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랜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알고랜드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알고랜드'''(Algorand)]]
 
[[파일:알고랜드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알고랜드'''(Algorand)]]
 
[[파일:알고랜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고랜드'''(Algorand)]]
 
[[파일:알고랜드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고랜드'''(Algorand)]]
 
+
[[파일:실비오 미칼리.jpg|썸네일|200픽셀|'''[[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파일:실비오 미칼리.jpg|썸네일|200픽셀|'''[[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알고랜드 창시자]]
 
[[파일:라이언 폭스.jpg|썸네일|200픽셀|'''[[라이언 폭스]]'''(Ryan Fox) 알고랜드 선입개발자]]
 
  
 
'''알고랜드'''(Algorand)는 블록체인의 [[트릴레마]]인 [[탈중앙화]], [[확장성]], [[보안]]의 3중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알고랜드는 무허가형 순수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알고랜드의 창시자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미국 MIT 명예 교수이다. 알고랜드에 대해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 [[노드]] 참여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는 알고랜드와 같은 방식의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알고랜드'''(Algorand)는 블록체인의 [[트릴레마]]인 [[탈중앙화]], [[확장성]], [[보안]]의 3중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이다. 알고랜드는 무허가형 순수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알고랜드의 창시자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미국 MIT 명예 교수이다. 알고랜드에 대해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블록체인 [[노드]] 참여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않는 알고랜드와 같은 방식의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11번째 줄: 9번째 줄: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 알고랜드의 창시자이다. 그는 [[로마 대학교]](University of Rome)에서 수학 라우레아 학위(Laurea)와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컴퓨터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83년부터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전기 공학 및 컴퓨터과학 학부의 교수로 재직해 왔다. 그의 주 연구 분야는 [[암호학]], [[영증명지식]], 의사 난수 생성, 보안 프로토콜 및 메커니즘 설계다. 2017년 그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알고랜드(Algorand)를 설립하여 탈중앙적 경제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구축했다. 알고랜드에서 그는 이론, 보안, 암호화 금융을 비롯한 모든 연구를 감독하고 있다. 또한 그는 튜링 상(컴퓨터 과학 분야), 괴델 상(이론 컴퓨터 과학 분야), RSA 상(암호학)을 수상한 바 있으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국립 공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린체이 학술원의 회원이기도 하다.
+
*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 [[실비오 미칼리]]는 알고랜드의 창시자이다. 그는 [[로마 대학교]](University of Rome)에서 수학 라우레아 학위(Laurea)와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컴퓨터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83년부터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전기 공학 및 컴퓨터과학 학부의 교수로 재직해 왔다. 그의 주 연구 분야는 [[암호학]], [[영증명지식]], 의사 난수 생성, 보안 프로토콜 및 메커니즘 설계다. 2017년 그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알고랜드(Algorand)를 설립하여 탈중앙적 경제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구축했다. 알고랜드에서 그는 이론, 보안, 암호화 금융을 비롯한 모든 연구를 감독하고 있다. 또한 그는 튜링 상(컴퓨터 과학 분야), 괴델 상(이론 컴퓨터 과학 분야), RSA 상(암호학)을 수상한 바 있으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국립 공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린체이 학술원의 회원이기도 하다.
  
