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심재희.jpg|썸네일|300픽셀|'''심재희''']]
+
[[파일:심재희.jpg|썸네일|400픽셀|'''심재희''' ㈜엔텔스 대표이사 ]]
 
 
[[파일:㈜엔텔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엔텔스]]''']]
 
 
 
 
'''심재희'''는 무선인터넷 과금시스템 개발 등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통합 사업을 수행하는 '''[[㈜엔텔스]]'''(NTELS)의 대표이사이다.
 
'''심재희'''는 무선인터넷 과금시스템 개발 등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통합 사업을 수행하는 '''[[㈜엔텔스]]'''(NTELS)의 대표이사이다.
 
==개요==
 
심재희는 2000년도 SK텔레콤을 그만두고, 회사 동료들과 함께 창업의 길로 들어선다. 엔텔스는 이후 3세대 통신기술인 [[WCDMA]](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을 비롯해 4세대 LTE보다 2배빠른 LTE-A를 상용화 하는데 필요한 핵심기술을 제공했다. 2014년에는 세계최초로 국제 표준을 적용한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모비우스]]를 SK텔레콤과 함께 개발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 창조경제 벤처창업대전에서 은탑산업 훈장을 받았다.
 
 
엔텔스는 현재 5세대 이동통신에 적용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기술을 개발중이다. 네트워크 무선주파수를 각 기기에 효율적으로 배분해 통신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타트업]] 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개 기업의 창업을 지원했다.
 
 
또한 통신솔루션의 하나인 과금 시스템을 SK텔레콤, KT, LGU+에 공급하고 있다. 유선 통신사업자, 케이블방송사업자, 인터넷 전화 사업자의 청구 시스템을 구축해 이 부문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ref>지선호 기자, 〈[https://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1414593881479 엔텔스,LTE 상용화 매출확대에 주력]〉, 《아시아경제》, 2011-07-14</ref>
 
 
==약력==
 
* 건국대학교부속고등학교
 
* [[한양대학교]] 전자계산학과
 
* 대우통신종합연구소 통신장비개발담당
 
* SK텔레콤 과장 - OSS개발담당
 
* [[벤처기업협회]] 수석 부회장
 
*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각자대표이사
 
* [[㈜엔텔스]] 대표이사
 
 
==주요활동==
 
===엔텔스===
 
[[엔텔스]](NTELS)는 한국의 소프트웨어(무선인터넷, 과금시스템) 개발, 시스템 통합 자문 중소기업 회사이다. Creative Convergence 라는 비전을 통해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Industry 4.0]]등 컨버전스가 만들어내는 기회를 고객이 사업화로 연결하도록 도와주는 토털 컨버전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지난 2000년 설립 이래 통신, 미디어, 공공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자에게 국내 최초 비즈니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운영 지원 솔루션 ([[OSS]],[[BSS]])과 코어 [[네트워크]]장비, 컨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국내 1위의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을 인정받았다. 또한 엔텔스는 사물 간 통신으로 신규 사업모델을 창출하는 IoT 서비스, 도시환경을 관리하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등 새로운 사업영역으로 컨버전스 사업을 확장하며, IoT 시대를 넘어 제조 및 에너지 분야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 혁신적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
 
엔텔스는 SK텔레콤, 시스코와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을 개발했다.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은 고객들의 네트워크 사용 패턴 등에 따라 필요한 때 필요한 곳에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을 설치하고 연결하는 미래형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ref> 황정우, 〈[http://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18225 SK텔레콤, 시스코·엔텔스와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 개발 MoU]〉, 《The DailyPost》,2015.08.13 </ref>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이 상용화 되면 IoT,공공안전망,[[스트리밍]]등 용도에 따라 특화된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구축 가능하다. 스마트 기기를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트래픽을 고객이나 단말 유형별로 나눠 맞춤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주}}
 
 
==참고자료==
 
*기프트데이, 〈[https://blog.naver.com/lgt1226/220551547401 엔텔스, 심재희 대표, 금융서비스 전문업체, IP과금데이터추출, 빌링, 모비우스]〉, 《네이버블로그》,2015-11-27
 
*지선호,〈[https://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1414593881479 엔텔스,LTE 상용화 매출확대에 주력]〉, 《아시아경제》, 2011-07-14
 
*황정우, 〈[http://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18225 SK텔레콤, 시스코·엔텔스와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 개발 MoU]〉, 《The DailyPost》,2015-08-1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