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에어댐.jpg|300픽셀|썸네일|'''에어댐(Air dam)''']]
 
[[파일:에어댐.jpg|300픽셀|썸네일|'''에어댐(Air dam)''']]
 
+
'''에어댐'''(Air dam)은 공기 굴뚝이란 의미로, 차의 [[앞범퍼]] 하단부에 부착하는 외관 튜닝 부품이다.<ref name="na">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6871&cid=42330&categoryId=42330 에어 댐]〉,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ref> 프런트 스커트(Front skirt)라고도 부른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61214&cid=42330&categoryId=42330 프런트 스커트]〉,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ref> 공기 흐름을 조절하고 디자인적으로도 포인트를 주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ref name="na"></ref>
'''에어댐'''<!--에어 댐-->(air dam)은 "공기 굴뚝"이란 의미로, 차의 [[앞범퍼]] 하단부에 부착하는 외관 [[튜닝]] 부품이다.<ref name="na">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6871&cid=42330&categoryId=42330 에어 댐]〉,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ref> '''프런트 스커트'''(Front skirt)라고도 부른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61214&cid=42330&categoryId=42330 프런트 스커트]〉,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ref> 에어댐은 [[공기]] 흐름을 조절하고 디자인적으로도 포인트를 주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ref name="na"></ref>
 
 
 
 
==개요==
 
==개요==
에어댐은 일반적으로 [[앞범퍼]] 밑에 양철판 등을 이어서 [[바람]]에 의해 [[차량]]이 위오 떠오르는 것을 막아주는 부품이다. 비슷한 부품을 사이드 보디를 이어 지면으로 내린 것은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 또는 에어댐 스커트(Air skirt)라 부른다. 주기능은 프런트 범퍼 하단부에 스커트를 붙여 차체 아래로 내려가는 공기량을 감속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공기 저항을 줄여 차체가 뜨는 것이 억제되고 타이어 접지력이 향상되어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Radiator) 냉각을 위한 통풍구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즉, 에어댐은 단순히 멋을 위한 튜닝 부품이 아닌 공기 역학적인 부착물로 주행 성능을 향상해주는 도구다.<ref name="na"></ref>
+
에어댐은 일반적으로 앞 범퍼 밑에 양철판 등을 이어서 바람에 의해 차량이 뜨는 것을 막아주는 부품이다. 비슷한 부품을 사이드 보디를 이어 지면으로 내린 것은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 또는 에어 댐 스커트(Air skirt)라 부른다. 주기능은 프런트 범퍼 하단부에 스커트를 붙여 차체 아래로 내려가는 공기량을 감속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공기 저항을 줄여 차체가 뜨는 것이 억제되고 타이어 접지력이 향상되어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Radiator) 냉각을 위한 통풍구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즉, 에어댐은 단순히 멋을 위한 튜닝 부품이 아닌 공기 역학적인 부착물로 주행 성능을 향상해주는 도구다.<ref name="na"></ref>
 
 
 
==종류==
 
==종류==
에어댐은 크게 [[통댐]]과 [[립댑]]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통댐]]은 범퍼 전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튜닝이 이루어진다. 교체 과정에서 구조 변경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관할 승인을 받은 뒤 튜닝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립댐]]은 순정 범퍼 밑에 부착하여 튜닝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차종과 업체에 따라서 통댐을 취급하는 경우도 있고 립댐을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 튜닝 업체가 립댐을 취급하는 추세이다.<ref>365카케어플러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yunasd1853&logNo=221191297985 제네시스쿠페(젠쿱) 에어댐 종류와 장착 사진]〉, 《네이버 블로그》, 2018-01-23</ref>  
+
에어댐은 크게 통댐과 립댑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통댐은 범퍼 전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튜닝이 이루어진다. 교체 과정에서 구조 변경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관할 승인을 받은 뒤 튜닝을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립댐은 순정 범퍼 밑에 부착하여 튜닝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차종과 업체에 따라서 통댐을 취급하는 경우도 있고 립댐을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 튜닝 업체가 립댐을 취급하는 추세다.<ref> 365카케어플러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yunasd1853&logNo=221191297985 제네시스쿠페(젠쿱) 에어댐 종류와 장착 사진]〉, 《네이버 블로그》, 2018-01-23</ref> 에어댐의 재질은 플루토늄(Plutonium, PU) 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중에서도 대부분 FRP를 사용해 제작하는 편이다. FRP는 무게에 비해 강도가 높고 내열성, 내식성이 우수해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ref> 치즈가이,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hdcjdfo&logNo=220509651542 FRP란?]〉, 《네이버 블로그》, 2015-10-15</ref> 또한, FRP는 여러 형태의 성형 작업이 가능한데 이 때문에 튜닝 업체에서 생산 자동화가 어려워 수제작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ref> 〈[http://myride.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617&cate_no=106&display_group=1 뉴엑센트 바디킷PU/에어댐 (무도장/도색별도)]〉, 《마이라이드》</ref>
 
