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노드 지분증명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파일:써니킹.PNG|썸네일|300픽셀|'''써니킹'''(Sunny King) 익명의 인물]]
 
[[파일:써니킹.PNG|썸네일|300픽셀|'''써니킹'''(Sunny King) 익명의 인물]]
 
* '''써니킹'''
 
* '''써니킹'''
: [[써니킹]](Sunny King)은 사토시 나카모토와 마찬가지로 익명의 인물로 실제 이름과 모습은 알려지지 않았고 사토시 나가모토와 다른 점은 자신을 네트워크 위에 숨겨두지 않고 왕성한 활동을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ref>울랄라인천, 〈[https://cafe.naver.com/flecture/688010 암호화폐 개발자 써니킹]〉, 《네이버 블로그》, 2019-07-26 </ref> 써니킹은 2012년 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암호화폐]] [[피어코인]](peer coin)과 소수를 찾아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하는 [[알고리듬]]을 장착한 [[암호화폐]] [[프라임 코인]](prime coin)을 만들었고, 블록체인 기술을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고 혁신을 이끌어 온 개발자이다. 써니킹의 슈퍼노드 지분증명이라는 합의 알고리듬을 적용하려면 특수 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슈퍼노드 지분증명 방식이 거래를 검증하는 데 필요한 암호화폐 지분을 한데 모은다는 측면에서는 위임 지분증명(DPoS)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슈퍼노드 지분증명 방식을 활용해 블록체인 개발과 유지 과정 전반도 간소화할 것이고, 블록체인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이는 시대가 머지않아 오는데,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듬도 결국은 이런 때를 염두에 두고 고안한 것으로 수백, 수천만 가지 다양한 블록체인이 에너지 문제를 걱정하지 않으면서도 아주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한 채 독립적으로 작동하려면 지분증명 같은 방식이 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써니킹은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최적화 기술로 블록체인 기술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도록, 자신이 수석 기술 디자이너를 맡은 홍콩의 가상경제시대(Virtual Economy Era, VEE)라는 프로젝트에 슈퍼노드 지분증명 방식을 도입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였고, 가상경제 시대 프로젝트 출시와 함께 자체 토큰인 비(VEE) 코인도 출시됐으며, 프로젝트의 코드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었다.<ref name="서니">Rachel Rose O'Leary, 〈[https://www.coindeskkorea.com/28349/ 비탈릭 부테린이 극찬한 ‘PoS 창시자’ 서니킹이 돌아왔다]〉, 《코인데스크》, 2018-09-22 </ref>  
+
: [[써니킹]](Sunny King)은 사토시 나카모토와 마찬가지로 익명의 인물로 실제 이름과 모습은 알려지지 않았고 사토시 나가모토와 다른 점은 자신을 네트워크 위에 숨겨두지 않고 왕성한 활동을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ref>울랄라인천, 〈[https://cafe.naver.com/flecture/688010 암호화폐 개발자 써니킹]〉, 《네이버 블로그》, 2019-07-26 </ref> 써니킹은 2012년 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암호화폐]] [[피어코인]](peer coin)과 소수(素數)를 찾아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하는 [[알고리듬]]을 장착한 [[암호화폐]] [[프라임 코인]](prime coin)을 만들었고, 블록체인 기술을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고 혁신을 이끌어 온 개발자이다. 써니킹의 슈퍼노드 지분증명이라는 합의 알고리듬을 적용하려면 특수 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슈퍼노드 지분증명 방식이 거래를 검증하는 데 필요한 암호화폐 지분을 한데 모은다는 측면에서는 위임 지분증명(DPoS)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슈퍼노드 지분증명 방식을 활용해 블록체인 개발과 유지 과정 전반도 간소화할 것이고, 블록체인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이는 시대가 머지않아 오는데,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듬도 결국은 이런 때를 염두에 두고 고안한 것으로 수백, 수천만 가지 다양한 블록체인이 에너지 문제를 걱정하지 않으면서도 아주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한 채 독립적으로 작동하려면 지분증명 같은 방식이 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써니킹은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최적화 기술로 블록체인 기술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도록, 자신이 수석 기술 디자이너를 맡은 홍콩의 가상경제시대(Virtual Economy Era, VEE)라는 프로젝트에 슈퍼노드 지분증명 방식을 도입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였고, 가상경제 시대 프로젝트 출시와 함께 자체 토큰인 비(VEE) 코인도 출시됐으며, 프로젝트의 코드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었다.<ref name="서니">Rachel Rose O'Leary, 〈[https://www.coindeskkorea.com/28349/ 비탈릭 부테린이 극찬한 ‘PoS 창시자’ 서니킹이 돌아왔다]〉, 《코인데스크》, 2018-09-22 </ref>  
  
