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8번째 줄: 268번째 줄:
  
 
;오펠
 
;오펠
[[오펠]](OPEL)은 1929년부터 2017년까지 [[제너럴모터스]] 소속이었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PSA그룹]] 소속이었으므로 [[스텔란티스]] 산하의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다. 정식 명칭은 [[아담 오펠 AG]](Adam Opel AG)로, 본사는 독일 헤센 주 뤼셀스하임에 있는데,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센터도 이 뤼셀스하임에 있다. 1929년부터 2017년까지 제너럴모터스 산하였으며, 제너럴모터스의 유럽 부문의 상징과도 같은 회사이자 브랜드였다. 그러나 제너럴모터스가 유럽에서 철수를 결정하면서 PSA그룹으로 매각되었다. 유럽에서의 연 판매량은 100만 대 정도이며, [[폭스바겐]], [[푸조-시트로엥]], [[르노]] 등과 함께 평범하고 대중적인 중, 소형차 및 [[상용차]]들을 만드는 회사로 인지되어 있다. 특이하게 영국에서는 [[복스홀]]이라는 브랜드로 바뀌어 판매되고 있는데, 사실상 대중차 브랜드가 전멸한 영국의 유일한 희망으로 오펠처럼 제너럴모터스에 편입된 역사가 근 100년이 다 될 정도로 오래 됐다. 오펠은 국내에 브랜드를 걸고 진출한 적이 없는데, 때문에 독일차 브랜드 중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존재감이 없는 브랜드지만 대우자동차 및 제너럴모터스를 통해 오펠과 국내 자동차 시장과의 연관은 의외로 적지 않다. 비록 국내에 직접 진출하지는 않았지만 한국지엠이 새한자동차의 전신인 GMK 시절부터 판매했던 후륜구동 중대형차인 로얄은 오펠 레코드, 그리고 대우자동차 시절에 판매했던 르망은 오펠 카데트를 가져온 것이다. 2017년 한국지엠 [[쉐보레]] 라인업의 [[크루즈]], [[올란도]]도 오펠 [[아스트라]]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설계됐고, [[알페온]], [[말리부]], [[임팔라]]에 깔리는 [[입실론]]2 [[전률구동]] 중대형 플랫폼도 오펠의 중형차인 [[인시그니아]]와 같이 쓴다. 역으로 오펠 안타라와 같이 한국지엠이 오펠에 차를 OEM 납품하는 경우도 있는데, 국내에서 윈스톰 MAXX로 팔렸던 그 차로, 지엠대우 G2X는 아예 새턴 스카이와 동형인 오펠 GT를 국내에 갖고 온 것이다.<ref> 〈[https://namu.wiki/w/%EC%98%A4%ED%8E%A0 오펠]〉, 《나무위키》 </ref>
+
[[오펠]](OPEL)은 1929년부터 2017년까지 [[제너럴모터스]] 소속이었고 2017년부터 2021년까지 [[PSA그룹]] 소속이었으므로 [[스텔란티스]] 산하의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다. 정식 명칭은 [[아담 오펠 AG]](Adam Opel AG)로, 본사는 독일 헤센 주 뤼셀스하임에 있는데,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센터도 이 뤼셀스하임에 있다. 1929년부터 2017년까지 제너럴모터스 산하였으며, 제너럴모터스의 유럽 부문의 상징과도 같은 회사이자 브랜드였다. 그러나 제너럴모터스가 유럽에서 철수를 결정하면서 PSA그룹으로 매각되었다. 유럽에서의 연 판매량은 100만 대 정도이며, [[폭스바겐]], [[푸조-시트로엥]], [[르노]] 등과 함께 평범하고 대중적인 중, 소형차 및 [[상용차]]들을 만드는 회사로 인지되어 있다. 특이하게 영국에서는 [[복스홀]]이라는 브랜드로 바뀌어 판매되고 있는데, 사실상 대중차 브랜드가 전멸한 영국의 유일한 희망으로 오펠처럼 GM에 편입된 역사가 근 100년이 다 될 정도로 오래 됐다. 오펠은 국내에 브랜드를 걸고 진출한 적이 없는데, 때문에 독일차 브랜드 중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존재감이 없는 브랜드지만 대우자동차 및 GM을 통해 오펠과 국내 자동차 시장과의 연관은 의외로 적지 않다. 비록 국내에 직접 진출하지는 않았지만 한국지엠이 새한자동차의 전신인 GMK 시절부터 판매했던 후륜구동 중대형차인 로얄은 오펠 레코드, 그리고 대우자동차 시절에 판매했던 르망은 오펠 카데트를 가져온 것이다. 2017년 한국지엠 [[쉐보레]] 라인업의 [[크루즈]], [[올란도]]도 오펠 [[아스트라]]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설계됐고, [[알페온]], [[말리부]], [[임팔라]]에 깔리는 [[입실론]]2 [[전률구동]] 중대형 플랫폼도 오펠의 중형차인 [[인시그니아]]와 같이 쓴다. 역으로 오펠 안타라와 같이 한국지엠이 오펠에 차를 OEM 납품하는 경우도 있는데, 국내에서 윈스톰 MAXX로 팔렸던 그 차로, 지엠대우 G2X는 아예 새턴 스카이와 동형인 오펠 GT를 국내에 갖고 온 것이다.<ref> 〈[https://namu.wiki/w/%EC%98%A4%ED%8E%A0 오펠]〉, 《나무위키》 </ref>
  
