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 무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무쏘.jpg|썸네일|300픽셀|'''쌍용 무쏘'''(Ssangyong Musso)]]
+
[[파일:무쏘.jpg|썸네일|300픽셀|'''무쏘'''(Ssangyong Musso)]]
 
[[파일:쌍용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쌍용자동차㈜]]'''(Ssangyong Motor)]]
 
[[파일:쌍용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쌍용자동차㈜]]'''(Ssangyong Motor)]]
  
'''쌍용 무쏘'''(SsangYong Musso)는 1993년부터 2005년까지 [[쌍용자동차㈜]]가 생산하였던 중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이다. '''쌍용 무쏘'''<!--쌍용무쏘-->라고도 한다. 무쏘는 [[쌍용자동차㈜]]와 [[다임러-벤츠]]의 합작품이었으며, 영국 왕립예술대학의 [[켄 그린리]](Ken Greenley) 교수가 디자인했다. 무쏘는 [[코뿔소]]를 뜻하는 순수 한국어 낱말 '무소'를 경음화한 표현이며, 강인한 힘과 의지를 연상시킨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중 마지막으로 순수 한국어 낱말이 차명으로 쓰인 자동차이다. 스페인어로는 여성의 성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스페인어권 국가에는 [[코란도 훼미리]]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고급 SUV가 지구 상에 전무하던 시대에 출시되어 고급 세단을 사용하기 힘든 지역에서 국가 원수급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1993년부터 2005년까지 [[SUV]]가 생산되었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무쏘 스포츠]]라는 이름의 더블 택시 픽업 차량이 생산되었다. 2018년 [[제네바]]에서는 쌍용차의 신형 픽업트럭이 무쏘 명패와 함께 공개됐다. 쌍용 [[렉스턴]]과 공유하는 쌍용차의 새로운 보디온프레임 플랫폼이 특징이다.
+
'''무쏘'''(SsangYong Musso)는 1993년부터 2005년까지 '''[[쌍용자동차㈜]]'''가 생산하였던 중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이다. 쌍용차와 다임러-벤츠의 합작품이었으며, 영국 왕립예술대학의 켄 그린리(Ken Greenley) 교수가 디자인했다. 무쏘는 코뿔소를 뜻하는 순수 한국어 낱말 '무소'를 경음화한 표현이며, 강인한 힘과 의지를 연상시킨다.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중 마지막으로 순수 한국어 낱말이 차명으로 쓰인 자동차이다. 스페인어로는 여성의 성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스페인어권 국가에는 코란도 훼미리의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고급 SUV가 지구 상에 전무하던 시대에 출시되어 고급 세단을 사용하기 힘든 지역에서 국가 원수급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1993년부터 2005년까지 SUV가 생산되었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무쏘 스포츠라는 이름의 더블 택시 픽업 차량이 생산되었다. 2018년 제네바에서는 쌍용차의 신형 픽업트럭이 무쏘 명패와 함께 공개됐다. 쌍용 [[렉스턴]]과 공유하는 쌍용차의 새로운 보디온프레임 플랫폼이 특징이다.
{{:자동차 배너|기아}}
 
  
 
