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케이하이닉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에스케이하이닉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에스케이하이닉스㈜'''(SK Hynix)]]
 
[[파일:에스케이하이닉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에스케이하이닉스㈜'''(SK Hynix)]]
 
[[파일:에스케이하이닉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하이닉스㈜'''(SK Hynix)]]
 
[[파일:에스케이하이닉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하이닉스㈜'''(SK Hynix)]]
[[파일:에스케이그룹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에스케이그룹]]'''(SK Group)]]
 
  
 
'''에스케이하이닉스㈜'''<!--에스케이하이닉스, 에스케이 하이닉스--> 또는 '''SK하이닉스㈜'''<!--SK 하이닉스-->(SK Hynix)는 1949년 10월에 설립된, [[에스케이그룹]](SK Group) 산하의 [[반도체]] 제조회사이다. 본사는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091에 있으며, 주로 [[디램]](DRAM)과 플래시 메모리 칩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이석희]]'''이다.
 
'''에스케이하이닉스㈜'''<!--에스케이하이닉스, 에스케이 하이닉스--> 또는 '''SK하이닉스㈜'''<!--SK 하이닉스-->(SK Hynix)는 1949년 10월에 설립된, [[에스케이그룹]](SK Group) 산하의 [[반도체]] 제조회사이다. 본사는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091에 있으며, 주로 [[디램]](DRAM)과 플래시 메모리 칩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이석희]]'''이다.
  
 
==개요==  
 
==개요==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이천, 청주의 국내 사업장을 포함하여 중국 우시, 충칭 4곳에 생산기지와 전 세계 4개의 연구개발법인, 10개의 판매법인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모바일과 컴퓨팅 등 각종 IT 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디램]](DRAM)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저소비전력형의 촬상소자(CIS, CMOS Image Sensor)와 같은 시스템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1983년에 현대전자라는 이름으로 설립됐고, 2001년에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에는 최대 주주가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으로 바뀌면서 에스케이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1984년에 국내 최초로 16Kb [[에스램]](SRAM)을 시험 생산했다. 이후 세계 최초, 최소, 최고속, 최저전압 등의 혁신적인 반도체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며 30여 년간의 축적된 반도체 생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를 통해 기술 및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세계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메모리 반도체 및 시스템 반도체이다.<ref name="홈페이지">에스케이하이닉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khynix.com/kor/index.jsp</ref>
+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이천, 청주의 국내 사업장을 포함하여 중국 우시, 충칭 4곳에 생산기지와 전 세계 4개의 연구개발법인, 10개의 판매법인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모바일과 컴퓨팅 등 각종 IT 기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디램]](DRAM)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저소비전력형의 촬상소자(CIS, CMOS Image Sensor)와 같은 시스템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1983년에 현대전자라는 이름으로 설립됐고, 2001년에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에는 최대 주주가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으로 바뀌면서 에스케이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1984년에 국내 최초로 16Kb [[에스램]](SRAM)을 시험 생산했다. 이후 세계 최초, 최소, 최고속, 최저전압 등의 혁신적인 반도체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며 30여 년간의 축적된 반도체 생산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를 통해 기술 및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세계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메모리 반도체 및 시스템 반도체이다.<ref name="홈페이지">〈[https://www.skhynix.com/kor/index.jsp 에스케이하이닉스㈜ 공식 홈페이지]〉, 《에스케이하이닉스㈜》</ref>
  
 
==연혁==
 
==연혁==
51번째 줄: 50번째 줄:
  
 
* '''디디알'''(DDR)  
 
