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스팀 (게임)}}
+
{{이미지
[[파일:스팀 로고.png|썸네일|200픽셀|'''스팀'''(Steem)]]
+
|스팀 로고.jpg|'''스팀'''(Steem) 로고
[[파일:스팀 글자.png|썸네일|300픽셀|'''스팀'''(Steem)]]
+
|Steem.jpg|'''스팀'''(Steem) 로고
 
+
}}
'''스팀'''(Steem)은 [[블록체인]] 기반의 [[SNS]] 커뮤니티 사이트인 [[스팀잇]]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이다. 스팀의 플랫폼인 [[스팀잇]](steemit)은 다양한 주제로 [[콘텐츠]]를 올리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블로깅 소셜 네트워크이다. 스팀은 [[네드 스캇]](Ned Scott) 스팀잇 대표와 [[비트셰어]](BitShares)를 만든 [[댄 라리머]](Dan Larimer)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고, 2016년 7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스팀 플랫폼 기반의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로 [[디튜브]](D.tube)가 있다. 스팀의 시가 총액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2억 6천만 달러, 약 3,000억원으로서, 시가 총액 38위의 암호화폐이다.
+
'''스팀'''(steem)은 [[블록체인]] 기반의 [[SNS]] 커뮤니티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스팀의 플랫폼인 [[스팀잇]](steemit)은 다양한 주제로 [[콘텐츠]]를 올리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블로깅 소셜 네트워크이다. 스팀은 [[비트셰어]](BitShares)를 만든 [[댄 라리머]](Dan Larimer)와 [[네드 스캇]](Ned Scott)에 의해 공동 개발되었고, 2016년 7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스팀의 시가 총액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2억 6천만 달러, 약 3,000억원으로서, 시가 총액 38위의 암호화폐이다.
  
 
== 개요 ==
 
== 개요 ==
[[파일:네드 스캇.jpg|썸네일|200픽셀|'''[[네드 스캇]]'''(Ned Scott) 스팀 공동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
 
[[파일:댄 라리머.jpg|썸네일|200픽셀|'''[[댄 라리머]]'''(Dan Larimer) 스팀 공동 창시자 겸 기술이사(CTO)]]
 
 
 
스팀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네트워크보다 초당 훨씬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수수료]]는 없다. 그러므로 스팀은 자신의 [[콘텐츠]]를 수익화하고 [[커뮤니티]]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스팀잇(Steemit)이라는 단어는 "Esteem(존중하다) it!" 라는 문구에서 만들어졌다. 스팀은 [[위임지분증명]](DPoS)과 [[두뇌증명]](PoB)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따른다.
 
스팀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네트워크보다 초당 훨씬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수수료]]는 없다. 그러므로 스팀은 자신의 [[콘텐츠]]를 수익화하고 [[커뮤니티]]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스팀잇(Steemit)이라는 단어는 "Esteem(존중하다) it!" 라는 문구에서 만들어졌다. 스팀은 [[위임지분증명]](DPoS)과 [[두뇌증명]](PoB)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따른다.
  
15번째 줄: 12번째 줄:
  
 
== 스팀잇의 3가지 암호화폐 ==
 
== 스팀잇의 3가지 암호화폐 ==
[[파일:스팀잇 글자.png|썸네일|300픽셀|'''[[스팀잇]]'''(Steemit) 사이트]]
 
 
 
스팀잇에는 3가지의 [[암호화폐]]가 있다.
 
스팀잇에는 3가지의 [[암호화폐]]가 있다.
  
=== 스팀 ===
+
=== 스팀(Steem) ===
스팀(Steem)은 스팀잇의 대표 [[암호화폐]]로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송금과 거래가 가능하다. 콘텐츠가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받은 만큼 스팀을 받는다. 하지만 지급 받을 수 있는 보상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받을 수 있는 최댓값에 이르기 전까지는 투표(vote) 비율에 따라서 보상이 지급된다. 보상금은 게시물이나 댓글을 작성한 후 정확히 7일 후에 지급하기 때문에 그 후에야 청구 가능하다. 지급받은 스팀의 절반은 즉시 사용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베스팅 스팀(vesting steem)으로 저장되어 스팀파워를 통해 104주 동안 파워다운을 시킨 이후에야 사용 가능하다.  
+
스팀(Steem)은 스팀잇의 대표 암호화폐로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송금과 거래가 가능하다. 콘텐츠가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받은 만큼 스팀을 받는다. 하지만 지급 받을 수 있는 보상량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받을 수 있는 최댓값에 이르기 전까지는 투표(vote) 비율에 따라서 보상이 지급된다. 보상금은 게시물이나 댓글을 작성한 후 정확히 7일 후에 지급하기 때문에 그 후에야 청구 가능하다. 지급받은 스팀의 절반은 즉시 사용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베스팅 스팀(vesting steem)으로 저장되어 스팀파워를 통해 104주 동안 파워다운을 시킨 이후에야 사용 가능하다.  
  