* '''[[스티븐 코키노스]]'''(Steve Kokinos) : 알고랜드의 최고경영자로서 사업 전략 수립을 맡고 있다. 스티브는 다수의 스타트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연쇄 창업가’로 최근에는 [[퓨즈]](Fuze)의 공동 창업자 겸 집행위원장으로서 기업 전략을 담당했다. 스티브는 파트너십 추진, 비즈니스 빌딩, 프로세스 개선 등을 통해 퓨즈의 전략을 이끌었고 현재 퓨즈는 700명이 넘는 직원을 통해 전 세계 1,500개 이상의 기업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퓨즈 이전에 스티븐은 [[제너럴 일렉트로닉스]](GE), [[타임 워너]](Time Warner), [[마이크로소프트]], [[스프린트]](Sprint) 등 500대 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 자동화 시장의 선두 기업인 [[블레이드로직]](BladeLogic, Inc.)을 공동 창업했다. 또한 그는 [[선 마이크로시스템]](Sun Microsystems), [[넷스케이프]], [[라이코스]] 등의 [[인프라]] 서비스 제공자였던 웹호스팅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분야의 초기 선두 업체인 [[웹예스]](Web Yes, Inc.)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였다.  
+
* '''[[스티븐 코키노스]]'''(Steve Kokinos) : [[스티븐 코키노스]]는 알고랜드의 최고경영자(CEO)로서 사업 전략 수립을 맡고 있다. 스티브는 다수의 스타트업을 성공적으로 이끈 ‘연쇄 창업가’로 최근에는 [[퓨즈]](Fuze)의 공동 창업자 겸 집행위원장으로서 기업 전략을 담당했다. 스티브는 파트너십 추진, 비즈니스 빌딩, 프로세스 개선 등을 통해 퓨즈의 전략을 이끌었고 현재 퓨즈는 700명이 넘는 직원을 통해 전 세계 1,500개 이상의 기업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퓨즈 이전에 스티븐은 [[제너럴 일렉트로닉스]](GE), [[타임 워너]](Time Warner), [[마이크로소프트]], [[스프린트]](Sprint) 등 500대 기업을 고객으로 하는 데이터 센터 자동화 시장의 선두 기업인 [[블레이드로직]](BladeLogic, Inc.)을 공동 창업했다. 또한 그는 [[선 마이크로시스템]](Sun Microsystems), [[넷스케이프]], [[라이코스]] 등의 [[인프라]] 서비스 제공자였던 웹호스팅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분야의 초기 선두 업체인 [[웹예스]](Web Yes, Inc.)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였다.  
  
* '''[[숀 포드]]'''(W. Sean Ford) : 알고랜드의 최고운영책임자로서 제품 관리, 엔지니어링, 마케팅 및 글로벌 커뮤니티 개발을 포함한 시장 진출 전략 실행과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윌리엄스 대학]](Williams College)에서 영문학 학사를,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MBA)를 취득했다. 숀은 7년간 모니터 그룹(Monitor Group)의 전략 컨설턴트로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1999년에는 [[유프러미스]](Upromise, Inc)를 공동 창업하기도 했다. 알고랜드(Algorand) 팀 합류 전에는 [[로그미인]](LogMeIn)에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제품 마케팅, 전자 상거래,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리더십을 담당하는 최고 마케팅 책임자(CMO)를 역임했었다. 또한 지맥스(Zmags)의 CMO 겸 COO, 싱크소트(Syncsort) CMO를 비롯하여 오라클 글로벌 사업부(Global Business Unit, GBU) 부사장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ref name="알고랜드블로그">algorandmarketing, 〈[https://blog.naver.com/algorandmarketing/221433211050 알고랜드(Algorand) 팀 소개, 국경없는 경제를 실현시키는 사람들]〉, 《네이버 블로그》, 2019-01-03</ref>
+
* '''[[숀 포드]]'''(W. Sean Ford) : [[W. 숀 포드]]는 알고랜드의 최고운영책임자(COO)로서 제품 관리, 엔지니어링, 마케팅 및 글로벌 커뮤니티 개발을 포함한 시장 진출 전략 실행과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윌리엄스 대학]](Williams College)에서 영문학 학사를,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MBA)를 취득했다. 숀은 7년간 모니터 그룹(Monitor Group)의 전략 컨설턴트로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1999년에는 [[유프러미스]](Upromise, Inc)를 공동 창업하기도 했다. 알고랜드(Algorand) 팀 합류 전에는 [[로그미인]](LogMeIn)에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제품 마케팅, 전자 상거래,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리더십을 담당하는 최고 마케팅 책임자(CMO)를 역임했었다. 또한 지맥스(Zmags)의 CMO 겸 COO, 싱크소트(Syncsort) CMO를 비롯하여 오라클 글로벌 사업부(Global Business Unit, GBU) 부사장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ref name="알고랜드블로그">algorandmarketing, 〈[https://blog.naver.com/algorandmarketing/221433211050 알고랜드(Algorand) 팀 소개, 국경없는 경제를 실현시키는 사람들]〉, 《네이버 블로그》, 2019-01-03</ref>
  