 
;루프오토모빌
 
;루프오토모빌
374번째 줄: 374번째 줄:
  
 
;스카니아
 
;스카니아
[[스카니아]](SCANIA AB)는 1891년에 설립된 스웨덴의 상용 자동차 제조사로 현재는 폭스바겐 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다. 회사 이름은 [[스코네]](Skåne)의 영어식 명칭에서 유래했다. 창립 당시만 해도 스코네 중심도시인 말뫼에 본사가 있었지만, 현재는 스톡홀름 근교의 [[쇠데르텔리에]](Södertälje)라는 공업도시에 본사가 있다. 원래는 스웨덴의 대재벌 가문인 발렌베리 가문이 갖고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 폭스바겐이 지분을 늘리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발렌베리 측에서 폭스바겐에 잔여지분 전량을 매각하여 폭스바겐이 70.94%의 최대 주주이며, 독일의 상용차 회사 [[만]]과는 계열 관계이다. 회사 엠블럼에 들어있는 가공의 생물은 그리폰으로, 스코네 지방의 상징이기도 하다. 과거 계열사이던 사브도 사용했었다. 세계 3위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으며, 본래 1911년에 바비스사를 합병해서 스카니아-바비스라는 이름이었다가 1969년에 사브와 합병하여 사브-스카니아 그룹이 되었으나, 사브가 제너럴모터스에 넘어가면서 1995년에 분리되었다. 라인업은 [[P시리즈]], [[G시리즈]], [[R시리즈]], [[S시리즈]]가 있는데, P시리즈는 중거리용으로 저마력 옵션이 주력으로 배치되어 있고 G시리즈는 중거리용 혹은 장거리용으로 저마력 혹 중마력의 옵션이 마련되어 있다. R시리즈와 S시리즈는 중거리용 혹은 장거리용으로 저마력과 중마력, 그리고 고마력 모두 소화할 수 있다. 또한 R시리즈와 S시리즈에는 [[V8]] 엔진이 장착 가능하다. 일본에서 [[히노자동차]]도 2002년부터 2010년 스카니아 일본법인인 스카니아 재팬 설립 이전까지 스카니아 트랙터를 수입해 히노 브랜드로 판매한 바가 있다.<ref> 〈[https://namu.wiki/w/%EC%8A%A4%EC%B9%B4%EB%8B%88%EC%95%84 스카니아]〉, 《나무위키》 </ref>
+
[[스카니아]](SCANIA AB)는 1891년에 설립된 스웨덴의 상용 자동차 제조사로 현재는 폭스바겐 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다. 회사 이름은 [[스코네]](Skåne)의 영어식 명칭에서 유래했다. 창립 당시만 해도 스코네 중심도시인 말뫼에 본사가 있었지만, 현재는 스톡홀름 근교의 [[쇠데르텔리에]](Södertälje)라는 공업도시에 본사가 있다. 원래는 스웨덴의 대재벌 가문인 발렌베리 가문이 갖고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 폭스바겐이 지분을 늘리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발렌베리 측에서 폭스바겐에 잔여지분 전량을 매각하여 폭스바겐이 70.94%의 최대 주주이며, 독일의 상용차 회사 [[만]]과는 계열 관계이다. 회사 엠블럼에 들어있는 가공의 생물은 그리폰으로, 스코네 지방의 상징이기도 하다. 과거 계열사이던 사브도 사용했었다. 세계 3위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으며, 본래 1911년에 바비스사를 합병해서 스카니아-바비스라는 이름이었다가 1969년에 사브와 합병하여 사브-스카니아 그룹이 되었으나, 사브가 GM에 넘어가면서 1995년에 분리되었다. 라인업은 [[P시리즈]], [[G시리즈]], [[R시리즈]], [[S시리즈]]가 있는데, P시리즈는 중거리용으로 저마력 옵션이 주력으로 배치되어 있고 G시리즈는 중거리용 혹은 장거리용으로 저마력 혹 중마력의 옵션이 마련되어 있다. R시리즈와 S시리즈는 중거리용 혹은 장거리용으로 저마력과 중마력, 그리고 고마력 모두 소화할 수 있다. 또한 R시리즈와 S시리즈에는 [[V8]] 엔진이 장착 가능하다. 일본에서 [[히노자동차]]도 2002년부터 2010년 스카니아 일본법인인 스카니아 재팬 설립 이전까지 스카니아 트랙터를 수입해 히노 브랜드로 판매한 바가 있다.<ref> 〈[https://namu.wiki/w/%EC%8A%A4%EC%B9%B4%EB%8B%88%EC%95%84 스카니아]〉, 《나무위키》 </ref>
  
