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EV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스마트 EV 로고.png|썸네일|200픽셀|'''스마트 EV'''(SMART EV)]]
 
[[파일:스마트 EV 로고.png|썸네일|200픽셀|'''스마트 EV'''(SMART EV)]]
[[파일:스마트 EV 글자.png|썸네일|300픽셀|'''스마트 EV'''(SMART EV)]]
+
[[파일:스마트 EV 글자.png|썸네일|200픽셀|'''스마트 EV'''(SMART EV)]]
[[파일:㈜쎄미시스코 글자.png|썸네일|300픽셀|'''[[㈜쎄미시스코]]'''(Semisysco)]]
 
  
'''스마트 EV'''<!--스마트EV-->(SMART EV)는 '''[[㈜쎄미시스코]]'''(semisysco) 산하의 초소형 전기차 생산 및 농업용 운반차량 전기차 생산공장이다. 위치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미래산단4로 8 세종미래산업단지 산업 4-4블럭에 위치하고 있다. 연간 생산능력은 1단계 약 3천대, 추후 2단계 증설 시 약 6천여 대를 예상하고 있다.<ref>스마트 EV 공식 홈페이지(개요) - https://smart-ev.co.kr/Factory</ref>
+
'''스마트 EV'''<!--스마트EV-->(SMART EV)는 '''[[쎄미시스코㈜]]'''(semisysco) 산하의 초소형 전기차 생산 및 농업용 운반차량 전기차 생산공장이다. 위치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미래산단4로 8 세종미래산업단지 산업 4-4블럭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능력은 1단계 약 3천대, 추후 2단계 증설 시 약 6천여 대를 예상하고 있다.<ref>스마트 EV 공식 홈페이지(개요) - https://smart-ev.co.kr/Factory</ref>
{{:자동차 배너|경차}}
 
  
 
==개요==
 
==개요==
스마트 EV는 주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쎄미시스코 산하의 전기차 생산 및 농업용 운반차량 전기차 생산사업을 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EV는 꾸준한 경영혁신과 투명한 경영성과를 토대로 모든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는 기업으로 끊임없이 변화해 나갈 것을 약속하였으며, 또한 보다 편리하고 가치 있는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항상 고객만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기업이 될 것을 다짐하였다. 또한, 전기차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품질을 가지고 생산하고 있고, 기존의 내연 기관 자동차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새로운 방식으로 선보인 초소형전기차를 필두로 전기차 부분에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말하며 전기차 분야에 관한 자신감을 보여주었으며, 전기차의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로 소비자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고, 전기차 부분에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어 2020년 현재 명실상부 전기차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ref>스마트 EV 공식 홈페이지(강점) - https://smart-ev.co.kr/Advantages</ref> 이러한 스마트 EV는 2020년 9월 기준으로 친환경 배달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초소형 전기화물차 [[스마트 EV D2C]], 다목적 운반 관리가 가능한 초소형 전기화물 픽업 [[스마트 EV D2P]](SMART EV D2P)를 출시했으며 [[EV 트렌드 코리아 2020]](EV TREND KOERA 2020)에 참가하면서 고속도로 진입이 가능한 2인승 경형 전기차 [[스마트 EV 제타]](SMART EV Z)를 공개하고, 초소형 전기차의 새로운 표준과 함께 스마트 EV 초소형 전기차 라인업을 완성할 예정이다.<ref>JELRA,〈[https://blog.naver.com/hosslee/222092672979 '제 2의 테슬라'꿈꾸는 쎄미시스코 스마트 EV]〉, 《네이버 블로그》,2020-09-18</ref>
+
스마트 EV는 주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쎄미시스코㈜ 산하의 전기차 생산 및 농업용 운반차량 전기차 생산사업을 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EV는 꾸준한 경영혁신과 투명한 경영성과를 토대로 모든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는 기업으로 끊임없이 변화해 나갈 것을 약속하였으며, 또한 보다 편리하고 가치 있는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항상 고객만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기업이 될 것을 다짐하였다. 또한, 전기차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품질을 가지고 생산하고 있고, 기존의 내연 기관 자동차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새로운 방식으로 선보인 초소형전기차를 필두로 전기차 부분에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고말하며 전기차 분야에 관한 자신감을 보여주었으며, 전기차의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로 소비자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고, 전기차 부분에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어 2020년 현재 명실상부 전기차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ref>스마트 EV 공식 홈페이지(강점) - https://smart-ev.co.kr/Advantages</ref> 이러한 스마트 EV는 2020년 9월 기준으로 친환경 배달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초소형 전기화물차 [[스마트 EV D2C]], 다목적 운반 관리가 가능한 초소형 전기화물 픽업 [[스마트 EV D2P]](SMART EV D2P)를 출시했으며 [[EV 트렌드 코리아 2020]](EV TREND KOERA 2020)에 참가하면서 고속도로 진입이 가능한 2인승 경형 전기차 [[스마트 EV 제타]](SMART EV Z)를 공개하고, 초소형 전기차의 새로운 표준과 함께 스마트 EV 초소형 전기차 라인업을 완성할 예정이다.<ref>JELRA,〈[https://blog.naver.com/hosslee/222092672979 '제 2의 테슬라'꿈꾸는 쎄미시스코 스마트 EV]〉, 《네이버 블로그》,2020-09-18</ref>
  