=== 스팀파워 ===
+
=== 스팀파워(Steem Power) ===
스팀파워(Steem Power)는 스팀잇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보통 콘텐츠를 통해 얻은 수익의 75%는 콘텐츠 제작자가, 25%는 추천자가 나눠 갖는다. 이 중 75%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 중 50%는 암호화폐, 50%는 스팀파워로 받는다. 이렇게 모든 보상을 돈으로 지급하지 않고 영향력으로 지급하는 이유는 콘텐츠 제작자가 암호화폐만 받고 스팀잇을 종료하는 일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추천자 역시 타인의 글에 업보트(upvote)를 하면 보상이 주어진다.
+
보통 콘텐츠를 통해 얻은 수익의 75%는 콘텐츠 제작자가, 25%는 추천자가 나눠 갖는다. 이 중 75%에 해당하는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 중 50%는 암호화폐, 50%는 스팀파워로 받는다. 스팀파워(Steem Power)는 스팀잇에서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이렇게 모든 보상을 돈으로 지급하지 않고 영향력으로 지급하는 이유는 콘텐츠 제작자가 암호화폐만 받고 스팀잇을 종료하는 일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추천자 역시 타인의 글에 업보트(upvote)를 하면 보상이 주어진다.
  
=== 스팀달러 ===
+
=== 스팀달러(Steem Dollars) ===
스팀달러(Steem Dollars)는 스팀잇에서 콘텐츠 제작자에게 지급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스팀달러는 미국 1달러의 가치가 보장되도록 설계되어 가격이 안정된 스테이블코인이다. 스팀잇에서 콘텐츠 제작자 수익의 50%는 암호화폐, 50%는 스팀파워로 지급한다. 스팀달러는 스팀으로 환전 가능하며, 자유롭게 송금과 거래를 할 수 있어 현금화도 가능하다. 스팀이라는 암호화폐가 있음에도 이렇게 별개의 암호화폐가 존재하는 이유는, 스팀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일종의 안전자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스팀달러를 스팀잇 사이트에 전달하면 같은 가격의 스팀으로 바꾸어 주어 스팀 가격이 급락 혹은 급등할 경우, 스팀잇 사용자는 스팀 가격대를 조절할 수 있다.
+
스팀잇에서 콘텐츠 제작자 수익의 50%는 암호화폐, 50%는 스팀파워로 받는다고 했다. 여기서의 [[암호화폐]]가 바로 스팀달러이다. 스팀달러는 미국 1달러의 가치가 보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물론 스팀으로 환전 가능하며 자유롭게 송금과 거래를 할 수 있어 현금화도 가능하다. 스팀이라는 암호화폐가 있음에도 이렇게 별개의 암호화폐가 존재하는 이유는 스팀의 급격한 가격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일종의 안전자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즉, 스팀달러를 스팀잇 사이트에 전달하면 같은 가격의 스팀으로 바꾸어 주어 스팀 가격이 급락 혹은 급등할 경우, 스팀잇 사용자는 스팀 가격대를 조절할 수 있다.
  
== 특징 ==
+
== 운영 원리 ==
[[파일:스팀-01.jpg|썸네일|400픽셀|'''스팀'''(Steem)]]
 
  
 
=== 위임지분증명 ===
 
=== 위임지분증명 ===
52번째 줄: 46번째 줄:
 
하지만 위 주장에 대한 반론도 있다.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인 [[한호현]]은 스팀잇 사업 모델에는 근본적인 함정이 있으며, 이는 SNS 수요자와 공급자의 관계를 제대로 따져보지 않은 데서 기인한다고 말했다. 스팀잇의 [[업보트]]는 "당신이 쓴 글을 읽었으니 내게 돈을 달라"라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 방식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정보 제공자가 돈을 내고 글을 써야 한다. 하지만 사실 SNS 수요자는 정보 제공자에게 일종의 이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를 공급했기 때문에 그 정보를 이용한 대가를 수요자가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정보 제공자와 수요자 모두가 돈을 내지 않는 모순적인 구조가 된다.<ref>한호현 교수,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의 어설픈 오해〉, 《블록체인투데이》, VOL.1, 2018년 08월</ref>
 
하지만 위 주장에 대한 반론도 있다.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인 [[한호현]]은 스팀잇 사업 모델에는 근본적인 함정이 있으며, 이는 SNS 수요자와 공급자의 관계를 제대로 따져보지 않은 데서 기인한다고 말했다. 스팀잇의 [[업보트]]는 "당신이 쓴 글을 읽었으니 내게 돈을 달라"라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 방식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정보 제공자가 돈을 내고 글을 써야 한다. 하지만 사실 SNS 수요자는 정보 제공자에게 일종의 이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를 공급했기 때문에 그 정보를 이용한 대가를 수요자가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정보 제공자와 수요자 모두가 돈을 내지 않는 모순적인 구조가 된다.<ref>한호현 교수,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의 어설픈 오해〉, 《블록체인투데이》, VOL.1, 2018년 08월</ref>
 