 
;NEVS
 
;NEVS
727번째 줄: 727번째 줄:
  
 
;뷰익
 
;뷰익
[[뷰익]](Buick)은 미국, 캐나다, 중국, 중화민국, 이스라엘, 멕시코에서 판매되는 미국 제너럴모터스의 자동차 고급 브랜드 중 하나로, 2004년 [[올즈모빌]](Oldsmobile) 브랜드가 해체되면서 캐딜락보다 한 단계 아래의 고급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원래 국내에서는 판매되지 않았으나 준대형 세단인 뷰익 라크로스가 한국지엠 [[알페온]]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지엠 부평 공장에서 생산되어 판매되었다. 북미와 중국에 공장이 있으며 전 차종이 좌측에 운전석이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B7%B0%EC%9D%B5 뷰익]〉, 《위키백과》 </ref>
+
[[뷰익]](Buick)은 미국, 캐나다, 중국, 중화민국, 이스라엘, 멕시코에서 판매되는 미국 제너럴모터스의 자동차 고급 브랜드 중 하나로, 2004년 [[올즈모빌]](Oldsmobile) 브랜드가 해체되면서 캐딜락보다 한 단계 아래의 고급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원래 국내에서는 판매되지 않았으나 준대형 세단인 뷰익 라크로스가 한국GM [[알페온]]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지엠 부평 공장에서 생산되어 판매되었다. 북미와 중국에 공장이 있으며 전 차종이 좌측에 운전석이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B7%B0%EC%9D%B5 뷰익]〉, 《위키백과》 </ref>
  
 
;GMC
 
;GMC
763번째 줄: 763번째 줄:
  