* '''[[파블로 아자르]]'''(Pablo Azar) : 알고랜드의 최고경제책임자다. 그는 알고랜드가 분산 경제 시스템에서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어 경제 정책 방향을 이끄는 책임을 맡게 되었다. 두 개의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박사학위를 가진 아자르는 컴퓨터 공학과 암호화 기법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더 향상된 시장 구조를 창출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또한 그는 알고랜드의 경제 정책의 가시성을 확대하고 개발자들이 알고랜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툴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맡았다.<ref>뉴스와이어, 〈[https://blog.naver.com/newswire1/221421701465 알고랜드, 최고 경제책임자에 파블로 아자르 임명]〉, 《네이버 블로그》, 2018-12-18</ref>
+
* '''[[파블로 아자르]]'''(Pablo Azar) : [[파블로 아자르]]는 알고랜드의 최고경제책임자(CE)로 선임되었다. 그는 알고랜드가 분산 경제 시스템에서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데 있어 경제 정책 방향을 이끄는 책임을 맡게 되었다. 두 개의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박사학위를 가진 아자르는 컴퓨터 공학과 암호화 기법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더 향상된 시장 구조를 창출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또한 그는 알고랜드의 경제 정책의 가시성을 확대하고 개발자들이 알고랜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툴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맡았다.<ref>뉴스와이어, 〈[https://blog.naver.com/newswire1/221421701465 알고랜드, 최고 경제책임자에 파블로 아자르 임명]〉, 《네이버 블로그》, 2018-12-18</ref>
  
* '''[[모리스 헐리히]]'''(Maurice Herlihy) : 알고랜드의 기술고문으로서, SDK와 테스트넷 기술을 검토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메사추세츠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컴퓨터 과학계 전문가다.<ref>백아란 기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86950 알고랜드, 기술고문에 모리스 헐리히 교수 영입]〉, 《뉴스토마토》, 2019-04-05</ref>
+
* '''[[모리스 헐리히]]'''(Maurice Herlihy) : [[모리스 헐리히]]는 기술고문으로 선임되어 고 SDK와 테스트넷 기술을 검토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메사추세츠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컴퓨터 과학계 전문가다.<ref>백아란 기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86950 알고랜드, 기술고문에 모리스 헐리히 교수 영입]〉, 《뉴스토마토》, 2019-04-05</ref>
  
* '''[[라이언 폭스]]'''(Ryan Fox) : 알고랜드의 선임개발자 애드보케이트이다. [[보스턴블록체인협회]](Boston Blockchain Association)의 이사회 구성원이기도 하다. 그는 2013년부터 오픈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기여해왔다. 알고랜드에 합류하기 전 그는 [[비트셰어]](BitShares)의 개발 코디네이터로서 프로토콜 개발팀을 이끌었고, 그 전에는 [[웰스파고]](Wells Fargo)와 [[벨뱅크]](Bell Bank)를 포함한 금융서비스업, 주택담보대출업, 학계 소속 혁신팁의 창시자 및 고문으로 20년 간 활동했다. 한편 라이언 폭스는 미국 [[위스콘신 화이트워터 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Whitewater) 컴퓨터 시스템 관리 경영학 학사를 받았다.
+
* '''[[징 첸]]'''(Jing Chen) : [[징 첸]]은 알고랜드(Algorand)수석과학자이다. 중국 [[칭화대학]](Tsinghua University)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를 졸업했다.
 