 
: 새로운 시스템은 네트워크 보안에 관련된 업무를 중앙에서 맡아 처리하게 되는데, 암호화폐의 기본 철학을 저버렸다며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감수할 만한 타협이다. 써니킹은 [[피어코인]] 이나 [[프라임 코인]]도 개발에만 앞장섰을 뿐 이후 운영과 관리는 물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계속 보완하는 작업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프라임 코인 같은 경우 이름만 남았다고 봐도 무방하며, 피어 코인도 써니킹이 떠난 뒤 6년 동안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을 계속했다. 다만 최근 피어코인 개발자들이 세그윗과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적용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면서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써니킹이 슈퍼노드 지분증명 프로젝트를 발표하자마자 피어코인 커뮤니티 안에서 가상경제 시대 프로젝트와 [[비코인]]에 섣불리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웹사이트에 나온 정보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해 보인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아예 회사가 별다른 역할을 하지도 않은 써니킹의 이름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다.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서 가상경제 시대는 총 1만8000 [[비트코인]](BTC), 우리 돈 약 1,350억 원을 비공개 토큰 판매로 모으겠다고 발표했지만, 그 외에는 사실상 아무런 정보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써니킹은 사람들이 데이터를 이용하듯 쉽고 편리하게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만들면, 근본적으로 아무리 복잡한 기술이라도 보급하는 데 문제가 없고, 슈퍼노드 지분증명 합의 방식을 고안하면서 이미 합의 알고리듬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염두에 두었고, 아직 구체적인 계획의 상세한 부분은 더 검토하고 있어 메모리와 대역폭 사양이 보통 PC보다 훨씬 더 높을 것 같다고 말했다.<ref name="서니"></ref>
 
: 새로운 시스템은 네트워크 보안에 관련된 업무를 중앙에서 맡아 처리하게 되는데, 암호화폐의 기본 철학을 저버렸다며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감수할 만한 타협이다. 써니킹은 [[피어코인]] 이나 [[프라임 코인]]도 개발에만 앞장섰을 뿐 이후 운영과 관리는 물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계속 보완하는 작업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프라임 코인 같은 경우 이름만 남았다고 봐도 무방하며, 피어 코인도 써니킹이 떠난 뒤 6년 동안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을 계속했다. 다만 최근 피어코인 개발자들이 세그윗과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적용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면서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써니킹이 슈퍼노드 지분증명 프로젝트를 발표하자마자 피어코인 커뮤니티 안에서 가상경제 시대 프로젝트와 [[비코인]]에 섣불리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웹사이트에 나온 정보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해 보인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아예 회사가 별다른 역할을 하지도 않은 써니킹의 이름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다.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서 가상경제 시대는 총 1만8000 [[비트코인]](BTC), 우리 돈 약 1,350억 원을 비공개 토큰 판매로 모으겠다고 발표했지만, 그 외에는 사실상 아무런 정보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써니킹은 사람들이 데이터를 이용하듯 쉽고 편리하게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만들면, 근본적으로 아무리 복잡한 기술이라도 보급하는 데 문제가 없고, 슈퍼노드 지분증명 합의 방식을 고안하면서 이미 합의 알고리듬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염두에 두었고, 아직 구체적인 계획의 상세한 부분은 더 검토하고 있어 메모리와 대역폭 사양이 보통 PC보다 훨씬 더 높을 것 같다고 말했다.<ref name="서니"></ref>
18번째 줄: 18번째 줄:
 
== 활용 ==
 
== 활용 ==
 
[[파일:브이시스.PNG|썸네일|300픽셀|'''슈퍼노드 지분증명 경제 모델''']]
 
[[파일:브이시스.PNG|썸네일|300픽셀|'''슈퍼노드 지분증명 경제 모델''']]
[[파일:브이시스템즈.PNG|썸네일|300픽셀|'''브이시스템즈'''(V Systems)]]
+
[[파일:브이시스템즈.PNG|썸네일|200픽셀|'''브이시스템즈'''(V Systems)]]
 
* '''브이 시스템즈'''  
 
