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도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아스팔트 도로'''(asphalt road)[[아스팔트]]가 깔린 [[포장도로]]를 말한다.
+
'''아스팔트 도로'''는 아스팔트가 깔린 포장도로를 말한다.
  
 
==개요==  
 
==개요==  
아스팔트 [[도로]]에 재료인 [[아스팔트]]는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어두운 색을 띠는 [[탄화수소]] 화합물이다. 고온에서는 액체 상태였다가 기온이 떨어지면 매우 단단해진다. 또 가소성, 방수성, 전기절연성, 접착성 등이 뛰어나 방수제 등으로도 많이 쓰인다.<ref>https://blog.lgchem.com/2016/04/cement-and-asphalt/</ref> 그리고 아스팔트 도로는 아스팔트 혼합물로 표면을 덮은 도로포장을 가리킨다. 일반적인 구조는 아스팔트 표층과 기층, 그 밑에 있는 상층 노반 및 하층 노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중재하에 의해서 생기는 응력을 각 층에 분산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층 구성과 두께는 역학적 균형을 유지하고 교통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표층과 기층은 쇄석·모래·석분과 아스팔트를 가열·혼합하여 이것을 고르게 갈아 롤러로 단단히 다진 것이다.<ref>〈[https://blog.bullsone.com/2603 달릴 때 더 조용한 도로는? 아스팔트포장도로VS콘크리트포장도로]〉, 《불스원 블로그》,  2021-01-06</ref>
+
아스팔트 [[도로]]에 재료인 아스팔트는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어두운 색을 띠는 탄화수소 화합물이다. 고온에서는 액체 상태였다가 기온이 떨어지면 매우 단단해진다. 또 가소성, 방수성, 전기절연성, 접착성 등이 뛰어나 방수제 등으로도 많이 쓰인다.https://blog.lgchem.com/2016/04/cement-and-asphalt/ 그리고 아스팔트 도로는 아스팔트 혼합물로 표면을 덮은 도로포장을 가리킵니다. 일반적인 구조는 아스팔트 표층과 기층, 그 밑에 있는 상층 노반 및 하층 노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중재하에 의해서 생기는 응력을 각 층에 분산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층 구성과 두께는 역학적 균형을 유지하고 교통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표층과 기층은 쇄석·모래·석분과 아스팔트를 가열·혼합하여 이것을 고르게 갈아 롤러로 단단히 다진 것이다.<ref>〈[https://blog.bullsone.com/2603 달릴 때 더 조용한 도로는? 아스팔트포장도로VS콘크리트포장도로]〉, 《불스원 블로그》,  2021-01-06</ref>
 +
 
  
 