 
==모델==
 
==모델==
 
===D2===
 
===D2===
 
스마트 EV D2는 2019년 3월 29일 개막된 2019 서울모터쇼에서 초소형 전기차로 처음 출시되었으며, 스마트 EV는 ‘2019 서울모터쇼’에서 초소형 전기차 SMART EV 시리즈를 소개했다. D2는 휘발유 디젤 등 내연기관차량 대비 1/6수준의 에너지 소모효율 효과로 낮은 차량 유지비가 장점이며, 스마트 EV는 이번 모터쇼를 통해 출퇴근이나 마트, 음식 배달 등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간편하고 다양하게 활용되는 일상 속 D2의 모습을 관람객들에게 계획대로 보여주었다. 또, 스마트 EV는 D2의 첨단 디지털 테크놀로지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는 시승 행사도 준비했으며, 모터쇼가 개막된 29일부터 2019년 4월 7일까지 야외 행사장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러한 D2의 장점으로는 초소형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한 차량이라는 점과, 비바람과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밀폐형 3도어 시스템과 한국 기후에 최적화된 냉난방 공조시스템을 갖춘 전기차라는 점이 있으며, 운전석과 조수석이 나란히 배치된 2인승 좌석과 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가능하게 하는 넓은 트렁크 공간을 갖춘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D2는 대형마트에서의 자동차 쇼핑이라는 재미와 혁신을 갖춘 판매방식을 택한 것도 차별점으로 볼수 있으며, 국내 최대 유통업체 이마트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전국 20여 개 매장에서 D2를 전시 판매하며 자동차 구매층의 영역을 밀레니얼 세대, 주부, 실버세대로 확장시켰다. 이에 스마트 EV 측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기차 전용 공장 준공과 전기차 전문 매장을 개설한 노하우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의 초소형전기차 토털벨류체인을 완성한다는 전략이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였다고 설명하였다.
 
