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 수행 관련 ==
 
== 수행 관련 ==
=== 수행성 ===
+
== 수행성 ==
 
[[수행성]](遂行性, performativity)은 단순히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행위를 하거나 행위를 완결하기 위한 발화나 대화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다. 결혼이 준비된 두 사람 앞에서 자격 있는 성직자가 "두 사람을 부부로 선언합니다"라고 말하는 행위가 대표적인 예이다. 심판이 스트라이크를 선언하는 것, 판사가 판결을 내리는 것, 노동 조합장이 파업을 선언하는 것은 모두 수행적 발화의 예이다. 특히 주디스 버틀러를 포함하는 철학과 젠더학에서의 몇 가지 이론은 심지어 일상적인 대화나 발화 행동 또한 정체성의 규정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수행적이라고 주장한다. 정체성이 발화나 몸짓과 같은 부차적인 행동의 원천이라는 생각을 뒤집고, 대신 정체성은 수행적인 행동, 몸짓으로부터 비롯되므로, 이러한 방법으로 수행성은 정체성의 구조를 탐구한다. 이러한 시각은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등의 철학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D%96%89%EC%84%B1 수행성]〉, 《위키백과》</ref>
 
[[수행성]](遂行性, performativity)은 단순히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행위를 하거나 행위를 완결하기 위한 발화나 대화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다. 결혼이 준비된 두 사람 앞에서 자격 있는 성직자가 "두 사람을 부부로 선언합니다"라고 말하는 행위가 대표적인 예이다. 심판이 스트라이크를 선언하는 것, 판사가 판결을 내리는 것, 노동 조합장이 파업을 선언하는 것은 모두 수행적 발화의 예이다. 특히 주디스 버틀러를 포함하는 철학과 젠더학에서의 몇 가지 이론은 심지어 일상적인 대화나 발화 행동 또한 정체성의 규정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수행적이라고 주장한다. 정체성이 발화나 몸짓과 같은 부차적인 행동의 원천이라는 생각을 뒤집고, 대신 정체성은 수행적인 행동, 몸짓으로부터 비롯되므로, 이러한 방법으로 수행성은 정체성의 구조를 탐구한다. 이러한 시각은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등의 철학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D%96%89%EC%84%B1 수행성]〉, 《위키백과》</ref>
 
=== 수행확인서 ===
 
=== 수행확인서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