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상화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순상화산.png|썸네일|300픽셀|순상화산]]
+
'''순상화산'''(楯狀火山)은 점성이 매우 작은 현무암질의 얇은 용암류가 여러 번 분출하여 생긴 화산 형태의 일종이다. 방패를 엎어 놓은 듯한 완경사를 이룬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f4e1ed68fad4770aeb6a800a3c456e5 순상화산]〉, 《네이버국어사전》 </ref>
'''순상화산'''(楯狀火山)<!--순상 화산-->은 점성이 매우 작은 현무암질의 얇은 [[용암]]류가 여러 번 분출하여 생긴 [[화산]] 형태의 일종이다. 방패를 엎어 놓은 듯한 완경사를 이룬다.<ref>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f4e1ed68fad4770aeb6a800a3c456e5 순상화산]〉, 《네이버국어사전》 </ref>
 
  
 
== 내용 ==
 
== 내용 ==
순상화산은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밑바닥의 [[면적]]이 넓은 화산이다. 아스피테(aspite)라고 부르기도 한다. 점성이 낮은(흐르기 쉬운)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유동·퇴적에 의해서 형성된다.
+
순상화산은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밑바닥의 면적이 넓은 화산이다. 아스피테(aspite)라고 부르기도 한다. 점성이 낮은(흐르기 쉬운)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유동·퇴적에 의해서 형성된다.
  
분화의 중심에서 두세 곳의 방향으로 내려가는 코스가 생겨 중앙 [[화구]]와 이 코스를 따라 갈라진 틈에서 유동하기 쉬운 현무암질 용암이 유출하여 생긴 경사가 완만한 원뿔 모양의 화산체이다. 순상화산은 주로 용암류로 이루어진다. 아이슬란드형 순상화산은 순상화산으로서는 소형으로, 높이 1,000m 이하인 것이 많으며, 산꼭대기의 화구는 비교적 크다. 하와이형 순상화산은 중앙화구와 갈라진 틈에서의 분화를 되풀이하여 생긴 거대한 화산체이다. 하와이섬의 마우나로아 화산은 해발 4,170m, 킬라우에 화산은 1,247m이지만 하와이섬 부근의 해저의 깊이가 5,600m인 것을 고려하면 마우나로아 화산은 높이 약 1만 m의 화산이라고 할 수 있다. 화산체 기부(基部)의 지름은 100~400km나 되며, 육상의 산기슭의 경사는 3~6°이다. 산체의 크기에 비해 산꼭대기 화구의 지름은 작으며, 산꼭대기에 칼데라가 있는 곳이 많다. 해저 부분에는 침상 용암이나 유리질 파편의 집합체가 쌓여 있다.
+
분화의 중심에서 두세 곳의 방향으로 내려가는 코스가 생겨 중앙 화구와 이 코스를 따라 갈라진 틈에서 유동하기 쉬운 현무암질 용암이 유출하여 생긴 경사가 완만한 원뿔 모양의 화산체이다. 순상화산은 주로 용암류로 이루어진다. 아이슬란드형 순상화산은 순상화산으로서는 소형으로, 높이 1,000m 이하인 것이 많으며, 산꼭대기의 화구는 비교적 크다. 하와이형 순상화산은 중앙화구와 갈라진 틈에서의 분화를 되풀이하여 생긴 거대한 화산체이다. 하와이섬의 마우나로아 화산은 해발 4,170m, 킬라우에 화산은 1,247m이지만 하와이섬 부근의 해저의 깊이가 5,600m인 것을 고려하면 마우나로아 화산은 높이 약 1만 m의 화산이라고 할 수 있다. 화산체 기부(基部)의 지름은 100~400km나 되며, 육상의 산기슭의 경사는 3~6°이다. 산체의 크기에 비해 산꼭대기 화구의 지름은 작으며, 산꼭대기에 칼데라가 있는 곳이 많다. 해저 부분에는 침상 용암이나 유리질 파편의 집합체가 쌓여 있다.
  
 
지구상의 대형 화산의 대부분은 순상화산이다.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하와이 제도나 아이슬란드 등 열점이나 해령상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하와이 제도의 화산은 대부분이 순상화산이며 세계 최대의 것은 하와이 섬에 있는 마우나로아 산이다(타무 산괴의 발견으로 인해 현재는 2위). 레위니옹 섬의 푸르네즈봉은 지구상에서 가장 활발한 순상화산의 하나로 평균 한 해에 한 번 꼴로 분화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라산의 산록부가 순상 화산에 해당한다.
 
지구상의 대형 화산의 대부분은 순상화산이다.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하와이 제도나 아이슬란드 등 열점이나 해령상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하와이 제도의 화산은 대부분이 순상화산이며 세계 최대의 것은 하와이 섬에 있는 마우나로아 산이다(타무 산괴의 발견으로 인해 현재는 2위). 레위니옹 섬의 푸르네즈봉은 지구상에서 가장 활발한 순상화산의 하나로 평균 한 해에 한 번 꼴로 분화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라산의 산록부가 순상 화산에 해당한다.
  