==역사==
 
==역사==
[[아스팔트]]가 기원전 3천 년 경부터 쓰였다. 아스팔트는 자연적으로 농축된 형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특히 [[바다]]나 [[호수]] 바닥의 [[진흙]]에 함께 쌓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도 트리니다드토바고의 Pitch 호수나 [[베네수엘라]]의 Bermudez 호수 같은 곳에서 아스팔트가 발견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인은 주로 [[사해]](Dead sea)에서, 로마인은 아스팔트 호수(Palus As phaltites)에서 아스팔트를 얻어 무기나 건물 같은 곳에 바르는 방수제, 접착제로 활용하였다. 그렇게 오랜 기간 인류에 의해 유용하게 사용되었던 아스팔트는 1800년대가 되어서야 바닥이나 길의 포장재로 관심받기 시작했다. 진정한 최초의 아스팔트 도로 포장은 1870년, Edmund J. DeSmedt 라는 벨기에 화학자가 미국 뉴욕 시청 앞에서 이루어 냈다. 이 후 아스팔트 산업은 크게 발전하게 되었고 1907년이 되어서야 원유로부터 얻어낸 아스팔트의 생산량이 천연으로부터 얻은 아스팔트의 생산량을 넘어섰다. 산업적으로 생산된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깔린 아스팔트 도로는 [[자동차]]의 [[고속주행]]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후 아스팔트 산업의 빠른 발전으로 전 세계 도로에는 아스팔트가 깔리기 시작했고, 아스팔트 도로는 오늘날 미국 포장 도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역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 이후로 본격적인 도로포장 인프라를 갖추기 시작했다. 국가 경제력이 강화되며 자연스럽게 도로들의 건설 및 포장이 동반되었다. 2018년 말 기준 전국에 개통된 도로 길이만 102,465km나 되며 이중 포장 도로는 95,524km로 전체 도로의 93.2%를 차지하고 있다.<ref>GS칼텍스,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asphalt/ [에너지라이프] 도로는 과학이다, 아스팔트]〉, 《gs칼텍스 미디어 허브》,  2019-10-02</ref>
+
아스팔트가 기원전 3천 년 경부터 쓰였다. 아스팔트는 자연적으로 농축된 형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특히 바다나 호수 바닥의 진흙에 함께 쌓여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도 트리니다드토바고의 Pitch 호수나 베네수엘라의 Bermudez 호수 같은 곳에서 아스팔트가 발견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인은 주로 사해(Dead sea)에서, 로마인은 아스팔트 호수(Palus As phaltites)에서 아스팔트를 얻어 무기나 건물 같은 곳에 바르는 방수제, 접착제로 활용하였다. 그렇게 오랜 기간 인류에 의해 유용하게 사용되었던 아스팔트는 1800년대가 되어서야 바닥이나 길의 포장재로 관심받기 시작했다. 진정한 최초의 아스팔트 도로 포장은 1870년, Edmund J. DeSmedt 라는 벨기에 화학자가 미국 뉴욕 시청 앞에서 이루어 냈다. 이 후 아스팔트 산업은 크게 발전하게 되었고 1907년이 되어서야 원유로부터 얻어낸 아스팔트의 생산량이 천연으로부터 얻은 아스팔트의 생산량을 넘어섰다. 산업적으로 생산된 아스팔트를 이용하여 깔린 아스팔트 도로는 [[자동차]]의 [[고속주행]]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후 아스팔트 산업의 빠른 발전으로 전 세계 도로에는 아스팔트가 깔리기 시작했고, 아스팔트 도로는 오늘날 미국 포장 도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역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 이후로 본격적인 도로포장 인프라를 갖추기 시작했다. 국가 경제력이 강화되며 자연스럽게 도로들의 건설 및 포장이 동반되었다. 2018년 말 기준 전국에 개통된 도로 길이만 102,465km나 되며 이중 포장 도로는 95,524km로 전체 도로의 93.2%를 차지하고 있다.<ref>GS칼텍스,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asphalt/ [에너지라이프] 도로는 과학이다, 아스팔트]〉, 《gs칼텍스 미디어 허브》,  2019-10-02</ref>
  
 
==구조==
 
==구조==
 
===표층===
 
===표층===
[[표층]]은 포장의 최상부에 있으며, 가열아스팔트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표층은 교통하중을 분산 시켜 밑의 층으로 전달하는 역학적인 기능과 교통차량에 의한 마모와 괘적 주행이 가능한 평탄성, 그리고 미끄럼 저항성 등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과거에는 빗물이 하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강조되어 불투수성 재료가 우선 포설되었으나 최근에는 투수성 포장이 도입되어 설계자가 다양한 층구조와 배수 시설 등 소요조건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
표층은 포장의 최상부에 있으며, 가열아스팔트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표층은 교통하중을 분산 시켜 밑의 층으로 전달하는 역학적인 기능과 교통차량에 의한 마모와 괘적 주행이 가능한 평탄성, 그리고 미끄럼 저항성 등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과거에는 빗물이 하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강조되어 불투수성 재료가 우선 포설되었으나 최근에는 투수성 포장이 도입되어 설계자가 다양한 층구조와 배수 시설 등 소요조건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기층===
 
