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디케이션 API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2010년 3월 엔에이치엔 사용자 [[인터페이스]](NHN UI) 기술 고영수 랩장이 개발한 기술이다. [[엑스프레스엔진]](XpressEngine, XE)을 사용할 사이트가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오픈 API로 현재는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신디케이션 API를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다.<ref name=“고영수”>정미나 기자, 〈[https://m.etnews.com/201005130072?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신디케이션 API로 콘텐츠 검색 품질 높일 것”]〉, 《전자신문》, 2010-05-14</ref>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이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다른 웹 사이트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의 하나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웹 사이트와 앱은 정해진 형식에 따라 문서를 구성하여 해당 문서의 [[링크]]를 다른 웹사이트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 받은 웹 사이트는 해당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한다.<ref name=“신디케이션API2”>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공식 홈페이지 - https://searchadvisor.naver.com/guide/syndication-intro</ref>  
+
2010년 3월 엔에이치엔 사용자 [[인터페이스]](NHN UI) 기술 고영수 랩장이 개발한 기술이다. [[엑스프레스엔진]](XpressEngine, XE)을 사용할 사이트가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오픈 API로 현재는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신디케이션 API를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다.<ref name=“고영수”>정미나 기자, 〈[https://m.etnews.com/201005130072?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신디케이션 API로 콘텐츠 검색 품질 높일 것”]〉, 《전자신문》, 2010-05-14</ref> 웹 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이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다른 웹 사이트가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의 하나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웹 사이트와 앱은 정해진 형식에 따라 문서를 구성하여 해당 문서의 [[링크]]를 다른 웹사이트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 받은 웹 사이트는 해당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한다.<ref name=“신디케이션API2”>〈[https://searchadvisor.naver.com/guide/syndication-intro 신디케이션 API 소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ref>  
  
 
==특징==
 
==특징==
8번째 줄: 8번째 줄:
  
 
==장점==
 
==장점==
검색 서비스의 무작위 크롤링으로 인한 웹 사이트의 [[서버]] 부하가 줄어든다. 신규 콘텐츠 생성, 기존 콘텐츠 수정, 삭제 등의 결과가 즉시 검색 서비스에 반영되어 검색 엔진 로봇이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할 때가지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콘텐츠 변경 현황을 검색 포털사이트에 반영할 수 있다. 제목, 내용, 태그 등 콘텐츠의 구조가 검색 결과에 정확히 반영된다. [[핑]](Ping)을 보낸 콘텐츠만 수집하므로 콘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부분만 검색에 노출시킬 수 있다.<ref name=“신디케이션API”></ref> 독립 사이트 콘텐츠의 업데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정형화된 웹 문서가 수집되어 검색 정확도가 높아진다. 외부 사이트로의 트래픽 유입량이 증가해 온라인 생태계 전반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f>이민형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61445 네이버 개발자 센터, 신디케이션 API 서비스 정식 오픈]〉, 《디지털데일리》, 2020-04-01</ref>  
+
검색 서비스의 무작위 크롤링으로 인한 웹 사이트의 [[서버]] 부하가 줄어든다. 신규 콘텐츠 생성, 기존 콘텐츠 수정, 삭제 등의 결과가 즉시 검색 서비스에 반영되어 검색 엔진 로봇이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할 때가지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콘텐츠 변경 현황을 검색 엔진 로봇이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콘텐츠 변경 현황을 검색 포털사이트에 반영할 수 있다. 제목, 내용, 태그 등 콘텐츠의 구조가 검색 결과에 정확히 반영된다. [[핑]](Ping)을 보낸 콘텐츠만 수집하므로 콘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부분만 검색에 노출시킬 수 있다.<ref name=“신디케이션API”></ref> 독립 사이트 콘텐츠의 업데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정형화된 웹 문서가 수집되어 검색 정확도가 높아진다. 외부 사이트로의 트래픽 유입량이 증가해 온라인 생태계 전반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f name=“신디케이션장점”>이민형 기자,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61445 네이버 개발자 센터, 신디케이션 API 서비스 정식 오픈]〉, 《디지털데일리》, 2020-04-01</ref>  
  
 
==단점==
 
==단점==
19번째 줄: 19번째 줄:
 