* '''디디알'''(DDR)  
: 에스케이하이닉스㈜에 총 세 가지의 제품으로 구성된 이중 데이터율이다. 디디알5는 애플리케이션에 차세대 메모리로, 고성능 낮은 전력 소모량 및 디디알4보다 더 나은 회복성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이다. 밀도는 16Gb이며, 속도는 4,800Mbps에서 6,400Mbps 이상이고 서버, 네트워킹, 컴퓨터, 소비자들에게 적용된다. 디디알4는 대규모 워크로드를 위한 고성능 메모리로 더욱더 빠른 속도와 적은 전력으로 더 큰 데이터 볼륨 제공한다. 밀도는 4Gb에서 16Gb이며, 속도는 1,600Mbps에서 3,200Mbps이고 디디알5와 동일하게 서버, 네트워킹, 컴퓨터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적용된다. 디디알3는 누출 전류를 제어하는 3차원 트랜지스터로 [[전력]] 소비 최소화하고 디디알2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과 높은 프리패치율로 더욱 강력한 컴퓨터 성능을 지원한다. 밀도는 4Gb이며 [[속도]]는 800Mbps에서 2,133Mbps이고 [[네트워킹]], 소비자, [[자동차]]에 적용된다.
+
: 에스케이하이닉스㈜에 총 세 가지의 제품으로 구성된 이중 데이터율이다. 디디알5는 애플리케이션에 차세대 메모리로, 고성능 낮은 전력 소모량 및 디디알4보다 더 나은 회복성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이다. 밀도는 16Gb이며, 속도는 4,800Mbps에서 6,400Mbps 이상이고 서버, 네트워킹, 컴퓨터, 소비자들에게 적용된다. 디디알4는 대규모 워크로드를 위한 고성능 메모리로 더욱더 빠른 속도와 적은 전력으로 더 큰 데이터 볼륨 제공한다. 밀도는 4Gb에서 16Gb이며, 속도는 1,600Mbps에서 3,200Mbps이고 디디알5와 동일하게 서버, 네트워킹, 컴퓨터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적용된다. 디디알3는 누출 전류를 제어하는 3차원 트랜지스터로 전력 소비 최소화하고 디디알2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과 높은 프리패치율로 더욱 강력한 컴퓨터 성능을 지원한다. 밀도는 4Gb이며 속도는 800Mbps에서 2,133Mbps이고 네트워킹, 소비자, 자동차에 적용된다.
  
 
* '''모바일용 디디알'''(LPDDR)
 
* '''모바일용 디디알'''(LPDDR)
78번째 줄: 77번째 줄:
  
 
* '''유에프에스'''(UFS)
 
* '''유에프에스'''(UFS)
: 유에프에스 2.2 버전 및 3.1 버전은 128단 V6 유에프에스 3.1로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을 지원하고 광범위한 국제 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 표준 유에프에스 3.1 기능을 가진 제품들을 지원한다. 유에프에스 2.2의 밀도는 64-512GB이고 3.1의 밀도는 128-512GB이다. 유에프에스 2.2의 칩 모양과 종류는 11.5x13x1.0 153FBGA이고 3.1은 11.5x13x1.0 153FBGA이다.
+
: 유에프에스 2.2 버전 및 3.1 버전은 128단 V6 유에프에스 3.1로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을 지원하고 광범위한 국제 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 표준 유에프에스 3.1 기능을 가진 제품들을 지원한다. 유에프에스 2.2의 밀도는 64-512GB이고 3.1의 밀도는 128-512GB이다. 유에프에스 2.2의 칩 모양과 종류는 11.5x13x1.0 153FBGA이고 3.1은 11.5x13x1.0 153FBGA이다.
  
 
* '''내장형 멀티미디어카드'''(eMMC)
 
* '''내장형 멀티미디어카드'''(eMMC)
104번째 줄: 103번째 줄:
 