 
;테슬라
 
;테슬라
[[테슬라]](Tesla)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 기반을 둔 미국의 [[전기자동차]]와 청정에너지 회사이다. 2003년, [[마틴 에버하드]](Martin Eberhard)와 [[마크 타페닝]](Marc Tarpenning)이 창업했다. 2004년 [[페이팔]]의 최고경영자이던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회사 이름은 물리학자이자 전기공학자인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의 이름을 따서 지었고, 2010년 6월 나스닥에 상장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85%8C%EC%8A%AC%EB%9D%BC_(%EA%B8%B0%EC%97%85) 테슬라 (기업)]〉, 《위키백과》 </ref> 2008년에 출시된 [[로드스터]](Roadster)는 테슬라의 최첨단 배터리 테크놀로지와 전기 [[파워트레인]]을 세상에 공개했다. 이후 테슬라는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세계 최초의 프리미엄 순수 전기차 세단 [[모델S]](Model S)를 공개했으며 이 모델은 모든 부문에서 동급 최고의 차량이 되었다. 안전, 성능 및 효율성을 모두 갖춘 모델S는 전기차 중 가장 긴 주행거리, 차량의 성능을 계속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무선 [[OTA]](Over-the-air)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0-60 mph 도달 시간 2.28초라는 기록으로 21세기 차량에 대한 전 세계의 기대치를 높였다. 2015년 [[모델X]](Model X)를 출시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였으며, 이 차량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진행하는 안전 테스트의 모든 카테고리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 등급을 획득하여 역사상 가장 안전하고 빠르며 다양한 기능을 갖춘 SUV이다. 2016년에는 일론 머스크의 '시크릿 마스터 플랜'이 완성되며 테슬라는 합리적인 가격의 보급형 전기차 [[모델3]](Model 3)을 발표하고 2017년 생산을 시작했다. 곧이어 테슬라는 연료비에서만 백만 마일 당 20만 달러 이상을 절감하도록 고안된 안전하면서 편안한 트럭 [[세미]](Semi)를 발표했다. 2019년 최대 7명까지 탑승 가능한 중형 SUV [[모델Y]](Model Y)와 기존의 트럭보다 우수한 편의성과 기존의 [[스포츠카]]보다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사이버트럭]](Cybertruck)을 발표했다.<ref> 테슬라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esla.com/ko_KR/ABOUT </ref>
+
[[테슬라]](Tesla)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 기반을 둔 미국의 [[전기자동차]]와 청정에너지 회사이다. 2003년, [[마틴 에버하드]](Martin Eberhard)와 [[마크 타페닝]](Marc Tarpenning)이 창업했다. 2004년 [[페이팔]]의 최고경영자이던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회사 이름은 물리학자이자 전기공학자인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의 이름을 따서 지었고, 2010년 6월 나스닥에 상장되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85%8C%EC%8A%AC%EB%9D%BC_(%EA%B8%B0%EC%97%85) 테슬라 (기업)]〉, 《위키백과》 </ref> 2008년에 출시된 [[로드스터]](Roadster)는 테슬라의 최첨단 배터리 테크놀로지와 전기 [[파워트레인]]을 세상에 공개했다. 이후 테슬라는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세계 최초의 프리미엄 순수 전기차 세단 [[모델S]](Model S)를 공개했으며 이 모델은 모든 부문에서 동급 최고의 차량이 되었다. 안전, 성능 및 효율성을 모두 갖춘 모델S는 전기차 중 가장 긴 주행거리, 차량의 성능을 계속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무선 [[OTA]](Over-the-air)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0-60 mph 도달 시간 2.28초라는 기록으로 21세기 차량에 대한 전 세계의 기대치를 높였다. 2015년 [[모델X]](Model X)를 출시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였으며, 이 차량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진행하는 안전 테스트의 모든 카테고리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 등급을 획득하여 역사상 가장 안전하고 빠르며 다양한 기능을 갖춘 SUV이다. 2016년에는 일론 머스크의 '시크릿 마스터 플랜'이 완성되며 테슬라는 합리적인 가격의 보급형 전기차 [[모델3]](Model 3)을 발표하고 2017년 생산을 시작했다. 곧이어 테슬라는 연료비에서만 백만 마일 당 20만 달러 이상을 절감하도록 고안된 안전하면서 편안한 트럭 [[세미]](Semi)를 발표했다. 2019년 최대 7명까지 탑승 가능한 중형 SUV [[모델Y]](Model Y)와 기존의 트럭보다 우수한 편의성과 기존의 [[스포츠카]]보다 높은 성능을 자랑하는 [[사이버트럭]](Cybertruck)을 발표했다.
  