* '''브이 시스템즈'''  
: [[브이 시스템즈]](V Systems)의 [[브이시스]](VSys) 코인 프로젝트는 슈퍼노드 지분증명이라는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 프로젝트이다. [[피어코인]](peer coin)과 [[프라임 코인]](prime coin)은 시총 10위권 안에 등제되어 있었으며, 피어 코인의 경우에 시총 3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특징 첫 번째로는 성과 중심의 진화로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여 지속해서 성능을 향상해 대규모 채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슈퍼노드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두 번째로 코인 발행(Minting) 경제 및 자치로 블록 생산을 하는 슈퍼노드들이 다른 홀더가 캐스팅을 위해 빌려준 브이시스 코인을 사용하여 보상을 받게 되며 이자의 경우 원 보유자에게 상환됨으로 동등한 입장에서 기존 채굴 코인들의 중앙화된으로 발생될수 있는 위협을 해결한다. 세 번째로 코인 발행 참여에 대한 장벽이 없는데 경합 공격을 해결하기 위해 계좌 장고 측정으로 사용자는 높은 수준의 스테이킹 유동성과 네트워크 보안을 통해 이익을 얻는 동안 채굴 참여를 위한 낮은 진입 장벽을 갖추고 있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각각의 블록이 슈퍼노드에 의해 생성되고 사인이 되면 슈퍼노드가 돌아가면서 블록을 검증하게 되고 슈퍼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코인 홀더들의 권리를 어느 정도 이상 수집해야 하는데 홀더들이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위임받아야 하며 슈퍼노드가 되면 코인 발행에 대한 리워드를 가져가게 되며 과정의 흐름을 보게 되면, 홀더들을 겨쳐야만 가능한 방식이기에 기존 슈퍼노드들에 의해 발생하는 불합리한 시스템을 탈피할 수 있다.<ref name="코인"></ref>  
+
: [[브이 시스템즈]](V Systems)의 [[브이시스]](VSys) 코인 프로젝트는 슈퍼노드 지분증명이라는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 프로젝트이다. [[피어코인]](peer coin)과 [[프라임 코인]](prime coin)은 시총 10위권 안에 등제되어 있었으며, 피어 코인의 경우에 시총 3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특징 첫 번째로는 성과 중심의 진화로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여 지속해서 성능을 향상해 대규모 마이닝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슈퍼노드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두 번째로 코인 발행(Minting) 경제 및 자치로 블록 생산을 하는 슈퍼노드들이 다른 홀더가 캐스팅을 위해 빌려준 브이시스 코인을 사용하여 보상을 받게 되며 이자의 경우 원 보유자에게 상환됨으로 동등한 입장에서 기존 마이닝 코인들의 중앙화된으로 발생될수 있는 위협을 해결한다. 세 번째로 코인 발행 참여에 대한 장벽이 없는데 경합 공격을 해결하기 위해 계좌 장고 측정으로 사용자는 높은 수준의 스테이킹 유동성과 네트워크 보안을 통해 이익을 얻는 동안 마이닝 참여를 위한 낮은 진입 장벽을 갖추고 있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각각의 블록이 슈퍼노드에 의해 생성되고 사인이 되면 슈퍼노드가 돌아가면서 블록을 검증하게 되고 슈퍼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코인 홀더들의 권리를 어느 정도 이상 수집해야 하는데 홀더들이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위임받아야 하며 슈퍼노드가 되면 코인 발행에 대한 리워드를 가져가게 되며 과정의 흐름을 보게 되면, 홀더들을 겨쳐야만 가능한 방식이기에 기존 슈퍼노드들에 의해 발생하는 불합리한 시스템을 탈피할 수 있다.<ref name="코인"></ref>  
  
 
* '''슈퍼노드 지분증명의 발전'''
 
* '''슈퍼노드 지분증명의 발전'''
45번째 줄: 45번째 줄:
 
: '''주요 기술적 특징''' : 고정 블록 생산 순서 및 일정한 블록 간격, 콜드 민트, 슈퍼 노드가 있다.
 
: '''주요 기술적 특징''' : 고정 블록 생산 순서 및 일정한 블록 간격, 콜드 민트, 슈퍼 노드가 있다.
  