스마트 EV D2는 2019년 3월 29일 개막된 2019 서울모터쇼에서 초소형 전기차로 처음 출시되었으며, 스마트 EV는 ‘2019 서울모터쇼’에서 초소형 전기차 SMART EV 시리즈를 소개했다. D2는 휘발유 디젤 등 내연기관차량 대비 1/6수준의 에너지 소모효율 효과로 낮은 차량 유지비가 장점이며, 스마트 EV는 이번 모터쇼를 통해 출퇴근이나 마트, 음식 배달 등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간편하고 다양하게 활용되는 일상 속 D2의 모습을 관람객들에게 계획대로 보여주었다. 또, 스마트 EV는 D2의 첨단 디지털 테크놀로지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는 시승 행사도 준비했으며, 모터쇼가 개막된 29일부터 2019년 4월 7일까지 야외 행사장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러한 D2의 장점으로는 초소형 전기차의 단점을 보완한 차량이라는 점과, 비바람과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밀폐형 3도어 시스템과 한국 기후에 최적화된 냉난방 공조시스템을 갖춘 전기차라는 점이 있으며, 운전석과 조수석이 나란히 배치된 2인승 좌석과 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가능하게 하는 넓은 트렁크 공간을 갖춘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D2는 대형마트에서의 자동차 쇼핑이라는 재미와 혁신을 갖춘 판매방식을 택한 것도 차별점으로 볼수 있으며, 국내 최대 유통업체 이마트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전국 20여 개 매장에서 D2를 전시 판매하며 자동차 구매층의 영역을 밀레니얼 세대, 주부, 실버세대로 확장시켰다. 이에 스마트 EV 측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기차 전용 공장 준공과 전기차 전문 매장을 개설한 노하우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의 초소형전기차 토털벨류체인을 완성한다는 전략이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였다고 설명하였다.
또 다른 특이점으로는 이동 목적에 따른 다양한 활용성도 눈에 띈다. 직장인의 출퇴근과 마트 등의 근거리 이동수단, 음식 및 경량화물 배달 및 카셰어링까지 다양한 목적을 지닌다. 때문에 D2는 기존 자동차의 거품을 뺀 스마트함과 콤팩트한 외관으로 전기차의 대중화 시대를 열고 있는 차량으로 평가 받는다. 이에 대한 근거로  작년 자체 고객 만족 조사 결과 D2를 구매한 80%가 기존 차량을 보유하고 있었던 만큼 성능과 경제성을 고려한 세컨드카 용도의 판매도 급증하고 있다고 스마트 EV 측은 전했다.이러한 장점이 끝이 아니라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이 더해지며 작년 2월부터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우편배달 시범 운행 차량으로 선정돼 현재 30대가량이 ‘우체국 전기차’로 활약하고 있다. 이에 [[이순종]] 쎄미시스코 대표는 “올해 초소형 전기차는 일반 전기차 대비 지원금이 향상돼 620만~920만원 지급이 확정된 상태여서 소비자들에게는 더욱 매력적”이라고 말하면서 덧붙여 특히 “D2C(카고)는 올해 하반기부터 세종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라며 “국산 차량의 기술 혁신으로 가격 인하 요인까지 더해지면 초소형 전기차 보급에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f>하영선 기자,〈[http://auto.danawa.com/news/?Work=detail&Tab=N1&no=3882285 (서울모터쇼)쎄미시스코, 초소형 전기차 D2 전시..D2C 국내 생산 계획]〉, 《데일리카》,2019-03-29</ref>
+
또 다른 특이점으로는 이동 목적에 따른 다양한 활용성도 눈에 띈다. 직장인의 출퇴근과 마트 등의 근거리 이동수단, 음식 및 경량화물 배달 및 카셰어링까지 다양한 목적을 지닌다. 때문에 D2는 기존 자동차의 거품을 뺀 스마트함과 콤팩트한 외관으로 전기차의 대중화 시대를 열고 있는 차량으로 평가 받는다. 이에 대한 근거로  작년 자체 고객 만족 조사 결과 D2를 구매한 80%가 기존 차량을 보유하고 있었던 만큼 성능과 경제성을 고려한 세컨드카 용도의 판매도 급증하고 있다고 스마트 EV 측은 전했다.이러한 장점이 끝이 아니라 정부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이 더해지며 작년 2월부터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우편배달 시범 운행 차량으로 선정돼 현재 30대가량이 ‘우체국 전기차’로 활약하고 있다. 이에 이순종 쎄미시스코 대표는 “올해 초소형 전기차는 일반 전기차 대비 지원금이 향상돼 620만~920만원 지급이 확정된 상태여서 소비자들에게는 더욱 매력적”이라고 말하면서 덧붙여 특히 “D2C(카고)는 올해 하반기부터 세종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라며 “국산 차량의 기술 혁신으로 가격 인하 요인까지 더해지면 초소형 전기차 보급에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f>하영선 기자,〈[http://auto.danawa.com/news/?Work=detail&Tab=N1&no=3882285 (서울모터쇼)쎄미시스코, 초소형 전기차 D2 전시..D2C 국내 생산 계획]〉, 《데일리카》,2019-03-29</ref>
  