 
;셸비
 
;셸비
[[셸비]](Shelby Super Cars, SSC)는 엔지니어 [[제럴드 셸비]](Jerod Shelby)가 창립했는데, 쉐보레 콜벳의 엔진을 베이스로 작업한다. [[코닉세그]]나 [[파기나]]와도 같은 신생 기업이지만 상대적으로 일반인에게 덜 알려진 편이지만 속도 기록을 보유한 [[하이퍼카]]를 생산한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대표적 모델로는 얼티밋 에어로와 투아타라가 있는데, 얼티밋 에어로의 경우 쉐보레의 엔진을 마개조한 1183마력의 엔진을 장착하여 2.7초라는 제로백을 자랑한다. 2007년에 412km/h의 속도기록을 수립하여 잠시나마 부가티 베이론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자리에 섰지만 시험차량과 같은 사양의 순정 차량 30대 이상 판매, 그리고 최고속도는 양방향으로 달려서 나오는 표준 최고속도를 기준으로 하는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해 기네스 등재는 실패했다. 그리고 2011년 투아타라라는 신모델을 선보였는데 5900CC 트윈터보 엔진으로 1750마력을 뽑아낸다.<ref> 〈[https://namu.wiki/w/%EC%85%B8%EB%B9%84 셸비]〉, 《나무위키》 </ref>
+
[[셸비]](Shelby Super Cars, SSC)는 엔지니어 제럴드 셸비가 창립했는데, 쉐보레 콜벳의 엔진을 베이스로 작업한다. 코닉세그나 파기나와도 같은 신생 기업이지만 상대적으로 일반인에게 덜 알려진 편이지만 속도기록을 보유한 하이퍼카를 생산한다.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대표적 모델로는 얼티밋 에어로와 투아타라가 있는데, 얼티밋 에어로의 경우 쉐보레의 엔진을 마개조한 1183마력의 엔진을 장착하여 2.7초라는 제로백을 자랑한다. 2007년에 412km/h의 속도기록을 수립하여 잠시나마 부가티 베이론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자리에 섰지만 시험차량과 같은 사양의 순정 차량 30대 이상 판매, 그리고 최고속도는 양방향으로 달려서 나오는 표준 최고속도를 기준으로 하는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해 기네스 등재는 실패했다. 그리고 2011년 투아타라라는 신모델을 선보였는데 5900CC 트윈터보 엔진으로 1750마력을 뽑아낸다. 얼티밋에어로는 국내에도 있다. 이건희도 하나 가지고 있고 공금횡령으로 구속된 모 기업 회장의 창고에 부가티 베이론을 포하만 고가 슈퍼카들과 함께 보관되엇다가 압류되었다.<ref> 〈[https://namu.wiki/w/%EC%85%B8%EB%B9%84 셸비]〉, 《나무위키》 </ref>
  
