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엔에이치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씨엔에이치티 로고.png|썸네일|200픽셀|'''씨엔에이치티'''(CNHT)]]
 
[[파일:씨엔에이치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씨엔에이치티'''(CNHT)]]
 
 
 
[[파일:CNHT.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CNHT의 기본]]
 
[[파일:CNHT.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CNHT의 기본]]
  
39번째 줄: 36번째 줄:
 
  “CNHT의 출시는 미국 달러, 유로화 등 기존의 전통적인 자산을 디지털로 연동하는 테더의 역량이 한층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 테더 공식 발표문
 
  “CNHT의 출시는 미국 달러, 유로화 등 기존의 전통적인 자산을 디지털로 연동하는 테더의 역량이 한층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 테더 공식 발표문
  
그러나 CNHT의 출시에 대해서 기대보다는 우려가 더 큰 분위기이다. 디지털 자산 전문업체인 체인파트너스가 9월 2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테더는 암호화폐 매매를 금지하는 중국에서 장외거래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그러면서 [[체인파트너스]]는 "(중국 등의) 국가가 보기에는 민간 기업이 화폐를 발행하면서 중앙은행을 따라하는 것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며 "국가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민간 기업을 철저히 통제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전체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테더라 할지라도 중국 당국의 눈치를 안 볼 수는 없다는 평가이다. 결정적으로 중국 당국이 외국 프로젝트가 출시하는 [[위안]]화 기반 암호화폐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어 CNHT의 앞날은 불투명하다. 그뿐만이 아니다. 중국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출시 계획을 발표한 것이 CNHT에게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위안화에 기반한 디지털 화폐를 중국의 '블랙 프라이데이(일년 중 최고 매출을 올리는 쇼핑 날)'인 11월 11일 광군제에 [[알리바바]], [[텐센트]]를 통해 유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그러나 CNHT의 출시에 대해서 기대보다는 우려가 더 큰 분위기이다. 디지털 자산 전문업체인 체인파트너스가 9월 2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테더는 암호화폐 매매를 금지하는 중국에서 장외거래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그러면서 [[체인파트너스]]는 "(중국 등의) 국가가 보기에는 민간 기업이 화폐를 발행하면서 중앙은행을 따라하는 것이 불편할 수밖에 없다"며 "국가는 스테이블 코인으 발행하는 민간 기업을 철저히 통제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렇기 떄문에 아무리 전체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테더라 할지라도 중국 당국의 눈치를 안 볼 수는 없다는 평가이다. 결정적으로 중국 당국이 외국 프로젝트가 출시하는 [[위안]]화 기반 암호화폐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어 CNHT의 앞날은 불투명하다. 그뿐만이 아니다. 중국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출시 계획을 발표한 것이 CNHT에게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위안화에 기반한 디지털 화폐를 중국의 '블랙 프라이데이(일년 중 최고 매출을 올리는 쇼핑 날)'인 11월 11일 광군제에 [[알리바바]], [[텐센트]]를 통해 유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체인파트너스는 CNHT가 성공하려면 테더의 신뢰성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들은 "스테이블 코인이 원칙적으로 고정된 화폐 및 자산과 1대 1로 교환 되어야 하는데 이런 원칙이 지켜지면 신뢰에 문제가 생긴다"라고 하며 "스테이블 코인이 연동된 법정화폐나 자산과 가격 괴리가 생기만 가치가 안정적인 스테이블 코인의 특징 역시 무색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f>〈[https://hkbnews.com/article/view/4257 테더가 내놓은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CNHT’…성공 여부는?]〉,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9-10</ref>
 
그러면서 체인파트너스는 CNHT가 성공하려면 테더의 신뢰성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들은 "스테이블 코인이 원칙적으로 고정된 화폐 및 자산과 1대 1로 교환 되어야 하는데 이런 원칙이 지켜지면 신뢰에 문제가 생긴다"라고 하며 "스테이블 코인이 연동된 법정화폐나 자산과 가격 괴리가 생기만 가치가 안정적인 스테이블 코인의 특징 역시 무색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f>〈[https://hkbnews.com/article/view/4257 테더가 내놓은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CNHT’…성공 여부는?]〉, 《한국블록체인뉴스》, 2019-09-10</ref>
48번째 줄: 45번째 줄:
  
 
그러나 전망이 불확실한 점은 여전하다. 우선 테더는 CNHT를 출시한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 외에 해당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자오둥 역시 자신이 세운 거래소 런런비트(RenrenBit)가 CNHT를 취급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정확히 어떤 거래소가 CNHT를 취급하게 될 지는 아직 말하지 않았다.  그에 더해 테더가 CNHT를 위안화로 바꿀 만큼 충분한 위안화를 보유하고 있는지 조차도 명확하지 않다. 이에 대해 자오둥은 이전에 [[벨기에]]의 한 은행에 테더가 예치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ref> Nikhilesh De, 〈[https://www.coindeskkorea.com/56339/ 테더, 중국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CNHT 출시 ]〉,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9-17</ref>
 
그러나 전망이 불확실한 점은 여전하다. 우선 테더는 CNHT를 출시한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 외에 해당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자오둥 역시 자신이 세운 거래소 런런비트(RenrenBit)가 CNHT를 취급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정확히 어떤 거래소가 CNHT를 취급하게 될 지는 아직 말하지 않았다.  그에 더해 테더가 CNHT를 위안화로 바꿀 만큼 충분한 위안화를 보유하고 있는지 조차도 명확하지 않다. 이에 대해 자오둥은 이전에 [[벨기에]]의 한 은행에 테더가 예치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ref> Nikhilesh De, 〈[https://www.coindeskkorea.com/56339/ 테더, 중국 위안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CNHT 출시 ]〉,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9-17</ref>
 
이후 2019년 9월 22일, 테더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500만 위안 규모의 CNHT를 신규 발행했다. 한편, 지난 9월 10일 테더는 2,000만 CNHT를 발행한 적이 있다. 이로 인해 22알까지 역외 위안화 스테이블코인인 CNHT의 발행량은 총 2,500만 개다.<ref>〈[https://kr.coinness.com/news/405580 테더, 이더리움 네트워크서 500만 CNHT 추가 발행]〉, 《코인니스》, 2019-09-22</ref>
 
  
 
== 전망 ==
 
== 전망 ==
68번째 줄: 63번째 줄:
 
* [[자오동]]   
 
* [[자오동]]   
  
 +
{{로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