==개요==
 
==개요==
1992년, 현대정공은 [[갤로퍼]]를 출시하면서 SUV 시장을 삽시간에 잠식하는 기염을 토했다. 갤로퍼는 일본의 [[미쓰비시 파제로]]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이었던 만큼 신뢰도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특히 디자인과 내부 인테리어의 경우 쌍용의 코란도에 비해 우수했고, 당시 코란도는 고장이 잦다는 문제로 인해 갤로퍼에 크게 밀렸다. 쌍용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1990년 시작된 프로젝트명 FJ(Future Jeep)을 1993년도에 완료하여 프리미엄 SUV 무쏘를 출시하게 된다. 당시 무쏘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상당히 신경을 썼다. 차량 외관은 영국 왕립 예술대학(RCA)의 켄 그린리 교수를 필두로 디자인되었다. 여기에 날렵하면서도 매끄러운 디자인을 통해 승용차 수준의 공기저항 계수를 적용시켰다. 특히 초기 무쏘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엔진을 직수입하여 탑재했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에서 보기 드문 일이었다. 게다가 무쏘 하나를 완성시키기 위해 총 146대의 테스트카가 제작되었다. 이처럼 쌍용의 눈물겨운 무쏘 제작기는 차기 SUV에 얼마나 사활을 걸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
1992년, 현대정공은 갤로퍼를 출시하면서 SUV 시장을 삽시간에 잠식하는 기염을 토했다. 갤로퍼는 일본의 미쓰비시 파제로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이었던 만큼 신뢰도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특히 디자인과 내부 인테리어의 경우 쌍용의 코란도에 비해 우수했고, 당시 코란도는 고장이 잦다는 문제로 인해 갤로퍼에 크게 밀렸다. 쌍용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1990년 시작된 프로젝트명 FJ(Future Jeep)을 1993년도에 완료하여 프리미엄 SUV 무쏘를 출시하게 된다. 당시 무쏘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상당히 신경을 썼다. 차량 외관은 영국 왕립 예술대학(RCA)의 켄 그린리 교수를 필두로 디자인되었다. 여기에 날렵하면서도 매끄러운 디자인을 통해 승용차 수준의 공기저항 계수를 적용시켰다. 특히 초기 무쏘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엔진을 직수입하여 탑재했다는 사실은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에서 보기 드문 일이었다. 게다가 무쏘 하나를 완성시키기 위해 총 146대의 테스트카가 제작되었다. 이처럼 쌍용의 눈물겨운 무쏘 제작기는 차기 SUV에 얼마나 사활을 걸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최초 출시된 무쏘는 여러모로 SUV 시장에 큰 돌풍을 일으켰다. 엔진은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직수입한 2.9L 디젤엔진을 탑재하여 101~120 마력에 21.5~25.5kg.m토크 성능을 갖추고 있었다. 디자인의 경우 갤로퍼와 같이 박스 형태의 투박한 디자인을 벗어나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룬 참신한 모습으로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이 때문인지 1994년-1996년 영국 버밍엄 모터쇼에서 4륜 구동 부문 오토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구형 무쏘는 국내 다른 완성차 제조사들보다 품질이 뒤떨어졌다.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들쑥날쑥했으며, 완성도 낮은 플라스틱 내장재가 단점으로 손꼽혔다. 게다가 쌍용은 메르세데스 벤츠 특유의 차량 제어방식인 진공제어방식을 채택하여 프리휠 허브의 작동을 조절했지만, 고무호스 결함으로 진공이 새는 등 품질 측면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1995년 이후 쌍용은 메르세데스 벤츠로부터 엔진 면허생산 권한을 획득했고, 엔진을 국내 생산 체제로 전환시켰다. 그리고 여러 결함 문제를 대거 수정하여 완성도를 올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자인의 경우 테일램프, 방향지시등이 노란색으로 변경되었다. 등화관제등이 포함되어있던 마지막 모델이다. 1998년 무쏘는 페이스 리프트를 대대적으로 거치게 된다, 모든 디젤 엔진 모델에는 터보 인터쿨러가 기본으로 장착되었고, 메르세데스 벤츠의 기계식 4단 자동변속기와 비트라 전자식 4단 변속기가 혼용되었다. 메르세데스 벤츠 변속기가 장착된 뉴 무쏘는 2세대 초창기에만 생산되어 극소수의 뉴 무쏘 오너들만 소유하고 있다. 외부디자인은 직선 위주의 디자인에 곡선 요소를 다수 첨가하여 전작에 비해 더 부드러워졌다. 그릴은 벤츠와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었으며 기존의 쌍용 로고가 새겨진 그릴도 2002년까지 제공되었다. 1998년 쌍용차가 대우에 인수되었고 1999년 대우 그룹의 공중분해로 다시 쌍용차가 되면서 잠깐 동안 대우자동차의 엠블럼을 부착한 시절이 있었다. 당시 벤츠 부란자에서 국산 부란자로 변경하면서 생산단가를 낮추었지만, 동시에 내구성도 낮아져 단점으로 지적되었다.<ref>다키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667040&memberNo=23315462 벤츠와 함께 했던 럭셔리 SUV 무쏘 이야기]〉, 《네이버포스트》, 2017-07-17</ref>  
 