*'''핑 URL''': 네이버 신디케이션 문서의 위치를 지정한 URL<ref name=“신디케이션용어및프로토콜”>ADMIN_SHOP, 〈[https://www.symphonysoft.co.kr/%EB%84%A4%EC%9D%B4%EB%B2%84-%EC%8B%A0%EB%94%94%EC%BC%80%EC%9D%B4%EC%85%98-%ED%95%B4%EC%84%A4%EA%B3%B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97%90%EC%84%9C%EC%9D%98-%EC%A0%81%EC%9A%A9/ 워드프레스 네이버 신디케이션의 개념과 기술적 내용]〉, 《심포니소프트》, 2014-06-20</ref>
 
*'''핑 URL''': 네이버 신디케이션 문서의 위치를 지정한 URL<ref name=“신디케이션용어및프로토콜”>ADMIN_SHOP, 〈[https://www.symphonysoft.co.kr/%EB%84%A4%EC%9D%B4%EB%B2%84-%EC%8B%A0%EB%94%94%EC%BC%80%EC%9D%B4%EC%85%98-%ED%95%B4%EC%84%A4%EA%B3%B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97%90%EC%84%9C%EC%9D%98-%EC%A0%81%EC%9A%A9/ 워드프레스 네이버 신디케이션의 개념과 기술적 내용]〉, 《심포니소프트》, 2014-06-20</ref>
  
==프로토콜==
+
==신디케이션 프로토콜==
 
#요청 웹사이트는 검색 서비스 사이트로 핑을 보낸다. 이때 핑 요청 속에는 “신디케이션 문서 URL”을 함께 전달한다.
 
#요청 웹사이트는 검색 서비스 사이트로 핑을 보낸다. 이때 핑 요청 속에는 “신디케이션 문서 URL”을 함께 전달한다.
 
#검색 서비스는 핑 요청 시 전달된 신디케이션 문서 URL로 접속한다.
 
#검색 서비스는 핑 요청 시 전달된 신디케이션 문서 URL로 접속한다.
36번째 줄: 36번째 줄:
 
===불가능한 경우===
 
===불가능한 경우===
 
검색 노출을 위한 의도적인 행위, 홍보성, 어뷰징, 스팸 관련 문서의 노출에 악용되는 경우에 한하여 승인 보류 또는 승인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발견 시 차단되어 신디케이션 연동이 불가능하다. 타 사이트의 문서, 기사 등을 퍼와서 게시, 의도적인 검색노출을 위해 이슈/홍보성 글을 반복하여 게시하는 경우 또는 다수의 불특정 업체를 홍보, 광고하는 행위일 경우 역시 마찬가지이다. 불법성(도박/ 성인 음란성) 홍보를 위한 스팸 문서를 의도적으로 유포하거나 방치하는 경우, 또는 삭제 정보를 즉시 전달하지 않은 경우 또한 차단되며, 사이트 내에서 확인 가능한 제목과 본문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게시글을 확인하기 위해서 로그인을 해야 하거나 인증이 필요한 문서가 연동 정보에 포함된 경우 모두 신디케이션 연동을 할 수 없다.<ref >〈[https://webdraw.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319 (웹드로우)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 (V1) 종료 안내]〉, 《웹드로우》, 2014-09-03</ref>
 
검색 노출을 위한 의도적인 행위, 홍보성, 어뷰징, 스팸 관련 문서의 노출에 악용되는 경우에 한하여 승인 보류 또는 승인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발견 시 차단되어 신디케이션 연동이 불가능하다. 타 사이트의 문서, 기사 등을 퍼와서 게시, 의도적인 검색노출을 위해 이슈/홍보성 글을 반복하여 게시하는 경우 또는 다수의 불특정 업체를 홍보, 광고하는 행위일 경우 역시 마찬가지이다. 불법성(도박/ 성인 음란성) 홍보를 위한 스팸 문서를 의도적으로 유포하거나 방치하는 경우, 또는 삭제 정보를 즉시 전달하지 않은 경우 또한 차단되며, 사이트 내에서 확인 가능한 제목과 본문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게시글을 확인하기 위해서 로그인을 해야 하거나 인증이 필요한 문서가 연동 정보에 포함된 경우 모두 신디케이션 연동을 할 수 없다.<ref >〈[https://webdraw.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319 (웹드로우)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 (V1) 종료 안내]〉, 《웹드로우》, 2014-09-03</ref>
 +
  