==경영 방침==
 
==경영 방침==
 
===윤리 경영===
 
===윤리 경영===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윤리경영은 조직과 구성원의 비윤리 행위를 예방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윤리적 수준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신뢰를 얻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추구한다. 이러한 윤리경영의 체계는 2000년 6월에 윤리경영을 도입 및 윤리강령 제정을 하였으며, 윤리 규범, 전담 조직, 윤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윤리경영이 기업문화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윤리 규범의 구성체계는 윤리경영선언,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지침으로 구성되어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설정과 유지를 통해 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한 기업의 의사결정 기준인 기업 윤리와 기업의 정책, 규정, 사규, 업무절차를 준수하는 구성원의 의무. 정보보안, 영업비밀보호, 내부자거래 금지, 접대 및 금품수수 금지, 보고의 공정성, 성희롱 금지 등의 구성원 윤리와 그 밖에도 경쟁업체, 지역 및 국제 사회 등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윤리경영을 이어나가고 있다. 윤리경영의 실행요소는 총 세 가지로 구성된 행동기준(CODE)이다. 윤리 규범 및 실천지침을 제정하는 것으로 기업 윤리의 기준이며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는 것이고 구체적이고, 성문화된 구성원의 행동지침을 포함하며 예시로는 윤리 규범과 실천지침 등이 있다. 제도(Compliance)는 운영을 뜻하며,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조직과 각종 제도를 의미한다. 윤리경영 전담조직, 상담 및 제보 처리 기능, 윤리 감사 등이 있다. 공감대(Consensus)는 구성원 공감대를 형성하는 요소이다.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윤리경영의 실천에 대한 구성원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예로는 교육프로그램, 캠페인 활동 등이 해당한다. 윤리경영의 실천 시스템은 윤리강령 및 윤리강령 실천지침을 준수할 의무가 있으며, 윤리경영 실천 다짐을 위해 매년 1회 윤리실천 서약을 하고 있는 윤리실천 서약과 잠재적 윤리 이슈 도출 및 예방, 개선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비윤리 예방 시스템이 있으며 구성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가 자유롭게 윤리경영과 관련된 상담과 비윤리 행위를 신고할 수 있도록 소통 채널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비윤리, 불법 행위 신고자, 상담과 신고 등 내부 고발자의 정당한 제보 및 이와 관련한 진술, 자료 제출 및 제공 등의 이유가 있다. 이는 신고자와 조사에 협조한 자가 신분상의 불이익이나 근무 조건상의 차별 등 보복을 당하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하여 피제보자 및 제 삼자로부터 보복이나 불이익의 우려가 있다. 또한, 실제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윤리경영 담당 조직에 알려 시정 및 보호 조치를 요청할 수 있고, 회사는 접수된 보호 요청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제보자가 피해를 받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 조치 하는 윤리 상담과 제보 채널을 운영 중이다.<ref>에스케이하이닉스㈜ 윤리경영 공식 홈페이지 - https://ethics.skhynix.com/jsp/main.jsp</ref>
+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윤리경영은 조직과 구성원의 비윤리 행위를 예방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윤리적 수준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신뢰를 얻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추구한다. 이러한 윤리경영의 체계는 2000년 6월에 윤리경영을 도입 및 윤리강령 제정을 하였으며, 윤리 규범, 전담 조직, 윤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윤리경영이 기업문화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윤리 규범의 구성체계는 윤리경영선언,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지침으로 구성되어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설정과 유지를 통해 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한 기업의 의사결정 기준인 기업 윤리와 기업의 정책, 규정, 사규, 업무절차를 준수하는 구성원의 의무. 정보보안, 영업비밀보호, 내부자거래 금지, 접대 및 금품수수 금지, 보고의 공정성, 성희롱 금지 등의 구성원 윤리와 그 밖에도 경쟁업체, 지역 및 국제 사회 등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윤리경영을 이어나가고 있다. 윤리경영의 실행요소는 총 세 가지로 구성된 행동기준(CODE)이다. 윤리 규범 및 실천지침을 제정하는 것으로 기업 윤리의 기준이며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는 것이고 구체적이고, 성문화된 구성원의 행동지침을 포함하며 예시로는 윤리 규범과 실천지침 등이 있다. 제도(Compliance)는 운영을 뜻하며,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조직과 각종 제도를 의미한다. 윤리경영 전담조직, 상담 및 제보 처리 기능, 윤리 감사 등이 있다. 공감대(Consensus)는 구성원 공감대를 형성하는 요소이다.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윤리경영의 실천에 대한 구성원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예로는 교육프로그램, 캠페인 활동 등이 해당한다. 윤리경영의 실천 시스템은 윤리강령 및 윤리강령 실천지침을 준수할 의무가 있으며, 윤리경영 실천 다짐을 위해 매년 1회 윤리실천 서약을 하고 있는 윤리실천 서약과 잠재적 윤리 이슈 도출 및 예방, 개선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비윤리 예방 시스템이 있으며 구성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가 자유롭게 윤리경영과 관련된 상담과 비윤리 행위를 신고할 수 있도록 소통 채널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비윤리, 불법 행위 신고자, 상담과 신고 등 내부 고발자의 정당한 제보 및 이와 관련한 진술, 자료 제출 및 제공 등의 이유가 있다. 이는 신고자와 조사에 협조한 자가 신분상의 불이익이나 근무 조건상의 차별 등 보복을 당하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하여 피제보자 및 제 삼자로부터 보복이나 불이익의 우려가 있다. 또한, 실제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윤리경영 담당 조직에 알려 시정 및 보호 조치를 요청할 수 있고, 회사는 접수된 보호 요청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제보자가 피해를 받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 조치 하는 윤리 상담과 제보 채널을 운영 중이다.<ref>에스케이하이닉스㈜ 윤리경영 사이트 - https://ethics.skhynix.com/jsp/main.jsp</ref>
  