: '''주요 경제 기능''' : 스테이크 소유자와 슈퍼 노드 모두 블록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는다. 채굴 보상은 슈퍼노드와 스테이크 소유자가 공유하고, 보상 분배 비율은 슈퍼 노드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 브이 시스템즈 [[메인넷]]에는 15개의 슈퍼 노드가 실행 중이며, 코인 보유자(지분 소유자)는 채굴 보상을 얻기 위해 코인을 슈퍼 노드에 임대 할 수 있고, 각 슈퍼 노드는 1분 안에 블록을 생성하고 각 블록은 36 브이시스 코인을 보상으로 받는다. 슈퍼노드 수에 따라 각 슈퍼노드는 매일 51,840브이시스 코인을 생성한다.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및 기타 운영 비용에 대한 보상의 약 20%를 공제한 후 나머지 80%는 코인을 슈퍼 노드에 임대 한 코인 보유자에게 비례적으로 분배된다. 채굴권과 채굴 보상은 공정한 방식으로 분배되므로 채굴 풀 중앙 집중화의 위험을 제거한다. 각 채굴슬롯에 대해 동일한 채굴을 제공하면 슈퍼 노드에 동일한 스탠딩 및 채굴출력이 제공되고, 채굴 풀의 지배를 막기 위해 기본 제공 메커니즘이 없는 비트코인 디자인과는 반대이다. 슈퍼노드는 탈중앙화 목표를 방해하는 이 주요 장벽을 제거하고, 채굴 슬롯의 동등한 채굴 권한은 채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민트 풀 시장을 형성한다. 채굴 시장은 임대에 대한 이자율을 형성할 것이고, 스테이크 소유자는 더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는 슈퍼 노드로 임대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높은 유료 슈퍼 노드로의 추가 임대는 슈퍼 노드의 지속적인 발행량으로 인해 임대료를 낮추기 때문에 균형은 기본 제공 힘으로 존재하며, 임대율을 동일하게 유지한다.<ref name="문킹"></ref>{{자세히|브이 시스템즈}}
+
: '''주요 경제 기능''' : 스테이크 소유자와 슈퍼 노드 모두 블록 생산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는다. 채굴 보상은 슈퍼노드와 스테이크 소유자가 공유하고, 보상 분배 비율은 슈퍼 노드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 브이 시스템즈 [[메인넷]]에는 15개의 슈퍼 노드가 실행 중이며, 코인 보유자(지분 소유자)는 채굴 보상을 얻기 위해 코인을 슈퍼 노드에 임대 할 수 있고, 각 슈퍼 노드는 1분 안에 블록을 생성하고 각 블록은 36 브이시스 코인을 보상으로 받는다. 슈퍼노드 수에 따라 각 슈퍼노드는 매일 51,840브이시스 코인을 생성한다.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및 기타 운영 비용에 대한 보상의 약 20%를 공제한 후 나머지 80%는 코인을 슈퍼 노드에 임대 한 코인 보유자에게 비례적으로 분배된다. 채굴권과 채굴 보상은 공정한 방식으로 분배되므로 채굴 풀 중앙 집중화의 위험을 제거한다. 각 채굴슬롯에 대해 동일한 채굴을 제공하면 슈퍼 노드에 동일한 스탠딩 및 채굴출력이 제공되고, 채굴 풀의 지배를 막기 위해 기본 제공 메커니즘이 없는 비트코인 디자인과는 반대이다. 슈퍼노드는 탈중앙화 목표를 방해하는 이 주요 장벽을 제거하고, 채굴 슬롯의 동등한 채굴 권한은 채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민트 풀 시장을 형성한다. 채굴 시장은 임대에 대한 이자율을 형성할 것이고, 스테이크 소유자는 더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는 슈퍼 노드로 임대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높은 유료 슈퍼 노드로의 추가 임대는 슈퍼 노드의 지속적인 발행량으로 인해 임대료를 낮추기 때문에 균형은 기본 제공 힘으로 존재하며, 임대율을 동일하게 유지한다.<ref name="문킹"></ref>
  