 
에어댐의 재질은 [[플루토늄]](Plutonium, PU) 또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중에서도 대부분 FRP를 사용해 제작하는 편이다. FRP는 무게에 비해 강도가 높고 [[내열성]], [[내식성]]이 우수해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ref> 치즈가이,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hdcjdfo&logNo=220509651542 FRP란?]〉, 《네이버 블로그》, 2015-10-15</ref> 또한, FRP는 여러 형태의 성형 작업이 가능한데 이 때문에 튜닝 업체에서 생산 자동화가 어려워 수제작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ref> 〈[http://myride.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617&cate_no=106&display_group=1 뉴엑센트 바디킷PU/에어댐 (무도장/도색별도)]〉, 《마이라이드》</ref>
 
  
 
==기능==
 
==기능==
에어댐은 바람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며, 프론트 범퍼에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어댐을 장착하는 주목적은 [[다운포스]]이다. 다운포스는 차를 지면 쪽으로 눌러 안정감 있게 주행할 수 있는 성능이다.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다 보면 회전이나 턱을 지날 때 차량이 살짝 뜨면서 조향 성능이 떨어져 스핀 하거나 심할 경우 차량이 뒤집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댐을 부착하면 살짝 무게를 실으면서 바람을 막아주어 공기 저항을 이용해 차체를 안정감 있게 바닥으로 눌러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댐은 사이드 스커트, [[리어 디퓨저]](Rear diffuser) 등과 [[에어로파츠]](Aero part)로 묶여서 같이 튜닝하는 경우가 많다. 차량의 정면에서 부딪히는 공기를 막아주는 것이 에어댐이라면 측면과 후면에서 바람을 막는 것이 각각 사이드 스커트와 리어 디퓨저이기 때문이다. 만일 에어댐을 설치하고 사이드 스커트와 리어 디퓨저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자동차 옆면 또는 후면을 통해 공기가 들어오고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서 에어댐의 효과가 사실상 무력화된다.<ref> 도주해, 〈[https://brunch.co.kr/@caroute/16 공기흐름 아이템 에어로파츠 쉽게 이해하기!]〉, 《브런치》, 2017-07-10</ref> 에어댐은 차체를 낮아지게 만들어 접지력을 향상하고 입구를 좁혀 차량 밑으로 많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소량의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그렇게 자동차 밑에 흐르는 공기는 사이드 스커트를 통해 옆에 새지 않고 차체 아래로 잘 흐르며 차체 뒷부분 리어 디퓨저에 이르러 공기가 뒤로 원활하게 빠져나간다.<ref> 착한아저씨,〈[https://blog.daum.net/ghetto2974/17607942 에어댐(Air-dam) 이란?]〉, 《다음 블로그》, 2010-11-30</ref> 또한, 에어댐은 공기 주입구에 매끄럽게 공기를 보내기 때문에 라디에이터를 냉각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ref>Who is Smart :), 〈[https://fineworld.tistory.com/entry/%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B%A5%BC-%EB%82%B4-%ED%92%88-%EC%95%88%EC%97%90 자동차 용어를 내 품 안에...]〉, 《티스토리》, 2010-05-24</ref>
+
에어댐은 바람을 막아주는 기능으로써 프론트 범퍼에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어댐을 장착하는 주목적은 다운포스다. 다운포스는 차를 지면 쪽으로 눌러 안정감 있게 주행할 수 있는 성능이다.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다 보면 회전이나 턱을 지날 때 차량이 살짝 뜨면서 조향 성능이 떨어져 스핀 하거나 심할 경우 차량이 뒤집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댐을 부착하면 살짝 무게를 실으면서 바람을 막아주어 공기 저항을 이용해 차체를 안정감 있게 바닥으로 눌러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에어댐은 사이드 스커트, [[리어 디퓨저]](Rear diffuser) 등과 [[에어로파츠]](Aero part)로 묶여서 같이 튜닝하는 경우가 많다. 차량의 정면에서 부딪히는 공기를 막아주는 것이 에어댐이라면 측면과 후면에서 바람을 막는 것이 각각 사이드 스커트와 리어 디퓨저이기 때문이다. 만일 에어댐을 설치하고 사이드 스커트와 리어 디퓨저를 설치하지 않는다면 자동차 옆면 또는 후면을 통해 공기가 들어오고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서 에어댐의 효과가 사실상 무력화된다.<ref> 도주해, 〈[https://brunch.co.kr/@caroute/16 공기흐름 아이템 에어로파츠 쉽게 이해하기!]〉, 《브런치》, 2017-07-10</ref> 에어댐은 차체를 낮아지게 만들어 접지력을 향상하고 입구를 좁혀 차량 밑으로 많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소량의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그렇게 자동차 밑에 흐르는 공기는 사이드 스커트를 통해 옆에 새지 않고 차체 아래로 잘 흐르며 차체 뒷부분 리어 디퓨저에 이르러 공기가 뒤로 원활하게 빠져나간다.<ref> 착한아저씨,〈[https://blog.daum.net/ghetto2974/17607942 에어댐(Air-dam) 이란?]〉, 《다음 블로그》, 2010-11-30</ref> 또한, 에어댐은 공기 주입구에 매끄럽게 공기를 보내기 때문에 라디에이터를 냉각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다.<ref>Who is Smart :), 〈[https://fineworld.tistory.com/entry/%EC%9E%90%EB%8F%99%EC%B0%A8-%EC%9A%A9%EC%96%B4%EB%A5%BC-%EB%82%B4-%ED%92%88-%EC%95%88%EC%97%90 자동차 용어를 내 품 안에...]〉, 《티스토리》, 2010-05-24</ref>
  
