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수원화성성곽길.jpg|썸네일|300픽셀|수원화성성곽길]]
 
[[파일:수원화성성곽길.jpg|썸네일|300픽셀|수원화성성곽길]]
  
'''수원화성'''(水原華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다. 1963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화성은 한국 성의 구성 요소인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 치성, 적대,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추어 대한민국의 성곽 건축 기술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된다. 지형에 맞추어 읍성과 산성의 구조가 모두 존재하도록 축조되었다.
+
'''수원 화성'''(水原 華城)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에 있는 길이 5.52킬로미터의 [[성곽]]이다. 1963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화성은 한국 성의 구성 요소인 옹성, 성문, 암문, 산대, 체성, 치성, 적대, 포대, 봉수대 등을 모두 갖추어 대한민국의 성곽 건축 기술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된다. 지형에 맞추어 읍성과 산성의 구조가 모두 존재하도록 축조되었다.
  
 
== 개요 ==
 
== 개요 ==
수원화성(水原華城)은 조선 [[정조]] 시기에 지은 수원시의 성곽 건축물과 이를 중심으로 한 계획도시이다. 오늘날에도 수원시의 자랑이자 랜드마크이다.  
+
수원화성(水原華城)은 조선 [[정조]] 시기에 지은 수원시의 성곽 건축물과 이를 중심으로 한 계획도시이다. 오늘날에도 수원시의 상징이자 랜드마크이다.  
  
 
오늘날의 수원화성은 수차례의 자연 재해와 [[한국전쟁]] 당시 파괴된 것을 일부 복원한 것이다. 원래 유네스코에 등재되는 건축물은 원본 그대로인 건축물이어야 하나, 수원화성은 70년대에 대대적인 복원을 거쳐 이러한 규칙에 맞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수원화성을 계획하면서 그림과 글로 설계도와 내용을 철저하게 남겨 놓은 《화성성역의궤》 덕분에 원형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었다는 점을 인정받아 이례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었다
 
오늘날의 수원화성은 수차례의 자연 재해와 [[한국전쟁]] 당시 파괴된 것을 일부 복원한 것이다. 원래 유네스코에 등재되는 건축물은 원본 그대로인 건축물이어야 하나, 수원화성은 70년대에 대대적인 복원을 거쳐 이러한 규칙에 맞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수원화성을 계획하면서 그림과 글로 설계도와 내용을 철저하게 남겨 놓은 《화성성역의궤》 덕분에 원형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었다는 점을 인정받아 이례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었다
  
 
== 명칭 ==
 
== 명칭 ==
정식 명칭은 '''수원화성'''(水原華城)으로, 약칭으로 '''수원성'''(水原城), 또는 '''화성'''(華城)이라고도 부르며, 화성시의 '화성'도 바로 여기에서 따온 명칭이다.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화성이 화성시에 없고 [[수원시]]에 있는 것을 이상하게 여길 수 있다. 이는 수원시와 화성시의 역사적 행정구역 변천사를 보면 이해할 수 있다. 현재의 화성시(화성군)는 원래 수원군에 속했는데, 1949년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부(수원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수원군의 잔여 지역을 이 화성의 이름을 따 화성군으로 개칭한 것이다. 그때도 수원화성은 수원읍에 있었음에도, 분리 승격될 수원부 지역과 잔여 수원군의 동질성을 부각하기 위해 이름만 따서 이렇게 된 것이다.
+
정식 명칭은 '''수원 화성'''(水原華城)으로, 약칭으로 '''수원성'''(水原城), 또는 '''화성'''(華城)이라고도 부르며, 화성시의 '화성'도 바로 여기에서 따온 명칭이다.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화성이 화성시에 없고 [[수원시]]에 있는 것을 이상하게 여길 수 있다. 이는 수원시와 화성시의 역사적 행정구역 변천사를 보면 이해할 수 있다. 현재의 화성시(화성군)는 원래 수원군에 속했는데, 1949년 수원군 수원읍이 수원부(수원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수원군의 잔여 지역을 이 화성의 이름을 따 화성군으로 개칭한 것이다. 그때도 수원화성은 수원읍에 있었음에도, 분리 승격될 수원부 지역과 잔여 수원군의 동질성을 부각하기 위해 이름만 따서 이렇게 된 것이다.
  
 
실제로 시와 군이 분리될 경우, 특히 그 군의 전통적인 중심지가 분리될 경우 지명으로 시 지역과 군 지역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것이 관행이었으며, 기존 지명에서 한 글자를 바꾸거나(청주시 - 청원군 등), 고지명(충주시 - 중원군 등) 혹은 유적 이름(경주시 - 월성군 등)을 쓰는 방식을 썼다. 다만 전통적인 중심지가 아닌 곳이 시로 분리되는 경우 시 쪽이 새 이름을 지었는데 대개 시가 될 지역의 읍면명을 땄다(사천군 - 삼천포시 등).
 
실제로 시와 군이 분리될 경우, 특히 그 군의 전통적인 중심지가 분리될 경우 지명으로 시 지역과 군 지역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것이 관행이었으며, 기존 지명에서 한 글자를 바꾸거나(청주시 - 청원군 등), 고지명(충주시 - 중원군 등) 혹은 유적 이름(경주시 - 월성군 등)을 쓰는 방식을 썼다. 다만 전통적인 중심지가 아닌 곳이 시로 분리되는 경우 시 쪽이 새 이름을 지었는데 대개 시가 될 지역의 읍면명을 땄다(사천군 - 삼천포시 등).
100번째 줄: 100번째 줄:
 
[[파일:북서적대.png|썸네일|300픽셀|북서적대(北西敵臺)]]
 
[[파일:북서적대.png|썸네일|300픽셀|북서적대(北西敵臺)]]
 
[[파일:북동적대.png|썸네일|300픽셀|북동적대(北東敵臺)]]
 
[[파일:북동적대.png|썸네일|300픽셀|북동적대(北東敵臺)]]
 +
 +
[[파일:File.png|썸네일|300픽셀|설명]]
 +
[[파일:File.png|썸네일|300픽셀|설명]]
 
=== 4대 성문 ===
 
=== 4대 성문 ===
 
화성에는 동서남북으로 남문, 서문, 북문, 동문 4개의 성문이 있다.
 