 
;살린
 
;살린
[[살린]](Saleen)은 과거 캘리포니아였던 미국 미시건에 본부를 두고 있는 고성능 튜너 및 고성능 스포츠카 제조업체로 1983년 [[스티브 살린]](Steve Saleen)에 의해 설립되었다. 살린 혹은 샐린으로 불리며, 자사의 차량을 출시하는 것 이외에도 기존 출시된 차량들을 튜닝하여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하다.<ref> 〈[https://namu.wiki/w/%EC%82%B4%EB%A6%B0 살린]〉, 《나무위키》 </ref>
+
[[살린]](Saleen)은 과거 캘리포니아였던 미국 미시건에 본부를 두고 있는 고성능 튜너 및 고성능 스포츠카 제조업체로 1983년 스티브 살린에 의해 설립되었다. 살린 혹은 샐린으로 불리며, 자사의 차량을 출시하는 것 이외에도 기존 출시된 차량들을 튜닝하여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하다.<ref> 〈[https://namu.wiki/w/%EC%82%B4%EB%A6%B0 살린]〉, 《나무위키》 </ref>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Hennessey Performance Engineering) 혹은 [[헤네시]](Hennessey)는 1991년에 창업된 미국의 자동차 튜닝 및 제작사로 정식 명칭은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으로 닷지 차량의 튜닝을 시작으로 미국 [[머슬카]]들을 튜닝했으며, [[로터스]] 등 유럽차로 컴플리트카를 만들기도 하며, 혹은 아예 독자모델을 만드는 등 다변화되었다.<ref> 〈[https://namu.wiki/w/%ED%97%A4%EB%84%A4%EC%8B%9C%20%ED%8D%BC%ED%8F%AC%EB%A8%BC%EC%8A%A4%20%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 《나무위키》 </ref>
+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Hennessey Performance Engineering) 혹은 [[헤네시]](Hennessey)는 1991년에 창업된 미국의 자동차 튜닝 및 제작사로 정식명칭은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으로 닷지 차량의 튜닝을 시작으로 미국 머슬카들을 튜닝했으며 최근에는 로터스 등 유럽차로 컴플리트카를 만들기도 하며, 혹은 아예 독자모델을 만드는 등 다변화되었다.<ref> 〈[https://namu.wiki/w/%ED%97%A4%EB%84%A4%EC%8B%9C%20%ED%8D%BC%ED%8F%AC%EB%A8%BC%EC%8A%A4%20%EC%97%94%EC%A7%80%EB%8B%88%EC%96%B4%EB%A7%81 헤네시 퍼포먼스 엔지니어링]〉, 《나무위키》 </ref>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Delorean Motor Company, DMC)는 [[제너럴모터스]]에서 엔지니어로 시작해 [[쉐보레]]의 총 책임자 지위까지 올랐던 [[존 재커리 들로리안]](John Zachary DeLorean)이 독립해서 세운 자동차 회사로 존 들로리안은 제너럴모터스에서 파격적인 아이디어를 내놓고, 폰티악 GTO를 내놓아 미국의 머슬카 붐을 일으킨 사람이기도 하다. 영국 정부의 지원하에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를 열었고, 당시 최고 수준의 디자이너인 이탈리아의 [[조르제토 주지아로]](Giorgetto Giugiaro), 제너럴모터스 시절의 동료였던 [[빌 콜린즈]](Bill Collins), 코터스의 창시자인 [[콜린 채프먼]](Colin Chapman)과 함께 힘을 모아 차량을 제작했다. 회사 사무실은 미국 뉴욕의 5번가에 위치해 있었으며, 본래 푸에르토리코에서 차를 생산하려고 했으나 영국 정부의 지원으로 북아일랜드에다 공장을 지었다. 그러나 DMC-12 딱 한 종류만 만들고 문을 닫았는데, 첫 차 자체가 판매고가 좋지 않은데다가 품질 문제로 평판이 망가졌고, 파운드화 폭등으로 적자를 떠안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들로리안도 경영가로서는 부적합하다는 내외적 비판에 시달리고 있었고, 그가 FBI의 함정수사에 휘말려 치명타를 입고 말았다. 이로 인해 보통 들로리안 하면 들로리안 DMC-12라는 자동차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ref> 〈[https://namu.wiki/w/%EB%93%A4%EB%A1%9C%EB%A6%AC%EC%95%88%20%EB%AA%A8%ED%84%B0%20%EC%BB%B4%ED%8D%BC%EB%8B%88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 《나무위키》 </ref>
+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De Lorean Motor Company, DMC)는 GM에서 엔지니어로 시작해 쉐보레의 총 책임자 지위까지 올랐던 존 재커리 들로리안이 독립해서 세운 자동차 회사로 존 들로리안은 GM에서 파격적인 아이디어를 내놓고, 폰티악 GTO를 내놓아 미국의 머슬카 붐을 일으킨 사람이기도 하다. 영국 정부의 지원하에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를 열었고, 당시 최고 수준의 디자이너인 이탈리아의 조르제토 주지아로, GM시절의 동료였던 빌 콜린즈, 코터스의 창시자인 콜린 채프먼과 함께 힘을 모아 차량을 제작했다. 회사 사무실은 미국 뉴욕의 5번가에 위치해 있었으며, 본래 푸에르토리코에서 차를 생산하려고 했으나 영국 정부의 지원으로 북아일랜드에다 공장을 지었다. 그러나 DMC-12 딱 한 종류만 만들고 문을 닫았는데, 첫 차 자체가 판매고가 좋지 않은데다가 품질 문제로 평판이 망가졌고, 파운드화 폭등으로 적자를 떠안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들로리안도 경영가로서는 부적합하다는 내외적 비판에 시달리고 있었고, 그가 FBI의 함정수사에 휘말려 치명타를 입고 말았다. 이로 인해 보통 들로리안 하면 들로리안 DMC-12라는 자동차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ref> 〈[https://namu.wiki/w/%EB%93%A4%EB%A1%9C%EB%A6%AC%EC%95%88%20%EB%AA%A8%ED%84%B0%20%EC%BB%B4%ED%8D%BC%EB%8B%88 들로리안 모터 컴퍼니]〉, 《나무위키》 </ref>
  
 
;에쿠스 오토모티브
 
;에쿠스 오토모티브
781번째 줄: 781번째 줄:
  