 
== SPos와 DPoS 비교 ==
 
== SPos와 DPoS 비교 ==
브이 시스템(VSYS)의 슈퍼노드 지분증명과 위임지분증명(DPoS)은 지분증명(PoS)에서 개발한 합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였고, 실제 구현 시 두 가지의 차이점으로는 두 지분증명 모두 슈퍼노드를 가지고 있지만, 슈퍼노드 검사와 균형 사이의 관계는 홀더와 노드가 다르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의 슈퍼노드는 [[비트코인]](Bitcoin)의 채굴 채굴과 유사한 파운드리 토큰 풀과 비슷하다. 슈퍼노드는 파운드리 블록의 관심사를 임차인과 공유하며 두 노드 사이에 공생 관계가 있으며, 동시에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캐스팅 시간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평등한 주조권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비트 노드 채굴 풀이 중앙 집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슈퍼 노드]](super node)가 전통적인 비트코인 및 다른 채굴 풀과는 다른 중앙 집중식 추세를 형성할 수 없어서, 토큰 소지자는 슈퍼노드와 생태적 이점을 공유 할 수 있지만 반면에 동일한 주조 권한은 슈퍼노드의 중앙 집중화 경향을 억제하고 네트워크 보안을 향상할 수 있다. 위임지분증명의 메커니즘은 현재의 관점에서 뇌물을 근절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슈퍼노드로 투표 한 돈 보유자는 소득이 없기 때문에 매우 유익한 질문으로 이어지며, 동기가 없는 동기는 없고, 현재 낮은 유권자 투표율은 불충분한 인센티브의 결과이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임대 토큰 보유자의 이점을 공유하고 슈퍼노드 토큰 대여 시장 형성을 촉진한다. 슈퍼노드 지분증명과 위임지분증명은 확장성을 향상하는 공통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합의 알고리즘의 논리는 다르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의 관점에서 볼 때 고성능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블록 모드에서 고정 주문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고정 블록 모드는 시스템이 다음 블록을 생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권한을 노드에 부여 할 수도 있다. 위임지분증명은 랜덤 블록 모드를 사용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지 확인한다. [[디도스 공격]]에 대한 설계에서 슈퍼노드는 평균 가중 평균과 같은 잔액 계산 모델을 통해 형평성의 유동성을 가속하여 디도스 공격을 방어하지만, 위임지분증명은 여러 번 투표 할 수 있는 모드를 사용한다.<ref>vsystems, 〈[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vsystems_lecture&wr_id=128 SPoS, DPoS 합의 메커니즘 차이점에 대해]〉, 《브이 시스템즈》, 2019-06-24 </ref>
+
브이 시스템(VSYS)의 슈퍼노드 지분증명과 위임지분증명(DPoS)은 지분증명(PoS)에서 개발한 합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였고, 실제 구현 시 두 가지의 차이점으로는 두 지분증명 모두 슈퍼노드를 가지고 있지만, 슈퍼노드 검사와 균형 사이의 관계는 홀더와 노드가 다르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의 슈퍼노드는 [[비트코인]](Bitcoin)의 마이닝 마이닝과 유사한 파운드리 토큰 풀과 비슷하다. 슈퍼노드는 파운드리 블록의 관심사를 임차인과 공유하며 두 노드 사이에 공생 관계가 있으며, 동시에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캐스팅 시간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 평등한 주조권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비트 노드 마이닝 풀이 중앙 집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슈퍼 노드]](super node)가 전통적인 비트코인 및 다른 마이닝 풀과는 다른 중앙 집중식 추세를 형성할 수 없어서, 토큰 소지자는 슈퍼노드와 생태적 이점을 공유 할 수 있지만 반면에 동일한 주조 권한은 슈퍼노드의 중앙 집중화 경향을 억제하고 네트워크 보안을 향상할 수 있다. 위임지분증명의 메커니즘은 현재의 관점에서 뇌물을 근절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슈퍼노드로 투표 한 돈 보유자는 소득이 없기 때문에 매우 유익한 질문으로 이어지며, 동기가 없는 동기는 없고, 현재 낮은 유권자 투표율은 불충분한 인센티브의 결과이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임대 토큰 보유자의 이점을 공유하고 슈퍼노드 토큰 대여 시장 형성을 촉진한다. 슈퍼노드 지분증명과 위임지분증명은 확장성을 향상하는 공통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합의 알고리즘의 논리는 다르다. 슈퍼노드 지분증명의 관점에서 볼 때 고성능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블록 모드에서 고정 주문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고정 블록 모드는 시스템이 다음 블록을 생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권한을 노드에 부여 할 수도 있다. 위임지분증명은 랜덤 블록 모드를 사용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지 확인한다. [[디도스 공격]]에 대한 설계에서 슈퍼노드는 평균 가중 평균과 같은 잔액 계산 모델을 통해 형평성의 유동성을 가속하여 디도스 공격을 방어하지만, 위임지분증명은 여러 번 투표 할 수 있는 모드를 사용한다.