===기층===
82번째 줄: 83번째 줄:
 
*'''온도영향''' : '2011 도로포장 설계법'에서 온도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는 지난 10년 동안의 국내 76개 기상관측소 자료이다. 이를 프로그램 내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기상자료는 매월 최고 기온, 최저 기온, 평균 온도, 강수량을 포함한다. 각 기상관측소의 대기온도 자료와 설계 프로그램 내의 온도 예측 모듈을 이용하여 시간별, 일별, 월별, 계절별로 포장체 표면 및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한다.  
 
*'''온도영향''' : '2011 도로포장 설계법'에서 온도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는 지난 10년 동안의 국내 76개 기상관측소 자료이다. 이를 프로그램 내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기상자료는 매월 최고 기온, 최저 기온, 평균 온도, 강수량을 포함한다. 각 기상관측소의 대기온도 자료와 설계 프로그램 내의 온도 예측 모듈을 이용하여 시간별, 일별, 월별, 계절별로 포장체 표면 및 내부의 온도분포를 예측한다.  
  
*'''노상 함수비 변화''' : 노상 함수량의 변화는 노상 탄성계수를 변화를 시켜 포장 공용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장마와 같은 장기 강우기간에는 노상토의 함수량이 평균 함수량보다 높아서 노상토의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동절기에는 빈약한 강수량과 섭씨 영하 0℃ 이하로 떨어지는 대기온도 조건으로 인해 노상토의 함수량이 평균 함수량보다 낮아서 노상토의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노상 탄성계수에 영향을 주는 함수비를 설계 입력변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같이 함수비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설계 프로그램에 탑재하였다.
+
*'''노상 함수비 변화 : 노상 함수량의 변화는 노상 탄성계수를 변화를 시켜 포장 공용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장마와 같은 장기 강우기간에는 노상토의 함수량이 평균 함수량보다 높아서 노상토의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동절기에는 빈약한 강수량과 섭씨 영하 0℃ 이하로 떨어지는 대기온도 조건으로 인해 노상토의 함수량이 평균 함수량보다 낮아서 노상토의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노상 탄성계수에 영향을 주는 함수비를 설계 입력변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같이 함수비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설계 프로그램에 탑재하였다.
  
 
*'''동결지수''' : 동결지수는 기존 설계법의 동결지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되지만, 동결지수선도 등은 기상관측소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어 반영된다.
 
*'''동결지수''' : 동결지수는 기존 설계법의 동결지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되지만, 동결지수선도 등은 기상관측소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어 반영된다.
112번째 줄: 113번째 줄: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https://blog.bullsone.com/2603 달릴 때 더 조용한 도로는? 아스팔트포장도로VS콘크리트포장도로]〉, 《불스원 블로그》,  2021-01-06
 
*〈[https://blog.bullsone.com/2603 달릴 때 더 조용한 도로는? 아스팔트포장도로VS콘크리트포장도로]〉, 《불스원 블로그》,  2021-01-06
 
* GS칼텍스,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asphalt/ [에너지라이프] 도로는 과학이다, 아스팔트]〉, 《gs칼텍스 미디어 허브》,  2019-10-02
 
* GS칼텍스,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asphalt/ [에너지라이프] 도로는 과학이다, 아스팔트]〉, 《gs칼텍스 미디어 허브》,  2019-10-02
 
*〈도로설계편람〉, 《국토해양부》
 
*〈도로설계편람〉, 《국토해양부》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아스팔트]]
 
 
* [[도로]]
 
* [[도로]]
* [[콘크리트]]
 
 
* [[콘크리트 도로]]
 
* [[콘크리트 도로]]
* [[아스팔트 콘크리트]]
 
 
* [[통행량]]
 
* [[통행량]]
  
 
{{도로|검토 필요}}
 
{{도로|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