 
;카르마
 
;카르마
[[카르마]](Karma Automotive)는 미국의 [[전기자동차]] 회사로, 세계 최초로 프리미엄 [[플러그인 전기자동차]] 회사를 표방하여 출범하였으며, 2008년 북미국제모터쇼에서 데뷔하여 카르마 차량을 대중에 선보였다. 카르마의 생산은 2011년 시작되었으며 약 2,450대의 차량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배터리 공급업체인 A123 시스템즈가 파산함으로 인해 차량 생산이 2012년 11월에 중단되었으며 회사가 파산할 위기에 이른다. 이후 2014년 2월, 피스커의 카르마 차량 설계 및 제조 시설을 중국의 [[완샹그룹]](Wanxiang Group)이 사들여 회사가 기사회생하게 되는데, 이는 1억 4920만 달러에 달하는 부채를 대신 갚아주기로 하며 인수가 성사됐다. 피스커 설립자인 [[헨릭 피스커]](Henrik Fisker)는 상표와 브랜드를 유지한 채, 2016년 새로운 피스커를 설립한다. 완샹그룹은 추후, 피스커를 카르마로 기업명을 바꾸게 되는데, 카르마는 피스커가 생산했던 유일한 자동차의 이름이었다.<ref> 〈[https://namu.wiki/w/%EC%B9%B4%EB%A5%B4%EB%A7%88(%EC%9E%90%EB%8F%99%EC%B0%A8%20%EC%A0%9C%EC%A1%B0%EC%82%AC) 카르마(자동차 제조사)]〉, 《나무위키》 </ref>
+
[[카르마]](Karma Automotive)는 미국의 전기자동차 회사로, 세계 최초로 프리미엄 플러그인 전기자동차 회사를 표방하여 출범하였으며, 2008년 북미국제모터쇼에서 데뷔하여 카르마 차량을 대중에 선보였다. 카르마의 생산은 2011년 시작되었으며 약 2,450대의 차량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배터리 공급업체인 A123 Systems가 파산함으로 인해 차량생산이 2012년 11월에 중단되었으며 회사가 파산할 위기에 이른다. 이후 2014년 2월, 피스커의 카르마 차량 설계 및 제조 시설을 중국의 완샹 그룹이 사들여 회사가 기사회생하게 되는데, 이는 1억 4920만 달러에 달하는 부채를 대신 갚아주기로 하며 인수가 성사됐다. 피스커 설립자인 핸릭 피스커는 상표와 브랜드를 유지한 채, 2016년 새로운 피스커 Inc를 설립한다. 완샹 그룹은 추후, 피스커를 카르마(Karma)로 기업명을 바꾸게 되는데, 카르마는 피스커가 생산했던 유일한 자동차의 이름이었다.<ref> 〈[https://namu.wiki/w/%EC%B9%B4%EB%A5%B4%EB%A7%88(%EC%9E%90%EB%8F%99%EC%B0%A8%20%EC%A0%9C%EC%A1%B0%EC%82%AC) 카르마(자동차 제조사)]〉, 《나무위키》 </ref>
  
 
====캐나다====
 
====캐나다====
 
;프레보스트 자동차
 
;프레보스트 자동차
[[프레보스트 자동차]](Prevost Car)는 캐나다의 자동차 메이커이다. 주로 [[버스]]를 제작하는 업체로 현재까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자회사는 [[노바버스]](Nova Bus)로 주로 [[시내버스]]와 [[굴절버스]]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의 경우 당시 캐나다의 목수였던 [[데자제 프레보스트]](Eugène Prévost)가 1924년에 설립했다. 1959년에 당시 미국 기업인이었던 [[폴 노르망디]](Paul Normand) 회사를 인수했으며 1969년에 [[앙드레 노르망디]](André Normand)와 함께 회사를 협력했고, 1995년에 [[볼보]]에 인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0%88%EB%B3%B4%EC%8A%A4%ED%8A%B8_%EC%9E%90%EB%8F%99%EC%B0%A8 프레보스트 자동차]〉, 《위키백과》 </ref>
+
[[프레보스트 자동차]](Prevost Car)는 캐나다의 자동차 메이커이다. 주로 버스를 제작하는 업체로 현재까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자회사는 노바버스로 주로 시내버스와 굴절버스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의 경우 당시 캐나다의 목수였던 [[데자제 프레보스트]](Eugène Prévost)가 1924년에 설립했다. 1959년에 당시 미국 기업인이었던 [[폴 노르망디]](Paul Normand) 회사를 인수했으며 1969년에 [[앙드레 노르망디]](André Normand)와 함께 회사를 협력했고, 1995년에 볼보에 인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0%88%EB%B3%B4%EC%8A%A4%ED%8A%B8_%EC%9E%90%EB%8F%99%EC%B0%A8 프레보스트 자동차]〉, 《위키백과》 </ref>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796번째 줄: 796번째 줄:
 
|[[홀덴]]
 
|[[홀덴]]
 