== 화산 분류 ==
+
== 마우나로아(Maunaloa) ==
'''용암 대지''' :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류가 분출하여 지표의 낮은 부분을 채워 넓은 대지를 이루면 용암 대지가 된다. 보통은 무척 넓은 영역에 쌓이기 때문에 요구되는 용암류의 양이 어마어마하다. 철원-평강 용암대지나 개마고원 정도의 작은 용암대지가 있는 반면에, 온통-자바 고원처럼 작은 대륙 크기만한 것들도 있다.
 
 
 
'''순상화산''' : 점도가 낮아 넓게 퍼지는 용암류가 차곡차곡 쌓여서 경사가 완만하고 기저면이 넓은 화산체를 말한다. 마치 모양이 방패 같다고 하여 순상화산이라고 한다. 하와이와 제주도가 대표적인 예이다.
 
 
 
'''[[성층화산]]''' : 마그마가 분출하고 충전되고를 반복하면서 화산재와 용암류가 반복적으로 퇴적되면서 수천 년에서 수만 년에 걸쳐 산체를 쌓을 수 있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화산체를 성층화산이라고 한다. 복합화산이라고도 한다. 보통 경사가 가파른 원뿔 모양을 한 큰 산이다.
 
 
 
'''열극''' (fissure vent) : 화도가 원기둥형이 아니라 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쩍 갈라진 균열을 따라 용암이 콸콸 쏟아지는 경우 이를 열극 분출이라고 한다. 열극 분출을 일으키는 화산 지형을 열극이라고 한다. 이러한 화산 분출은 보통 점성이 상당히 낮은 현무암질 마그마인 경우로, 하와이나 아이슬란드에서 잘 관찰된다.
 
 
 
'''[[분석구]]''' :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하지만 그 양이 적고 스트롬볼리식이 좀 더 우세해지게 되면 넓은 화산체보다는 좁은 범위에 화산탄과 암괴로 원뿔 모양의 산체를 쌓는다. 이러한 크기가 작은 산체를 분석구라고 말한다. 순상화산체 위에 얹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응회환, 응회구''' : 분석구와 비슷하지만 화산탄보다는 화산재에 의해 쌓인 경우로, 보통은 수성분출과 연결되어 좁은 범위에 퇴적된 작은 산체들이다. 보통 산이 크게 성장하지 않기 때문에 단성화산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다.
 
 
 
'''용암 돔(Lava dome)''' : 화산돔(volcanic dome)이라고도 한다. 다만, 화산 돔은 화산 전체라기보다는, 화산 구조의 일부를 이룬다는 점에서 위 단어들과는 구분된다. 마그마가 내부에서 상부 화도를 밀어올리면서 화도 끝부분 주변에 용암이나 암괴를 누적시키거나 부풀게 하면 지표에서 관측 가능한 큰 부푼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를 용암돔이라고 하는데, 그 성분, 형태, 만들어지는 과정 등에 따라 플러그(plug), 내부성장형(endogenous), 외부성장형(exogenous) 등으로 구별하게 된다. <ref> 〈[https://namu.wiki/w/%ED%99%94%EC%82%B0/%EC%A2%85%EB%A5%98  화산/종류]〉, 《나무위키》        </ref>
 
 
 
== 대표적인 순상화산 ==
 
[[파일:분화한 미국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png|썸네일|300픽셀|분화한 미국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마우나로아(Maunaloa)
 
 
마우나로아(Maunaloa)는 '긴 산'을 의미하는 거대한 순상화산이다.  
 
마우나로아(Maunaloa)는 '긴 산'을 의미하는 거대한 순상화산이다.  
  
미국 하와이주 하와이섬(빅아일랜드)에 있는 [[활화산]]으로 정상부의 해발고도는 4,170m로 하와이주에서 마우나케아 산에 이어 2번째로 높고 미국 전체에서는 66번째로 높다.
+
미국 하와이주 하와이섬(빅아일랜드)에 있는 활화산으로 정상부의 해발고도는 4,170m로 하와이주에서 마우나케아 산에 이어 2번째로 높고 미국 전체에서는 66번째로 높다.
  
 
마우나로아는 1843년 이후 33회 분출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 되었다. 이 잠자는 거대 화산의 마지막 분출은 1984년이었고 당시 용암이 힐로 마을에서 8km 거리까지 흘러내렸다. 과학자들은 마우나로아의 지진 활동과 화산 가스 방출, 그리고 돔 형태의 덩어리 깊은 곳에서 불안정하게 벌어지는 그 밖의 징후를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후 약 38년간 화산 활동이 없다가 2022년 11월 27일에 새로운 분화가 시작되었다.
 
마우나로아는 1843년 이후 33회 분출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이 되었다. 이 잠자는 거대 화산의 마지막 분출은 1984년이었고 당시 용암이 힐로 마을에서 8km 거리까지 흘러내렸다. 과학자들은 마우나로아의 지진 활동과 화산 가스 방출, 그리고 돔 형태의 덩어리 깊은 곳에서 불안정하게 벌어지는 그 밖의 징후를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후 약 38년간 화산 활동이 없다가 2022년 11월 27일에 새로운 분화가 시작되었다.
37번째 줄: 19번째 줄:
 
다만 하와이에서 가장 활동적인 화산 중 하나인 데다가 분출된 용암이 주변 민가에 피해를 줄 가능성도 농후하여 미국 정부 및 지질조사국(USGS)에서 이 화산을 특히 주시하고 있다.
 