 
==준비 사항==
 
==준비 사항==
*사이트 소유 확인
+
===사이트 소유 확인===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에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웹 사이트의 소유자임을 확인받아야 한다. 해당 웹사이트에 위치한 콘텐츠에 대해서만 네이버 신디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네이버 신디케이션 문서 또는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의 호출 주소도 해당 웹사이트에 위치해야 한다. 인증키는 웹마스터도구의 설정 메뉴에 있는 신디케이션 [[인증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웹 마스터 로그인 계정 당 1개만 발급된다.<ref name=“신디케이션API2”></ref>
+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에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웹 사이트의 소유자임을 확인받아야 한다. 해당 웹사이트에 위치한 콘텐츠에 대해서만 네이버 신디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네이버 신디케이션 문서 또는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의 호출 주소도 해당 웹사이트에 위치해야 한다. 인증키는 웹마스터도구의 설정 메뉴에 있는 신디케이션 [[인증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웹 마스터 로그인 계정 당 1개만 발급된다.<ref name=“신디케이션API2”></ref>
  
*로봇 배제 표준에 대한 이해
+
===로봇 배제 표준에 대한 이해===
:사용자가 수집요청을 하더라도 robots.txt의 설정에 따라 네이버 검색 서비스가 수집요청 문서에 접근하지 못할 수 있다. 웹 사이트의 문서에 네이버 검색 로봇(서비스)의 접근이 가능하게 하려면, 홈페이지에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ref name=“신디케이션API2”></ref>
+
사용자가 수집요청을 하더라도 robots.txt의 설정에 따라 네이버 검색 서비스가 수집요청 문서에 접근하지 못할 수 있다. 웹 사이트의 문서에 네이버 검색 로봇(서비스)의 접근이 가능하게 하려면, 홈페이지에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ref name=“신디케이션API2”></ref>
  
 
==연동하는 방법==
 
==연동하는 방법==
67번째 줄: 68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공식 홈페이지 - https://searchadvisor.naver.com/guide/syndication-intro
+
*〈[https://searchadvisor.naver.com/guide/syndication-intro 신디케이션 API 소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
*naverdev, 〈[https://developers.naver.com/notice/article/10000000000020619721 Syndication API를 소개합니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2010-08-09
 
*정미나 기자, 〈[https://m.etnews.com/201005130072?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신디케이션 API로 콘텐츠 검색 품질 높일 것”]〉, 《전자신문》, 2010-05-14
 
*정미나 기자, 〈[https://m.etnews.com/201005130072?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신디케이션 API로 콘텐츠 검색 품질 높일 것”]〉, 《전자신문》, 2010-05-14
*naverdev, 〈[https://developers.naver.com/notice/article/10000000000020619721 Syndication API를 소개합니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2010-08-09
 
 
*ADMIN_SHOP, 〈[https://www.symphonysoft.co.kr/%EB%84%A4%EC%9D%B4%EB%B2%84-%EC%8B%A0%EB%94%94%EC%BC%80%EC%9D%B4%EC%85%98-%ED%95%B4%EC%84%A4%EA%B3%B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97%90%EC%84%9C%EC%9D%98-%EC%A0%81%EC%9A%A9/ 워드프레스 네이버 신디케이션의 개념과 기술적 내용]〉, 《심포니소프트》, 2014-06-20
 
*ADMIN_SHOP, 〈[https://www.symphonysoft.co.kr/%EB%84%A4%EC%9D%B4%EB%B2%84-%EC%8B%A0%EB%94%94%EC%BC%80%EC%9D%B4%EC%85%98-%ED%95%B4%EC%84%A4%EA%B3%B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97%90%EC%84%9C%EC%9D%98-%EC%A0%81%EC%9A%A9/ 워드프레스 네이버 신디케이션의 개념과 기술적 내용]〉, 《심포니소프트》, 2014-06-20
 
*〈[https://webdraw.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319 (웹드로우)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 (V1) 종료 안내]〉, 《웹드로우》, 2014-09-03
 
*〈[https://webdraw.kr/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319 (웹드로우)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 (V1) 종료 안내]〉, 《웹드로우》, 2014-09-03
81번째 줄: 82번째 줄:
 
* [[검색 로봇]]
 
* [[검색 로봇]]
 
* [[크롤링]]
 
* [[크롤링]]
* [[핑]]
 
  
{{시스템 연계|검토 필요}}
+
{{프로그래밍|검토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