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전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엘지전자㈜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엘지전자㈜'''(LG Electronics)]]
+
[[파일:엘지전자㈜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엘지전자㈜'''(LG)]]
[[파일:엘지전자㈜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엘지전자㈜'''(LG Electronics)]]
+
[[파일:엘지전자㈜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엘지전자㈜'''(LG)]]
  
'''엘지전자㈜'''<!--엘지전자, LG전자-->(LG Electronics) 또는 간략히 '''LG'''(엘지)는 1958년에 '''[[구인회]]'''가 창업한 한국의 전자제품 제조 회사이다. 창업 당시 회사명은 '금성'(金星, Gold Star)이었고, 1995년 엘지전자㈜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5년에 일부 회사가 분리되었을 당시 전자 부문은 '''[[엘지그룹]]'''(LG Group)에 남아 휴대전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대표는 '''[[권봉석]]'''이다.
+
'''엘지전자㈜'''(LG Electronics) 또는 간략히 '''LG'''(엘지)는 1958년에 [[구인회]]가 창업한 한국의 전자제품 제조 회사이다. 창업 당시 회사명은 '금성'(金星, Gold Star)이었고, 1995년 엘지전자㈜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5년에 일부 회사가 분리되었을 당시 전자 부문은 [[엘지그룹]](LG Group)에 남아 휴대전화, 냉장고, 세탁기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대표는 [[권봉석]]이다.
{{:자동차 배너}}
 
  
 
== 개요 ==
 
== 개요 ==
112번째 줄: 111번째 줄:
  
 
===최고기술책임자 부문===
 
===최고기술책임자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은 엘지전자㈜ 각 사업영역의 선행 연구 개발을 하고 미래 사업의 시드(Seed) 기술을 제공하는 조직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강화를 위한 [[정보기술]](ICT) 관련 미래기술 및 고성장 신사업 인큐베이션에 그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 5G 및 6G 등 엘지전자㈜의 차세대 기술 준비를 위한 미래기술센터, 씽큐(ThinQ) 플랫폼에 기반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및 데이터 및 서비스 가치 혁신을 통한 디지털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디엑스티(DXT)센터, 센서/광학/광소자/소재/분석 등에서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소재 기술센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기술 및 역량 확보를 위한 소프트웨어센터, 스마트 모빌리티/에너지/전기자동차 등 B2B 사업에 기여하고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자율주행]] 관련 선행 연구를 진행하는 에이엔비(A&B) 센터, 시스템 반도체로 엘지전자㈜ 사업에 기여하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센터 등이 있다. 최고기술책임자 부문의 주요 근무지는 서울이며 서초 연구개발(R&D) 캠퍼스와 엘지 사이언스파크에서 근무하고 있다.<ref name ="홈피"></ref>
+
최고기술책임자(CTO) 부문은 엘지전자㈜ 각 사업영역의 선행 연구 개발을 하고 미래 사업의 시드(Seed) 기술을 제공하는 조직으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강화를 위한 [[정보기술]](ICT) 관련 미래기술 및 고성장 신사업 인큐베이션에 그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 5G 및 6G 등 엘지전자㈜의 차세대 기술 준비를 위한 미래기술센터, 씽큐(ThinQ) 플랫폼에 기반한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및 데이터 및 서비스 가치 혁신을 통한 디지털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디엑스티(DXT)센터, 센서/광학/광소자/소재/분석 등에서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소재 기술센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기술 및 역량 확보를 위한 소프트웨어센터, 스마트 모빌리티/에너지/전기자동차 등 B2B 사업에 기여하고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자율 주행 관련 선행 연구를 진행하는 에이엔비(A&B) 센터, 시스템 반도체로 엘지전자㈜ 사업에 기여하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센터 등이 있다. 최고기술책임자 부문의 주요 근무지는 서울이며 서초 연구개발(R&D) 캠퍼스와 엘지 사이언스파크에서 근무하고 있다.<ref name ="홈피"></ref>
  
 
===최고재무책임자 부문===
 
===최고재무책임자 부문===
161번째 줄: 160번째 줄:
 
* 박명기 기자, 〈[http://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5237 LG전자, 베트남 다낭에 ‘자동차부품 R&D센터’ 세운다]〉,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08
 
* 박명기 기자, 〈[http://www.aseanexpress.co.kr/news/article.html?no=5237 LG전자, 베트남 다낭에 ‘자동차부품 R&D센터’ 세운다]〉, 《아세안익스프레스》, 2020-10-08
 
* 정현정 기자, 〈[https://www.etnews.com/20200617000189 이지케어텍, LG전자와 헬스케어 협업 MOU 체결]〉, 《전자신문》, 2020-06-17
 
* 정현정 기자, 〈[https://www.etnews.com/20200617000189 이지케어텍, LG전자와 헬스케어 협업 MOU 체결]〉, 《전자신문》, 2020-06-17
* 녹시네, 〈[https://noxiene.com/%ec%a0%9c%ec%8a%b5%ea%b8%b0-%ec%b6%94%ec%b2%9c/ 제습기 추천 TOP 5 2023 + 원룸, 가정용 제습기]〉, 《noxiene.com》, 2023-02-2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