다만 하와이에서 가장 활동적인 화산 중 하나인 데다가 분출된 용암이 주변 민가에 피해를 줄 가능성도 농후하여 미국 정부 및 지질조사국(USGS)에서 이 화산을 특히 주시하고 있다.
  
'''2022년 분화''' :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현지 시각으로 2022년 11월 27일 오후 11시 30분(한국시각 28일 오후 6시 30분)께 해발고도 4170m인 하와이 마우나 로아 화산 분화구에서 용암 분출이 시작됐다.
+
;2022년 분화
 +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현지 시각으로 2022년 11월 27일 오후 11시 30분(한국시각 28일 오후 6시 30분)께 해발고도 4170m인 하와이 마우나 로아 화산 분화구에서 용암 분출이 시작됐다.
  
 
분화 15분 후 USGS는 기존의 화산활동 주의보를 경보로 상향하고, 항공기상 코드도 황색에서 적색으로 격상했다.
 
분화 15분 후 USGS는 기존의 화산활동 주의보를 경보로 상향하고, 항공기상 코드도 황색에서 적색으로 격상했다.
55번째 줄: 38번째 줄:
 
가장 크게 분출한 사례는 1984년 3~4월 일어났다. 1926년과 1950년 분출에서는 인근 마을이 파괴되기도 했다.<ref> 서희원 기자, 〈[https://www.etnews.com/20221129000190 '세계 최대 활화산' 하와이 마우나 로아 터졌다]〉, 《전자신문》, 2022-11-29 </ref>
 
가장 크게 분출한 사례는 1984년 3~4월 일어났다. 1926년과 1950년 분출에서는 인근 마을이 파괴되기도 했다.<ref> 서희원 기자, 〈[https://www.etnews.com/20221129000190 '세계 최대 활화산' 하와이 마우나 로아 터졌다]〉, 《전자신문》, 2022-11-29 </ref>
  
[[파일:붉은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피통드라푸흐네즈 화산.png|썸네일|300픽셀|붉은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피통드라푸흐네즈 화산]]
+
== 피통드라푸르네즈 화산 ==
;피통드라푸르네즈 화산
 
 
피통드라푸르네즈 화산(프랑스어: Piton de Ia Fournaise)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옆에 위치한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 레위니옹에 위치한 순상화산으로, 높이는 2,632m이다. 피통 드 라 푸르네즈라는 이름은 프랑스어로 "용광로의 봉우리"라는 뜻이다.
 
피통드라푸르네즈 화산(프랑스어: Piton de Ia Fournaise)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옆에 위치한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 레위니옹에 위치한 순상화산으로, 높이는 2,632m이다. 피통 드 라 푸르네즈라는 이름은 프랑스어로 "용광로의 봉우리"라는 뜻이다.
  
65번째 줄: 47번째 줄:
 
== 동영상 ==
 
== 동영상 ==
 
<youtube>x_g32moCNno</youtube>
 
<youtube>x_g32moCNno</youtube>
<youtube>4n6eUQz63ow</youtube>
+
<youtube>CBnBVtiWhQQ</youtube>
 +
<youtube>_kUGO1HDXTE</youtube>
  
{{각주}}
+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https://ko.wikipedia.org/wiki/%EC%88%9C%EC%83%81_%ED%99%94%EC%82%B0 순상화산]〉, 《위키백과》
+
* 저자, 〈[url 제목]〉, 《사이트명》, 일자
* 〈[https://namu.wiki/w/%EB%A7%88%EC%9A%B0%EB%82%98%EB%A1%9C%EC%95%84 마우나로아]〉, 《나무위키》
 
*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f4e1ed68fad4770aeb6a800a3c456e5 순상화산]〉, 《네이버국어사전》
 
* 〈[https://namu.wiki/w/%ED%99%94%EC%82%B0/%EC%A2%85%EB%A5%98  화산/종류]〉, 《나무위키》
 
* 서희원 기자, [https://www.etnews.com/20221129000190 '세계 최대 활화산' 하와이 마우나 로아 터졌다]〉, 《전자신문》, 2022-11-29
 
* 〈[https://ko.wikipedia.org/wiki/%ED%94%BC%ED%86%B5%EB%93%9C%EB%9D%BC%ED%91%B8%EB%A5%B4%EB%84%A4%EC%A6%88_%ED%99%94%EC%82%B0 피통드라푸르네즈 화산]〉, 《위키백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화산]]
+
* [[]]
* [[면적]]
+
* [[]]
* [[용암]]
+
* [[]]
* [[화구]]
 
* [[활화산]]
 
* [[분석구]]
 
* [[성층화산]]
 
  
 
{{지형|검토 필요}}
 
{{지형|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