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난수생성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2번째 줄: 242번째 줄:
  
 
=== 국외 ===
 
=== 국외 ===
* '''[[중국과학기술대학]]'''
+
*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중국과학기술대학 [[판젠웨이]], [[장쥔]] 연구팀은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68Gbps 고속 양자난수생성기를 개발했다. 그리고 2012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는 6Gps 양자난수생성기 시스템을 개발했다. 68Gbps는 비트 레이트로, 양자난수생성기의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초기의 양자난수생성기는 단일 광자 경로 선택법으로 비트 레이트가 4Mbps에 불과했으나, 비트 레이트가 높은 양자 난수를 얻기 위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판젠웨이 연구팀은 레이저 위상 요동을 기반으로 한 초고속 양자 난수 생성기술을 발전시킨 다음, 피드백을 통해 온도 제어가 필요 없고 안정성은 높은 간섭계를 개발했다. 반도체 레이저에서 자연 방출된 광자의 양자 위상 요동 정보를 강도 정보로 전환하여 표본을 빨리 수집할 수 있다. 또, 레이저의 작업 전류에 대한 체계적인 최적화로, 양자 위상 요동 기여와 전형적인 소음 기여 간 비례를 극대화했다. 최소 엔트로피 모델을 통해 원시 데이터 중 양자 난수 비례 하한선을 확인했다.<ref> 〈[http://kostec.re.kr/%ec%a4%91%ea%b5%ad%ea%b3%bc%ed%95%99%ea%b8%b0%ec%88%a0%eb%8c%80%ed%95%99%ea%b5%90-%ec%84%b8%ea%b3%84-68gbps-%ea%b3%a0%ec%86%8d%ec%96%91%ec%9e%90%eb%82%9c%ec%88%98%ec%83%9d%ec%84%b1%ea%b8%b0-%ea%b0%9c/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세계 68Gbps 고속양자난수생성기 개발]〉,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2015-07-13 </ref> 2018년 9월, [[중국과학기술대학]]의 [[반건위]] 교수와 [[장강]], [[범정운]], [[마웅봉]]은 중국과학원의 상하이 마이크로 시스템 정보기술 연구소와 일본 NTT 기초과학 연구소와 협력하여 고품질의 [[양자얽힘]] 광원과 고효율 단일 광자 검출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얽힘의 본질적인 무작위성을 기반으로, 장치에 무관한 양자 난수가 세계 최초로 실현된 연구이다. 일기 예보, 신약 개발, 신소재 및 핵무기 개발과 같은 수치 시뮬레이션이나 암호학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새로운 국제 표준을 형성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3년 이상이 걸린 연구는 고속 제어와 적절한 공간 거리 설계를 통해 기기와 무관한 양자난수생성기에 필요한 공간 거리 요구를 만족하는 성과를 냈다. 또, 얽힌 광자의 수집과 전송, 변조 등의 효율이 최적화되고 고성능 광원의 고효율 측정을 실현했다. 본 연구는 중국 과학원과 중국 자연과학기금단, 안회성 등의 지원을 받았다.<ref> 동향 상세정보,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trend/trendSearchResultDetail.do?cn=GTB2018004546&detailMode=main&pageCode=PG01 기기에 무관한 양자 난수 생성기를 실현한 중국과학자들]〉,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2018-09-23 </ref><ref> Yang Liu 외 18인,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18-0559-3 Device-independent quantum random-number generation]〉, 《네이처》, 2018-11-19 </ref>
+
:중국과학기술대학교 판젠웨이, 장쥔 연구팀은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68Gbps 고속 양자난수생성기를 개발했다. 그리고 2012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는 6Gps 양자난수생성기 시스템을 개발했다. 68Gbps는 비트 레이트로, 양자난수생성기의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초기의 양자난수생성기는 단일 광자 경로 선택법으로 비트 레이트가 4Mbps에 불과했으나, 비트 레이트가 높은 양자 난수를 얻기 위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판젠웨이 연구팀은 레이저 위상 요동을 기반으로 한 초고속 양자 난수 생성기술을 발전시킨 다음, 피드백을 통해 온도 제어가 필요 없고 안정성은 높은 간섭계를 개발했다. 반도체 레이저에서 자연 방출된 광자의 양자 위상 요동 정보를 강도 정보로 전환하여 표본을 빨리 수집할 수 있다. 또, 레이저의 작업 전류에 대한 체계적인 최적화로, 양자 위상 요동 기여와 전형적인 소음 기여 간 비례를 극대화했다. 최소 엔트로피 모델을 통해 원시 데이터 중 양자 난수 비례 하한선을 확인했다.<ref> 〈[http://kostec.re.kr/%ec%a4%91%ea%b5%ad%ea%b3%bc%ed%95%99%ea%b8%b0%ec%88%a0%eb%8c%80%ed%95%99%ea%b5%90-%ec%84%b8%ea%b3%84-68gbps-%ea%b3%a0%ec%86%8d%ec%96%91%ec%9e%90%eb%82%9c%ec%88%98%ec%83%9d%ec%84%b1%ea%b8%b0-%ea%b0%9c/ 중국과학기술대학교, 세계 68Gbps 고속양자난수생성기 개발]〉,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2015-07-13 </ref> 2018년 9월, 중국과학기술대학교의 반건위 교수와 장강, 범정운, 마웅봉은 중국 과학원의 상하이 마이크로 시스템 정보 기술 연구소와 일본 NTT 기초 과학 연구소와 협력하여 고품질의 양자 얽힘 광원과 고효율 단일 광자 검출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얽힘의 본질적인 무작위성을 기반으로, 장치에 무관한 양자 난수가 세계 최초로 실현된 연구이다. 일기 예보, 신약 개발, 신소재 및 핵무기 개발과 같은 수치 시뮬레이션이나 암호학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새로운 국제 표준을 형성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3년 이상이 걸린 연구는 고속 제어와 적절한 공간 거리 설계를 통해 기기와 무관한 양자난수생성기에 필요한 공간 거리 요구를 만족하는 성과를 냈다. 또, 얽힌 광자의 수집과 전송, 변조 등의 효율이 최적화되고 고성능 광원의 고효율 측정을 실현했다. 본 연구는 중국 과학원과 중국 자연과학기금단, 안회성 등의 지원을 받았다.<ref> 동향 상세정보,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trend/trendSearchResultDetail.do?cn=GTB2018004546&detailMode=main&pageCode=PG01 기기에 무관한 양자 난수 생성기를 실현한 중국과학자들]〉,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2018-09-23 </ref><ref> Yang Liu 외 18인,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18-0559-3 Device-independent quantum random-number generation]〉, 《네이처》, 2018-11-19 </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