|}
 
|}
 
 
====호주====
 
====호주====
 
;홀덴
 
;홀덴
[[홀덴]](Holden)은 [[호주]]의 자동차 회사로, [[제너럴모터스]]의 계열 브랜드 중 하나이다. 호주의 대표 자동차 브랜드이며, [[제너럴모터스]]에 인수되기 전까지는 오스트레일리안 [[머슬카]]들의 대표 주자이며 호주인들의 자존심이었다. 즉, 호주도 미국과 동등한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는 증거였다. 홀덴은 1856년 남호주에서 안장 제조사로 설립되었다. 1908년에는 자동차 분야로 진출하여 일정 기간 [[포드]] 모델 T를 제조했고, 이후 1931년 미국계 제너럴모터스의 자회사가 됐다. 이후 멜번 트램카, 제2차 세계대전 중 군용 엔진과 차량을 생산하다가, 1948년 처음으로 호주에서 설계하고 제조된 자동차인 홀덴 FX를 출시했다. 홀덴은 2002년까지 호주 내 자동차 판매 1위를 기록했으나 2003년부터 2014년까지 2위, 그 이후 3, 4위로 하락세에 가속이 붙었다. 코모도어(Commodore) 호주 생산이 중단된 2017년 홀덴 차량판매는 4위, 생산이 중단된 2019년에는 10위로 급락했다. 홀덴 자동차 중 최고 인기 차종인 코모도어 판매가 하락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제너럴모터스의 재정난으로 호주 공장을 매각해야 할 위기에 처했으나 계획이 무산되었고, 2017년 10월 20일 이후로 공장을 폐쇄했다. 2021년에 홀덴 브랜드를 폐기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동시에 제너럴모터스는 태국 공장은 [[장성자동차]]에, 호주 시설은 [[빈패스트]]에 매각했다. 브랜드와 법인은 별도로 폐지할 예정이다.<ref> 〈[https://namu.wiki/w/%ED%99%80%EB%8D%B4 홀덴]〉, 《나무위키》 </ref><ref> Eunjin Park, 〈[https://koreantoday.com.au/australian-icon-holden-no-more/ 호주 대표 자동차 브랜드 홀덴 역사 속으로]〉, 《코리안투데이》, 2020-02-17 </ref>
+
[[홀덴]](Holden)은 [[호주]]의 자동차 회사로, [[제너럴모터스]]의 계열 브랜드 중 하나이다. 호주의 대표 자동차 브랜드이며, 제너럴모터스에 인수되기 전까지는 오스트레일리안 [[머슬카]]들의 대표 주자이며 호주인들의 자존심이었다. 즉, 호주도 미국과 동등한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는 증거였다. 하지만 제너럴모터스의 재정난으로 호주 공장을 매각해야 할 위기에 처했으나 계획이 무산되었고, 2017년 10월 20일 이후로 공장을 폐쇄했다.<ref> 〈[https://namu.wiki/w/%ED%99%80%EB%8D%B4 홀덴]〉, 《나무위키》 </ref>
  
 
{{각주}}
 
{{각주}}
805번째 줄: 804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다단2|
 
{{다단2|
* 테슬라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esla.com/ko_KR/ABOUT
 
 
* 〈[https://namu.wiki/w/%EC%88%98%EC%9E%85%EC%B0%A8 수입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88%98%EC%9E%85%EC%B0%A8 수입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GMC(%EC%9E%90%EB%8F%99%EC%B0%A8) GMC(자동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GMC(%EC%9E%90%EB%8F%99%EC%B0%A8) GMC(자동차)]〉, 《나무위키》
944번째 줄: 942번째 줄:
 
* 김성환 기자, 〈[https://www.hankyung.com/car/article/2019103004252 36억 원 하이퍼카 아폴로 IE 국내 상륙]〉, 《한경닷컴》, 2019-10-30
 
* 김성환 기자, 〈[https://www.hankyung.com/car/article/2019103004252 36억 원 하이퍼카 아폴로 IE 국내 상륙]〉, 《한경닷컴》, 2019-10-30
 
* 서명훈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0040113564168325 에쿠스·제네시스·아우디·BMW… "그렇게 깊은 뜻이?"]〉, 《머니투데이》, 2010-04-02  
 
* 서명훈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0040113564168325 에쿠스·제네시스·아우디·BMW… "그렇게 깊은 뜻이?"]〉, 《머니투데이》, 2010-04-02  
* Eunjin Park, 〈[https://koreantoday.com.au/australian-icon-holden-no-more/ 호주 대표 자동차 브랜드 홀덴 역사 속으로]〉, 《코리안투데이》, 2020-02-1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