   
 
   
결국 수익이 창출되지 않는 스팀잇 플랫폼을 운영하려면 제3의 재원 제공자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한호현 교수는 가장 유력한 공급원은 '광고주'라고 언급했다. 그렇기 때문에 플랫폼 운영자는 광고주에게 어떠한 대가를 제공할 것인지, 즉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또 다른 수단을 강구하고, 이용자에게는 왜 대가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더욱 구체적이고도 새롭게 만들어 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스팀잇 공동 창업자인 [[네드 스캇]]은 현재는 스팀잇의 생태계 확장에 주력하고 있지만 미래에는 회사의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기 위한 수익 창출에 주력하겠다며, 암호화폐와 광고 모델을 합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시했다.<ref>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85040.html (스팀잇 창업자와의 대화) "토큰 + 광고 더해진 하이브리드 모델 추구"]〉, 《IT조선》, 2018-08-06</ref>
+
결국 수익이 창출되지 않는 스팀잇 플랫폼을 운영하려면 제3의 재원 제공자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한호현 교수는 가장 유력한 공급원은 '광고주'라고 언급했다. 그렇기 때문에 플랫폼 운영자는 광고주에게 어떠한 대가를 제공할 것인지, 즉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또 다른 수단을 강구하고, 이용자에게는 왜 대가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더욱 구체적이고도 새롭게 만들어 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스팀잇 공동 창업자인 [[네드 스캇]]은 현재는 스팀잇의 생태계 확장에 주력하고 있지만 미래에는 회사의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기 위한 수익 창출에 주력하겠다며, 암호화폐와 광고 모델을 합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시했다.<ref>정미하 기자,〈[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85040.html (스팀잇 창업자와의 대화) "토큰 + 광고 더해진 하이브리드 모델 추구"]〉, 《IT조선》, 2018-08-06</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스팀잇 공식 홈페이지 - https://steemit.com/
 
 
* 한수연 기자, 〈[http://www.bloter.net/archives/304097 (IT열쇳말) 스팀(STEEM)]〉, 《블로터》, 2018-03-09
 
* 한수연 기자, 〈[http://www.bloter.net/archives/304097 (IT열쇳말) 스팀(STEEM)]〉, 《블로터》, 2018-03-09
 
* 유병철 기자,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514164808223581e5800d6_1&md=20180516115544_J (기묘한 재테크) 스팀, 컨텐츠에 보상하다]〉, 《글로벌이코노믹》, 2018-05-17
 
* 유병철 기자, 〈[http://news.g-enews.com/view.php?ud=20180514164808223581e5800d6_1&md=20180516115544_J (기묘한 재테크) 스팀, 컨텐츠에 보상하다]〉, 《글로벌이코노믹》, 2018-05-17
68번째 줄: 61번째 줄:
 
* 머니넷 지음, 〈#13 - 스팀(STEEM)〉,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377855 알면 돈 되는 알트코인 30선]》, 위클리비즈, 2018년 2월
 
* 머니넷 지음, 〈#13 - 스팀(STEEM)〉,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377855 알면 돈 되는 알트코인 30선]》, 위클리비즈, 2018년 2월
 
* D군의 This Play,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010664&memberNo=10728965&vType=VERTICAL SNS가 변화한다, 블록체인과 SNS의 만남]〉, 《LG디스플레이 디플》, 2018-06-12
 
* D군의 This Play,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010664&memberNo=10728965&vType=VERTICAL SNS가 변화한다, 블록체인과 SNS의 만남]〉, 《LG디스플레이 디플》, 2018-06-12
* 정미하 기자,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85040.html (스팀잇 창업자와의 대화) "토큰 + 광고 더해진 하이브리드 모델 추구"]〉, 《IT조선》, 2018-08-06  
+
* 정미하 기자,〈[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8/2018050885040.html [스팀잇 창업자와의 대화] "토큰 + 광고 더해진 하이브리드 모델 추구"]〉, 《IT Chosun》, 2018-08-06  
* 한호현 교수,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의 어설픈 오해〉,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879051 블록체인 투데이]》, VOL.1, 2018년 08월
+
* 한호현 교수,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의 어설픈 오해〉, 《블록체인투데이》, VOL.1 2018-08
* 핵심만 콕콕! 암호화폐 분석, 〈[https://cryptochain.tistory.com/66 스팀(Steem)은 무엇인가? 블로그와 블록체인 기술의 결합]〉, 《블록센스》, 2018-07-0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78번째 줄: 70번째 줄:
 
* [[두뇌증명]]
 
* [[두뇌증명]]
 
* [[조재우]]
 
* [[조재우]]
* [[디튜브]]
 
  
{{암호화폐 종류|좋은글}}
+
{{암호화폐 종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