<ref>vsystems, 〈[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vsystems_lecture&wr_id=128 SPoS, DPoS 합의 메커니즘 차이점에 대해]〉, 《브이 시스템즈》, 2019-06-24 </ref>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이오스]] [[블록체인]]을 예로 들어보면 투표를 통해 대표 노드인 [[21BP]]를 선출하고 BP들이 구축한 컴퓨팅 자원, 네트워크 자원을 전체 참여자들이 할당받아 이용하며, BP는 블록 생성 보상과 투표 보상으로 새로 발행되는 이오스 코인의 일부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표 참여자들은 BP에게 투표를 했다고 하더라도 보상을 받지 못하며, 위임지분증명 방식과 브이 시스템(VSYS)의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큰 틀에서는 유사하고, 참여자들이 대표 노드를 선출하고 대표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보상을 받게 되는 것이다. 슈퍼노드의 큰 차이점으로 채굴 풀 개념이 추가된 위임지분증명이다. 세부적으로 슈퍼노드 지분증명에서는 대표 노드인 슈퍼 노드(super node)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블록체인의 참여자들이 채굴 풀에 해시 레이트를 위임하듯 자신의 코인 스테이킹 수량을 위임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노드 중에서 코인 수량을 제일 많이 위임받은 노드가 해당 위임자들과 일종의 채굴 풀을 형성하게 되고 해당 슈퍼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채굴 보상을 받게 되면 그것을 자신에게 코인을 위임해 준 사람들과 나누게 되고, 슈퍼 노드의 수는 60개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며 60개로 정해지는 이유는 브이 시스템에서는 채굴 슬롯(Minting Slot)이라고 하여 채굴이 가능한 노드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며, 슈퍼 노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각 슈퍼 노드마다 지분의 위임에 대한 보상 정책을 달리할 수 있음으로 슬롯의 소유권은 경쟁에 따라 다른 슈퍼 노드에 넘어갈 수도 있어 이런 방식으로 슈퍼 노드를 견제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안을 마련해 두었다.<ref>erc20, 〈[https://www.a-ha.io/questions/4436335b345368ca84a8f79c5af98c45  SPOS와 DPOS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아하》, 2019-07-04 </ref>
+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이오스]] [[블록체인]]을 예로 들어보면 투표를 통해 대표 노드인 [[21BP]]를 선출하고 BP들이 구축한 컴퓨팅 자원, 네트워크 자원을 전체 참여자들이 할당받아 이용하며, BP는 블록 생성 보상과 투표 보상으로 새로 발행되는 이오스 코인의 일부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표 참여자들은 BP에게 투표를 했다고 하더라도 보상을 받지 못하며, 위임지분증명 방식과 브이 시스템(VSYS)의 슈퍼노드 지분증명은 큰 틀에서는 유사하고, 참여자들이 대표 노드를 선출하고 대표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보상을 받게 되는 것이다. 슈퍼노드의 큰 차이점으로 마이닝 풀 개념이 추가된 위임지분증명이다. 세부적으로 슈퍼노드 지분증명에서는 대표 노드인 슈퍼 노드(super node)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블록체인의 참여자들이 마이닝 풀에 해시 레이트를 위임하듯 자신의 코인 스테이킹 수량을 위임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노드 중에서 코인 수량을 제일 많이 위임받은 노드가 해당 위임자들과 일종의 마이닝 풀을 형성하게 되고 해당 슈퍼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채굴 보상을 받게 되면 그것을 자신에게 코인을 위임해 준 사람들과 나누게 되고, 슈퍼 노드의 수는 60개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이며 60개로 정해지는 이유는 브이 시스템에서는 채굴 슬롯(Minting Slot)이라고 하여 채굴이 가능한 노드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며, 슈퍼 노드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각 슈퍼 노드마다 지분의 위임에 대한 보상 정책을 달리할 수 있음으로 슬롯의 소유권은 경쟁에 따라 다른 슈퍼 노드에 넘어갈 수도 있어 이런 방식으로 슈퍼 노드를 견제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안을 마련해 두었다.<ref>erc20, 〈[https://www.a-ha.io/questions/4436335b345368ca84a8f79c5af98c45  SPOS와 DPOS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아하》, 2019-07-04 </ref>
  
 
{{각주}}
 
{{각주}}
67번째 줄: 67번째 줄:
 
* [[작업증명]](PoW)
 
* [[작업증명]](PoW)
 
* [[위임지분증명]](DPoS)
 
* [[위임지분증명]](DPoS)
* [[지분증명]](PoS)
+
* [[지분작업증명]](PoSW)
 
* [[채굴]]
 
* [[채굴]]
 
* [[비트코인]]
 
* [[비트코인]]
 +
* [[이더리움]]
 
* [[카르다노]]
 
* [[카르다노]]
 +
* [[이오스]]
 
* [[블록체인]]
 
*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검토 필요}}
+
{{합의 알고리즘|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