 
===D2C===
 
===D2C===
24번째 줄: 22번째 줄:
 
차 키 공유까지 편리하게 가능하며, 첨단 안전장치와 다양한 편의 기능은 물론, 전기차 혜택까지 알차게 받을 수 있는 스마트 EV의 핵심 제품 전기차이다. 또한, 크기를 넘어서는 성능으로 기대 이상의 만족을 선사하는 국내 유일 미니 전기차이다. 이러한 스마트 EV 제타는 콤팩트한 바디에 스마트한 디자인을 가득 채웠으며, 주행 퍼포먼스를 위한 유선형 라인과 완성도 높은 LED 램프, 안전과 성능을 동시에 책임지는 가볍고 단단한 차체 구조까지 빈틈없이 설계해서 소비자들로 하여금 만족을 이끌어냈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일부 도로 통행이 제한되는 저속 전기차와 달리, 모든 길에서 자유롭게 달릴 수 있는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 전기차 충전소, 민영.관영 주차장, 가정집 등 현재 국내에서 가능한 모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급속, 완속, 가정용 220V 충전, 콤팩트한 사이즈로 좁은 골목길 주차, 1대 공간에 2대까지 주차가 가능한 공간 활용성, 스마트 에어백, 차체자세 제어장치, 잠김방지 제동장치, 타이어 공기압 자동감지 시스템, 디지털키, 대화면 터치스크린 등 첨단 안전장치와 다양한 편의 기능 적용, 차 키를 따로 챙길 필요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차 문을 여닫고, 공유까지 가능한 디지털 키 솔루션, 자동차세 감면, 공영 주차장 50 ~ 80%, 고속도로, 유료 도로 통행료 50% 할인, 전기 승용차 보조금 혜택과 같은 친환경 전기차 혜택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EV Z만의 매직 아웃도어 라이프를 통하여 코로나 시대, 해치백 스타일 미지 전기차 EV Z와 함께 아웃도어 라이프의 로망인 차박 여행을 즐길 수 있으며, 무겁고 번거로운 텐트가 없어도 EV Z는 담요와 배게만으로도 완벽한 힐링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스마트 EV 측은 설명했다. 특히 매연, 소음이 발생하는 일반 차량과 다르게 미니 전기차 EV Z는 시동 없이 전기매트, 히터, 충전기 등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하여 쾌적한 차박 여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ref name = "EV Z">스마트 EV 공식 홈페이지 MODEL(EV Z)- https://https://smart-ev.co.kr/ZP</ref>  
 