 
===안전보건환경 경영===
 
===안전보건환경 경영===
127번째 줄: 126번째 줄:
 
===미래 인재 육성===
 
===미래 인재 육성===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지역사회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들에게 에스케이하이닉스㈜ 구성원이 강사가 되어 당사 및 반도체 직무에 대한 안내와 이공계열 진로에 대한 안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지역사회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들에게 에스케이하이닉스㈜ 구성원이 강사가 되어 당사 및 반도체 직무에 대한 안내와 이공계열 진로에 대한 안
내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및 [[가상현실]](VR)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향후, 에스케이하이닉스㈜ 리더가 직접 참여하는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재능기부 봉사 활동을 더욱 활성화할 것이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상대적으로 IT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사회 취약 계층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 인재로의 성장을 위한 코딩 및 소프트웨어 교육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 학생을 선발하여 해외 과학 현장 견학을 지원한다. 2019년에는 이천, 청주, 서울, 성남 등의 지역을 확대하여 프로그램 전국화의 초석을 다졌다. 2020년에는 이전 경진대회 우승자를 대상으로 한 심화 프로그램을 신규 개설하여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과학교육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사회 청소년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IT 교육 공간 조성을 지원하여 미래 과학 인재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PC]], [[빔프로젝터]], [[VR기기]], [[3D 프린터]] 등 IT 교육에 필요한 인프라와 노후 공간 리모델링을 지원하여 시설 이용 아동 및 청소년에게 더욱 나은 교육 공간을 제공한다. 향후에는 기존 공간 재구성에 더해 지역사회의 학생을 비롯한 일반인들이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새로운 정보기술 구역(IT Zone)을 조성해 인재 성장에 기여할 계획이다.<ref name="보고서"></ref>
+
내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및 [[가상현실]](VR)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향후, 에스케이하이닉스㈜ 리더가 직접 참여하는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재능기부 봉사 활동을 더욱 활성화할 것이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상대적으로 IT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사회 취약 계층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 인재로의 성장을 위한 코딩 및 소프트웨어 교육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 학생을 선발하여 해외 과학 현장 견학을 지원한다. 2019년에는 이천, 청주, 서울, 성남 등의 지역을 확대하여 프로그램 전국화의 초석을 다졌다. 2020년에는 이전 경진대회 우승자를 대상으로 한 심화 프로그램을 신규 개설하여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과학교육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사회 청소년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IT 교육 공간 조성을 지원하여 미래 과학 인재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PC, 빔프로젝터, 가상현실기기, 3D 프린터 등 IT 교육에 필요한 인프라와 노후 공간 리모델링을 지원하여 시설 이용 아동 및 청소년에게 더욱 나은 교육 공간을 제공한다. 향후에는 기존 공간 재구성에 더해 지역사회의 학생을 비롯한 일반인들이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에스케이하이닉스㈜는 새로운 정보기술 구역(IT Zone)을 조성해 인재 성장에 기여할 계획이다.<ref name="보고서"></ref>
  
 
===행복나눔===
 
===행복나눔===
143번째 줄: 142번째 줄:
  