 
* '''[[징 첸]]'''(Jing Chen) : 알고랜드의 수석과학자이다. 중국 [[칭화대학]](Tsinghua University)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를 졸업했다.
 
  
 
== 역사 ==
 
== 역사 ==
45번째 줄: 41번째 줄:
  
 
== 특징 ==
 
== 특징 ==
 +
 
=== 순수지분증명(PPoS) 알고리즘 ===
 
=== 순수지분증명(PPoS) 알고리즘 ===
 
알고랜드는 [[순수지분증명]](PPo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알고랜드 블록체인의 거래는 1000명의 위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들은 블록체인에 참여한 [[노드]]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발되고 선발 확률은 자신이 보유한 토큰 개수에 비례해 높아진다. 토큰 보유량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크고 작은 노드가 있을 수는 있지만, 권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은 아니다. 검증 위원은 비밀리에 선발된다. 선발된 노드가 누구인지는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네트워크에 전파한 이후 공개된다. 공개된 직후에는 또 다시 새로운 위원회가 무작위로 선발된다. 그런 과정이 규칙적으로 이뤄지지만 선발은 무규칙적이다.<ref>YH, 〈[https://blog.naver.com/yunho85/221521848575 블록체인 트릴레마와 알고랜드 알고리즘]〉, 《네이버 블로그》, 2019-04-24</ref> 즉, 블록 생성이 1000만분의 1초마다 이뤄지고 매번 1000명이 참여하는 위원회 구성이 바뀌기 때문에 공격당할 틈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채굴에 따른 보상이 따로 없어 채굴에 필요한 자원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채굴 수준은 간단한 덧셈 수준의 매우 쉬운 난도로 설정하며 1000명의 위원회를 통해 보안을 유지한다.<ref>생각이자라는나무, 〈[https://lemonyouth.blog.me/221452459054 암호화폐 3가지 난제 해결, 튜링 상 수상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 비트코인 대안화폐 알고랜드]〉, 《네이버 블로그》, 2019-01-27</ref>
 
알고랜드는 [[순수지분증명]](PPo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알고랜드 블록체인의 거래는 1000명의 위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들은 블록체인에 참여한 [[노드]]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발되고 선발 확률은 자신이 보유한 토큰 개수에 비례해 높아진다. 토큰 보유량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크고 작은 노드가 있을 수는 있지만, 권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은 아니다. 검증 위원은 비밀리에 선발된다. 선발된 노드가 누구인지는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네트워크에 전파한 이후 공개된다. 공개된 직후에는 또 다시 새로운 위원회가 무작위로 선발된다. 그런 과정이 규칙적으로 이뤄지지만 선발은 무규칙적이다.<ref>YH, 〈[https://blog.naver.com/yunho85/221521848575 블록체인 트릴레마와 알고랜드 알고리즘]〉, 《네이버 블로그》, 2019-04-24</ref> 즉, 블록 생성이 1000만분의 1초마다 이뤄지고 매번 1000명이 참여하는 위원회 구성이 바뀌기 때문에 공격당할 틈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채굴에 따른 보상이 따로 없어 채굴에 필요한 자원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채굴 수준은 간단한 덧셈 수준의 매우 쉬운 난도로 설정하며 1000명의 위원회를 통해 보안을 유지한다.<ref>생각이자라는나무, 〈[https://lemonyouth.blog.me/221452459054 암호화폐 3가지 난제 해결, 튜링 상 수상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 비트코인 대안화폐 알고랜드]〉, 《네이버 블로그》, 2019-01-27</ref>
116번째 줄: 113번째 줄:
 
* [[네이베드 이사눌라]]
 
* [[네이베드 이사눌라]]
 
* [[피에트로 그라사노]]
 
* [[피에트로 그라사노]]
* [[라이언 폭스]]
 
 
* [[트릴레마]]
 
* [[트릴레마]]
 
* [[지분증명]]
 
* [[지분증명]]
*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22]]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