수도권 순환선으로 건설되고 있다. 이밖에 일반지방도는 309호선이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권선구]]를 거쳐 [[과천시]] 과천동까지 이어지고, 315호선이 평택시 팽성읍을 기점으로 하여 수원시의 영통구를 거쳐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까지 이어진다. 지방도 309호선이 북수원 나들목에서 영동 고속도로와, 금곡 나들목에서 평택 파주고속도로와 각각 접속한다.
  
 
2017년을 기준하여 도로 총 길이는 95만 413m로 경기도 도로 총 길이의 약 7%를 차지하여 31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크다. 이 가운데 고속도로는 1만 9380m, 일반국도는 3만 2138m, 지방도는 2만 2522m이며, 시도(市道)가 87만 6373m를 차지한다. 터널은 영동고속도로상의 광교터널을 비롯하여 총 6개소, 교량은 권선구 세류동의 수원천을 가로지르는 세류대교를 비롯하여 총 133개소가 건설되었다. 권선구 권선동에 광주·대구·목포·부산·삼척·완도·여수·진주·통영 방면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수원버스터미널, 권선구 구운동에 인천·남원 방면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2017년을 기준하여 도로 총 길이는 95만 413m로 경기도 도로 총 길이의 약 7%를 차지하여 31개 시·군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크다. 이 가운데 고속도로는 1만 9380m, 일반국도는 3만 2138m, 지방도는 2만 2522m이며, 시도(市道)가 87만 6373m를 차지한다. 터널은 영동고속도로상의 광교터널을 비롯하여 총 6개소, 교량은 권선구 세류동의 수원천을 가로지르는 세류대교를 비롯하여 총 133개소가 건설되었다. 권선구 권선동에 광주·대구·목포·부산·삼척·완도·여수·진주·통영 방면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수원버스터미널, 권선구 구운동에 인천·남원 방면의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125번째 줄: 122번째 줄:
  
 
== 동영상 ==
 
== 동영상 ==
 +
<youtube>jJFHE4Z9r3w</youtube>
 
<youtube>v8R3sfnYDS0</youtube>  
 
<youtube>v8R3sfnYDS0</youtube>  
  
{{각주}}
+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