최초 출시된 무쏘는 여러모로 SUV 시장에 큰 돌풍을 일으켰다. 엔진은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직수입한 2.9L 디젤엔진을 탑재하여 101~120 마력에 21.5~25.5kg.m토크 성능을 갖추고 있었다. 디자인의 경우 갤로퍼와 같이 박스 형태의 투박한 디자인을 벗어나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룬 참신한 모습으로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이 때문인지 1994년-1996년 영국 버밍엄 모터쇼에서 4륜 구동 부문 오토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구형 무쏘는 국내 다른 완성차 제조사들보다 품질이 뒤떨어졌다.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들쑥날쑥했으며, 완성도 낮은 플라스틱 내장재가 단점으로 손꼽혔다. 게다가 쌍용은 메르세데스 벤츠 특유의 차량 제어방식인 진공제어방식을 채택하여 프리휠 허브의 작동을 조절했지만, 고무호스 결함으로 진공이 새는 등 품질 측면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1995년 이후 쌍용은 메르세데스 벤츠로부터 엔진 면허생산 권한을 획득했고, 엔진을 국내 생산 체제로 전환시켰다. 그리고 여러 결함 문제를 대거 수정하여 완성도를 올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자인의 경우 테일램프, 방향지시등이 노란색으로 변경되었다. 등화관제등이 포함되어있던 마지막 모델이다. 1998년 무쏘는 페이스 리프트를 대대적으로 거치게 된다, 모든 디젤 엔진 모델에는 터보 인터쿨러가 기본으로 장착되었고, 메르세데스 벤츠의 기계식 4단 자동변속기와 비트라 전자식 4단 변속기가 혼용되었다. 메르세데스 벤츠 변속기가 장착된 뉴 무쏘는 2세대 초창기에만 생산되어 극소수의 뉴 무쏘 오너들만 소유하고 있다. 외부디자인은 직선 위주의 디자인에 곡선 요소를 다수 첨가하여 전작에 비해 더 부드러워졌다. 그릴은 벤츠와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었으며 기존의 쌍용 로고가 새겨진 그릴도 2002년까지 제공되었다. 1998년 쌍용차가 대우에 인수되었고 1999년 대우 그룹의 공중분해로 다시 쌍용차가 되면서 잠깐 동안 대우자동차의 엠블럼을 부착한 시절이 있었다. 당시 벤츠 부란자에서 국산 부란자로 변경하면서 생산단가를 낮추었지만, 동시에 내구성도 낮아져 단점으로 지적되었다.<ref>다키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667040&memberNo=23315462 벤츠와 함께 했던 럭셔리 SUV 무쏘 이야기]〉, 《네이버포스트》, 2017-07-17</ref>  
  
142번째 줄: 140번째 줄:
 
|align=center|자동
 
|align=center|자동
 
|}<ref>쌍용자동차 공식 사이트 - http://www.smotor.com/kr/</ref>
 
|}<ref>쌍용자동차 공식 사이트 - http://www.smotor.com/kr/</ref>
 
== 동영상 ==
 
<youtube>0yASPtRET5g</youtube>
 
<youtube>8jz3gfJ1uPE</youtube>
 
  
 
{{각주}}
 
{{각주}}
161번째 줄: 155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쌍용자동차㈜]]
 
* [[쌍용자동차㈜]]
* [[현대 갤로퍼]]
+
* [[갤로퍼]]
* [[쌍용 코란도]]
 
* [[쌍용 코란도 스포츠]]
 
* [[쌍용 렉스턴]]
 
* [[쌍용 렉스턴 스포츠]]
 
  
{{한국 자동차|검토 필요}}
+
{{자동차 종류|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