 
==트렌드==
 
==트렌드==
21번째 줄: 16번째 줄:
  
 
==장애요소==
 
==장애요소==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에어댐 디자인에도 어려움이 많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글로벌화로 인해 세계 브랜드 간의 통폐합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상황에서 개성 있는 에어댐 디자인을 제작하기 어려운 사정이 되었다. 또한, 자사 브랜드만의 일관성을 가진 제품을 출시하기보다는 새 모델을 출시할 때마다 스타일이 바뀌다 보니 이에 따르는 에어댐 컨셉트도 매번 변화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비용 지출이 늘어났다. 튜닝에 관한 사회적 인식도 에어댐 제작의 큰 장애 요소가 되었다. [[튜닝]]을 자동차 산업의 한 분야로 인식하는 유럽이나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는 현재까지도 경제적 낭비나 불법 부착물로 바라보는 풍토가 잔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마니아층을 제외하면 수요가 크게 늘지 않는 것도 사실이고 각종 규제와 제작의 고충까지 잇따라 에어댐 제작에 어려움이 따랐다.<ref name="카라"></ref>
+
국내 자동차 사업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에어댐 디자인에도 어려움이 많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글로벌화로 인해 세계 브랜드 간의 통폐합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상황에서 개성 있는 에어댐 디자인을 제작하기 어려운 사정이 되었다. 또한, 자사 브랜드만의 일관성을 가진 제품을 출시하기보다는 새 모델을 출시할 때마다 스타일이 바뀌다 보니 이에 따르는 에어댐 컨셉트도 매번 변화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비용 지출이 늘어났다. 튜닝에 관한 사회적 인식도 에어댐 제작의 큰 장애 요소가 되었다. 튜닝을 자동차 산업의 한 분야로 인식하는 유럽이나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현재까지도 경제적 낭비나 불법 부착물로 바라보는 풍토가 잔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마니아층을 제외하면 수요가 크게 늘지 않는 것도 사실이고 각종 규제와 제작의 고충까지 잇따라 에어댐 제작에 어려움이 따랐다.<ref name="카라"></ref>
  
 
{{각주}}
 
{{각주}}
48번째 줄: 43번째 줄:
 
* [[튜닝]]
 
* [[튜닝]]
  
{{자동차 외장|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