차 키 공유까지 편리하게 가능하며, 첨단 안전장치와 다양한 편의 기능은 물론, 전기차 혜택까지 알차게 받을 수 있는 스마트 EV의 핵심 제품 전기차이다. 또한, 크기를 넘어서는 성능으로 기대 이상의 만족을 선사하는 국내 유일 미니 전기차이다. 이러한 스마트 EV 제타는 콤팩트한 바디에 스마트한 디자인을 가득 채웠으며, 주행 퍼포먼스를 위한 유선형 라인과 완성도 높은 LED 램프, 안전과 성능을 동시에 책임지는 가볍고 단단한 차체 구조까지 빈틈없이 설계해서 소비자들로 하여금 만족을 이끌어냈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일부 도로 통행이 제한되는 저속 전기차와 달리, 모든 길에서 자유롭게 달릴 수 있는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 전기차 충전소, 민영.관영 주차장, 가정집 등 현재 국내에서 가능한 모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급속, 완속, 가정용 220V 충전, 콤팩트한 사이즈로 좁은 골목길 주차, 1대 공간에 2대까지 주차가 가능한 공간 활용성, 스마트 에어백, 차체자세 제어장치, 잠김방지 제동장치, 타이어 공기압 자동감지 시스템, 디지털키, 대화면 터치스크린 등 첨단 안전장치와 다양한 편의 기능 적용, 차 키를 따로 챙길 필요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차 문을 여닫고, 공유까지 가능한 디지털 키 솔루션, 자동차세 감면, 공영 주차장 50 ~ 80%, 고속도로, 유료 도로 통행료 50% 할인, 전기 승용차 보조금 혜택과 같은 친환경 전기차 혜택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EV Z만의 매직 아웃도어 라이프를 통하여 코로나 시대, 해치백 스타일 미지 전기차 EV Z와 함께 아웃도어 라이프의 로망인 차박 여행을 즐길 수 있으며, 무겁고 번거로운 텐트가 없어도 EV Z는 담요와 배게만으로도 완벽한 힐링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스마트 EV 측은 설명했다. 특히 매연, 소음이 발생하는 일반 차량과 다르게 미니 전기차 EV Z는 시동 없이 전기매트, 히터, 충전기 등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하여 쾌적한 차박 여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ref name = "EV Z">스마트 EV 공식 홈페이지 MODEL(EV Z)- https://https://smart-ev.co.kr/ZP</ref>  
  
스마트 EV Z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편안한 실내 공간에 디지털 키, 대화면 터치스크린 등 [[이브이제타]](EV Z) 운전자를 위한 첨단 기능을 가득 채웠으며 드라이빙에도 스마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EV Z의 대표 기술은 [[디지털 키]](Digital Key)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키 솔루션 적용으로 실물 차 키 없이도 앱 하나로 차 문을 여닫고, 운전할 수 있으며, 원하는 사람과 언제 어디서나 차 키를 공유할 수 있어 렌트나 카셰어링은 물론, 비대면 경정비, 케어 서비스까지 일상 속에서 다양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ref name = "EV Z"></ref>  
+
스마트 EV Z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편안한 실내 공간에 디지털 키, 대화면 터치스크린 등 이브이 제타 운전자를 위한 첨단 기능을 가득 채웠으며 드라이빙에도 스마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EV Z의 대표 기술은 [[디지털 키]](Digital Key)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키 솔루션 적용으로 실물 차 키 없이도 앱 하나로 차 문을 여닫고, 운전할 수 있으며, 원하는 사람과 언제 어디서나 차 키를 공유할 수 있어 렌트나 카셰어링은 물론, 비대면 경정비, 케어 서비스까지 일상 속에서 다양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ref name = "EV Z"></ref>  
  
 
;안전
 
;안전
171번째 줄: 169번째 줄:
 
|-
 
|-
 
|}<ref>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D2C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4981</ref><ref>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D2P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36077</ref><ref>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Z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9569</ref><ref name = "D2C"></ref><ref name = "D2P"></ref><ref name = "EV Z"></ref>  
 
|}<ref>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D2C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4981</ref><ref>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D2P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36077</ref><ref>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Z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9569</ref><ref name = "D2C"></ref><ref name = "D2P"></ref><ref name = "EV Z"></ref>  
 
 
{{각주}}
 
{{각주}}
  
185번째 줄: 182번째 줄:
 
* 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D2P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36077
 
* 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D2P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36077
 
* 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Z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9569
 
* 네이버 자동차 2020 SMART EV Z - https://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956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쎄미시스코]]
+
* [[쎄미시스코㈜]]
* [[디투씨]]
+
* [[스마트 EV D2C]]
* [[디투피]]
+
* [[스마트 EV D2P]]
* [[이브이제타]]
+
* [[스마트 EV 제타]]
  
 +
{{로고 수정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