 
;10억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10억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2021년 1월 15일, 에스케이하이닉스㈜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가속화를 위해 친환경 사업에 투자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그린본드(Green Bond)를 발행한다. 그린본드는 환경친화적 투자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한 용도로만 쓸 수 있는 특수목적 채권이며,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기업 중 그린본드를 발행한 경우는 에스케이하이닉스㈜가 첫 주자이다. 최근 세계 유수 기업들은 기후변화 등에 선제 대응을 하기 위해 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실제로 [[애플]],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TSMC) 등 IT 기업들은 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선언인 재생에너지 100(RE100, Renewable Energy 100)에 참여하고, 환경개선 및 그린본드, 사회적 책무 및 소셜본드, 지배구조개선 및 지속가능채권 등을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인 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발행을 진행한 바 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도 2020년 말 에스케이 주요 관계사들과 함께 국내 기업 최초로 재생에너지 100에 동참했다. 영국 소재 다국적 비영리 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이 2014년 시작해 2021년 기준 전 세계 263개 기업이 가입하였고  그린본드에는 전 세계 230여 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54억 달러의 주문이 들어와 이에 따라 회사는 당초 5억 달러 수준으로 계획했던 발행 규모를 10억 달러로 대폭늘 늘렸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그린본드를 통해 마련한 재원을 수질 관리, 에너지 효율화, 오염 방지, 생태환경 복원 등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며,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성이 매우 높은 물관리를 위해 신규 최첨단 폐수 처리장 건설과 용수 재활용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IT 산업 전반의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에스에스디 개발 사업 등 다양한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f>염보라 기자,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697015 SK하이닉스, ESG 경영강화 위해 10억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공감신문》, 2021-01-15</ref>  
+
2021년 1월 15일, 에스케이하이닉스㈜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가속화를 위해 친환경 사업에 투자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그린본드(Green Bond)를 발행한다. 그린본드는 환경친화적 투자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한 용도로만 쓸 수 있는 특수목적 채권이며,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기업 중 그린본드를 발행한 경우는 에스케이하이닉스㈜가 첫 주자이다. 최근 세계 유수 기업들은 기후변화 등에 선제 대응을 하기 위해 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실제로 [[애플]],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TSMC) 등 IT 기업들은 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선언인 재생에너지 100(RE100, Renewable Energy 100)에 참여하고, 환경개선 및 그린본드, 사회적 책무 및 소셜본드, 지배구조개선 및 지속가능채권 등을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인 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발행을 진행한 바 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도 2020년 말 에스케이 주요 관계사들과 함께 국내 기업 최초로 재생에너지 100에 동참했다. 영국 소재 다국적 비영리 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이 2014년 시작해 현재 전 세계 263개 기업이 가입하였고  그린본드에는 전 세계 230여 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54억 달러의 주문이 들어와 이에 따라 회사는 당초 5억 달러 수준으로 계획했던 발행 규모를 10억 달러로 대폭늘 늘렸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그린본드를 통해 마련한 재원을 수질 관리, 에너지 효율화, 오염 방지, 생태환경 복원 등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며,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성이 매우 높은 물관리를 위해 신규 최첨단 폐수 처리장 건설과 용수 재활용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IT 산업 전반의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에스에스디 개발 사업 등 다양한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f>염보라 기자,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697015 SK하이닉스, ESG 경영강화 위해 10억달러 규모 그린본드 발행]〉, 《공감신문》, 2021-01-15</ref>  
  
 
;176단 4D 낸드 개발
 
;176단 4D 낸드 개발
163번째 줄: 162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에스케이하이닉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khynix.com/kor/index.jsp
+
* 〈[https://www.skhynix.com/kor/index.jsp 에스케이하이닉스㈜ 공식 홈페이지]〉, 《에스케이하이닉스㈜》
 
* 〈[https://www.skhynix.com/kor/sustain/sustainManage.do SK hynix 2020 지속경영보고서]〉, 《에스케이하이닉스㈜》
 
* 〈[https://www.skhynix.com/kor/sustain/sustainManage.do SK hynix 2020 지속경영보고서]〉, 《에스케이하이닉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9752&cid=40942&categoryId=32384 DRAM]〉,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69752&cid=40942&categoryId=32384 DRAM]〉,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78387&cid=40942&categoryId=32832 SSD]〉,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78387&cid=40942&categoryId=32832 SSD]〉,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688&cid=43659&categoryId=43659 MCP]〉,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688&cid=43659&categoryId=43659 MCP]〉, 《네이버 지식백과》
* 에스케이하이닉스㈜ 윤리경영 공식 홈페이지 - https://ethics.skhynix.com/jsp/main.jsp
+
* 〈[https://ethics.skhynix.com/jsp/main.jsp 에스케이하이닉스㈜ 윤리경영 공식 홈페이지]〉, 《에스케이하이닉스㈜》
 
* 김경민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103080902568446 SK하이닉스, 업계 최대용량 모바일 D램 양산]〉, 《파이낸셜뉴스》, 2021-03-08
 
* 김경민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103080902568446 SK하이닉스, 업계 최대용량 모바일 D램 양산]〉, 《파이낸셜뉴스》, 2021-03-08
 
* 이승현 기자,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131102212939748e3dd6dd5_45 SK하이닉스 中다롄시, 협력 관계 구축 위한 MOU 체결]〉, 《핀포인트뉴스》, 2021-01-29
 
* 이승현 기자,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131102212939748e3dd6dd5_45 SK하이닉스 中다롄시, 협력 관계 구축 위한 MOU 체결]〉, 《핀포인트뉴스》, 2021-01-29
182번째 줄: 181번째 줄:
 
* [[하드디스크]]
 
* [[하드디스크]]
  
 +
{{로고 수정 필요}}
 
{{대기업|검토 필요}}
 
{{대기업|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