화성에는 동서남북으로 남문, 서문, 북문, 동문 4개의 성문이 있다.
290번째 줄: 293번째 줄:
 
화성 관람 시 관람료는 성인 기준 1,000원이며 중간중간 매표소에서 직원이 표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수원시민은 주소가 기재된 신분증을 제시하면 관람료가 면제된다. 또한 '2016년 수원화성 방문의 해'를 맞아 창룡문 밖 주차장에 수원화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열기구가 생겼다. 다만 좀 비싸다. 15분 정도 탑승하는데 성인 18,000원, 청소년 17,000원, 어린이 15,000원이며, 수원시민의 경우 연령 구분 없이 성인 요금의 30% 할인된 가격인 12,6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화성 관람 시 관람료는 성인 기준 1,000원이며 중간중간 매표소에서 직원이 표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수원시민은 주소가 기재된 신분증을 제시하면 관람료가 면제된다. 또한 '2016년 수원화성 방문의 해'를 맞아 창룡문 밖 주차장에 수원화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열기구가 생겼다. 다만 좀 비싸다. 15분 정도 탑승하는데 성인 18,000원, 청소년 17,000원, 어린이 15,000원이며, 수원시민의 경우 연령 구분 없이 성인 요금의 30% 할인된 가격인 12,6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수원화성 관람
 
* 하절기 (3월 ~ 10월) 동절기 (11월 ~ 2월) : 상시
 
* 휴무일 : 연중무휴
 
* 요금 : 무료
 
* 수원화성은 개방형이며 야간 관람 가능
 
 
;화성행궁 관람
 
* 하절기 (3월 ~ 10월) 동절기 (11월 ~ 2월) : 09:00 ~ 18:00
 
* 휴무일 : 연중무휴
 
* 입장마감 : 관람시간 30분 전
 
* 야간개장 기간 : 2022. 5. 1.(일) ~ 10. 31.(일) 기간 중 매주 수 ~ 일요일
 
:※ 월요일, 화요일은 화성행궁 야간개장 미운영
 
:※ 단, 월요일이 휴일인 경우 정상운영
 
* 야간개장 시간 : 18:00 ~ 21:30 (입장마감 21:00)
 
* 요금 : 어른(1,500원) 청소년 및 군인(1,000원) 어린이(700원)
 
* 단체(20인 이상) 요금 : 어른(1,200원) 청소년 및 군인(800원) 어린이(500원)
 
* 무료 :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화성행궁 야간개장은 제외)
 
* 2단계 복원공사로 인해 일부 시설(낙남헌, 노래당, 화령전 등)의 관람제한
 
 
;화성어차 요금
 
:{|class=wikitable width=800
 
!align=center|노선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어른
 
!align=center|청소년 및 군인
 
!align=center|어린이
 
|-
 
|align=center rowspan=2|연무대 출발
 
(순환형 노선)
 
|align=center|개인
 
|align=center|4,000원
 
|align=center|2,500원
 
|align=center|1,500원
 
|-
 
|align=center|단체(20인 이상)
 
|align=center|3,200원
 
|align=center|2,000원
 
|align=center|1,200원
 
|-
 
|align=center rowspan=2|화성행궁 출발
 
(관광형 노선)
 
|align=center|개인
 
|align=center|6,000원
 
|align=center|4,000원
 
|align=center|2,000원
 
|-
 
|align=center|단체(20인 이상)
 
|align=center|4,800원
 
|align=center|3,200원
 
|align=center|1,600원
 
|}
 
 
;국궁체험
 
요금 : 개인 1회 10발 : 2,000원
 
 
;효원의 종 타종
 
:{|class=wikitable width=8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타종요금
 
!align=center|회수
 
!align=center|타수
 
|-
 
|align=center|1 ~ 2명
 
|align=center|1,000원
 
|align=center|1회
 
|align=center|3타
 
|-
 
|align=center|3 ~ 4명
 
|align=center|2,000원
 
|align=center|1회
 
|align=center|3타
 
|}
 
※ 1타 : 부모의 건강을 기원 / 2타 : 가족의 건강을 기원 / 3타 : 나 자신의 발전을 기원
 
 
;교통
 
주요 지점 가는 방법〈[https://www.swcf.or.kr/?p=68 '''주요 지점가는 방법 바로가기 클릭''']〉
 
 
;주차안내
 
주차안내 및 요금〈[https://www.swcf.or.kr/?p=69 '''주차 안내 및 요금 바로가기 클릭''']〉
 
 
== 동영상 ==
 
== 동영상 ==
 
<youtube>VXx71r6ZqX0</youtube>
 
<youtube>VXx71r6ZqX0</youtube>
389번째 줄: 313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팔달문]]
 
* [[수원 화성행궁]]
 
* [[팔달산]]
 
* [[경기도]]
 
* [[수원시]]
 
* [[팔달구]]
 
* [[정조]]
 
 
* [[남한산성]]
 
* [[남한산성]]
 
* [[북한산성]]
 
* [[북한산성]]
 +
* [[창경궁]]
  
{{한국관광지|검토 필요}}
+
{{한국관광지|추가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