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5번째 줄: 95번째 줄:
  
 
북부지역의 해발 1,400m 이하 지역은 남부보다 추운 기후로 너도밤나무, 단풍나무 및 떡갈나무 등 낙엽송이 주로 자라며 천연림이 넓게 분포한다. 또한 고도가 높은 지역에는 소나무, 가문비나무와 전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자생하는데 상당수의 수목은 인공적으로 가꾼 조림목이다. 한편 알프스 산지는 여러 식물이 자생하며 해발 500m까지는 관목이 자라므로 소와 양의 방목이 가능하다. 그러나 해발 1,800m 이상의 고지대는 동양의 분재와 비슷한 작은 관목이 드문드문 분포하여 방목이 힘들고 해발 2,300m 까지는 다양한 야생화와 초지가 펼쳐져 있다. 이외에 3,200m 이상의 고도에는 이끼와 지의류 이외에는 식물이 자랄 수 없다.
 
북부지역의 해발 1,400m 이하 지역은 남부보다 추운 기후로 너도밤나무, 단풍나무 및 떡갈나무 등 낙엽송이 주로 자라며 천연림이 넓게 분포한다. 또한 고도가 높은 지역에는 소나무, 가문비나무와 전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자생하는데 상당수의 수목은 인공적으로 가꾼 조림목이다. 한편 알프스 산지는 여러 식물이 자생하며 해발 500m까지는 관목이 자라므로 소와 양의 방목이 가능하다. 그러나 해발 1,800m 이상의 고지대는 동양의 분재와 비슷한 작은 관목이 드문드문 분포하여 방목이 힘들고 해발 2,300m 까지는 다양한 야생화와 초지가 펼쳐져 있다. 이외에 3,200m 이상의 고도에는 이끼와 지의류 이외에는 식물이 자랄 수 없다.
[[파일:라보 포도원 테라스.jpg|썸네일|300픽셀|left|라보 포도원 테라스]]
+
 
 
스위스에서 자생하였던 곰, 늑대, 스라소니와 비버 등 야생동물은 20세기 들어 거의 멸종되었으며 토끼도 매우 드물고 사슴과 담비 정도만 숲속에 서식하며 때때로 교외에서도 관찰된다. 최근 수십 년간 이탈리아에서 넘어온 늑대가 관찰되고 있며 강과 호수에는 약 800여 마리의 비버가 살고 있다. 이외에 알프스 산지에는 영양과 다람쥐 등이 분포하며 야생 염소는 멸종되었다가 인위적인 복원을 통해 적은 개체수가 서식한다. 스위스의 야생동물은 20세기 들어 멸종 혹은 수가 줄어든 반면, 조류는 약 200여 종 가까이 서식한다. 되새, 딱새, 꾀꼬리, 굴뚝새, 백조, 딱따구리와 찌르레기 등 다양한 종류의 야생 조류들이 서식한다. 알프스 산지에 살던 독수리는 개체 수가 줄어 거의 멸종하였으나, 복원 작업으로 적은 개체 수가 생존하고 있다.
 
스위스에서 자생하였던 곰, 늑대, 스라소니와 비버 등 야생동물은 20세기 들어 거의 멸종되었으며 토끼도 매우 드물고 사슴과 담비 정도만 숲속에 서식하며 때때로 교외에서도 관찰된다. 최근 수십 년간 이탈리아에서 넘어온 늑대가 관찰되고 있며 강과 호수에는 약 800여 마리의 비버가 살고 있다. 이외에 알프스 산지에는 영양과 다람쥐 등이 분포하며 야생 염소는 멸종되었다가 인위적인 복원을 통해 적은 개체수가 서식한다. 스위스의 야생동물은 20세기 들어 멸종 혹은 수가 줄어든 반면, 조류는 약 200여 종 가까이 서식한다. 되새, 딱새, 꾀꼬리, 굴뚝새, 백조, 딱따구리와 찌르레기 등 다양한 종류의 야생 조류들이 서식한다. 알프스 산지에 살던 독수리는 개체 수가 줄어 거의 멸종하였으나, 복원 작업으로 적은 개체 수가 생존하고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