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에스도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엠에스도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엠에스도스'''(MS-DOS)]]
+
[[파일:엠에스도스.jpg|썸네일|400픽셀|'''MS-DOS''' 로고]]
[[파일:엠에스도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엠에스도스'''(MS-DOS)]]
 
  
 
'''엠에스도스'''<!--엠에스 도스,MSDOS,MS-DOS-->(MS-DOS)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Microsoft) 회사가 만든 '''[[도스]]'''(DOS) [[운영체제]]이다.
 
'''엠에스도스'''<!--엠에스 도스,MSDOS,MS-DOS-->(MS-DOS)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Microsoft) 회사가 만든 '''[[도스]]'''(DOS) [[운영체제]]이다.
  
 
==개요==
 
==개요==
MS-DOS는 [[Microsoft]] Disk Operating System의 줄임말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이다. 1981년 8월 처음 PC에 올려져서 제공되었고 1995년 개발이 중단되기 전까지 몇 차례의 판올림이 있었다. 사상 최초로 대중화됬던 [[운영체제]]이다. 이후 윈도 95가 출시 된 후로부터는 윈도 제품의 일부로 제공되었고 [[윈도 미]]에 기본 내장되있는 8.0버전까지 나왔다.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
MS-DOS는 [[Microsoft]] Disk Operating System의 줄임말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이다. 1981년 8월 처음 PC에 올려져서 제공되었고 1995년 개발이 중단되기 전까지 몇 차례의 판올림이 있었다. 사상 최초로 대중화됬던 [[운영체제]]이다. 이후 [[윈도 95]]가 출시 된 후로부터는 [[윈도]] 제품의 일부로 제공되었고 [[윈도 미]]에 기본 내장되있는 8.0버전까지 나왔다.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등장 배경==
 
==등장 배경==
1980년 7 월경 [[IBM]]은 개인용 컴퓨터의 개발에 착수 했다. 그러나 IBM의 주력 상품인 범용 컴퓨터에 비하면 극소수의 직원과 적은 예산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프로젝트 리더 [[필립 돈 에스토릿지]](Don Estridge)는 가급적 신속하게 상품화가 나오기 위해 [[소프트웨어]]는 자체 개발하지 않고 모든 외부에서 조달할 방침을 세웠다. 당시 마이크로소프트는 BASIC 인터프리터와 [[어셈블러]] 및 각종 언어 [[컴파일러]]등을 개발하고 그 제품의 대부분이 당시의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 사실상의 표준 [[OS]]인 디지털 리서치의 CP/M에서 작동하는 것이었다. IBM은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처음에는 [[BASIC]] 같은 언어 제품의 개발을 의뢰 했다. OS에 대해서도 8086 대응 버전의 CP/M을 마이크로소프트에 주려고 했다. 그러나 그들은 CP/M 소스 권리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빌 게이츠]]의 조언에 따라 디지털 리서치와 협상 하기로 했다. 그러나 디지털 리서치와 협상은 잘되지 않고 결국 마이크로소프트 자신이 OS를 개발 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OS의 개발 경험은 없었기 때문에, 같은 무렵 CP/M 이 8086에 독자적으로 이식 작업을하고 있던 시애틀 컴퓨터 프로덕츠사의 [[QDOS]]를 인수하여 IBM PC 용으로 개조 한다. 이후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렸지만 1983년 2.0버전부터 MS-DOS명칭이 일원화 되었다.<ref>발걸음을 멈추는곳, 〈[https://shineover.tistory.com/180 MS DOS의 기능과 역사]〉, 《티스토리》, 2013-11-06</ref>
+
1980년 7 월경 [[IBM]]은 개인용 컴퓨터의 개발에 착수 했다. 그러나 IBM의 주력 상품인 범용 컴퓨터에 비하면 극소수의 직원과 적은 예산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프로젝트 리더 [[필립 돈 에스토릿지]](Don Estridge)는 가급적 신속하게 상품화가 나오기 위해 [[소프트웨어]]는 자체 개발하지 않고 모든 외부에서 조달할 방침을 세웠다. 당시 [[마이크로소프트]]는 [[BASIC 인터프리터]]와 [[어셈블러]] 및 각종 언어 [[컴파일러]]등을 개발하고 그 제품의 대부분이 당시의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 사실상의 표준 [[OS]]인 디지털 리서치의 CP/M에서 작동하는 것이었다. IBM은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처음에는 [[BASIC]] 같은 언어 제품의 개발을 의뢰 했다. OS에 대해서도 8086 대응 버전의 [[CP/M]]을 마이크로소프트에 주려고 했다. 그러나 그들은 CP/M 소스 권리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빌 게이츠]]의 조언에 따라 [[디지털 리서치]]와 협상 하기로 했다. 그러나 디지털 리서치와 협상은 잘되지 않고 결국 마이크로소프트 자신이 OS를 개발 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OS의 개발 경험은 없었기 때문에, 같은 무렵 CP/M 이 8086에 독자적으로 이식 작업을하고 있던 시애틀 컴퓨터 프로덕츠사의 [[QDOS]]를 인수하여 IBM PC 용으로 개조 한다. 이후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렸지만 1983년 2.0버전부터 MS-DOS명칭이 일원화 되었다.<ref>발걸음을 멈추는곳, 〈[https://shineover.tistory.com/180 MS DOS의 기능과 역사]〉, 《티스토리》, 2013-11-06</ref>
  
 
==역사==
 
==역사==
MS-DOS는 [[팀 패터슨]]이 작성한 시애틀 컴퓨터 프로덕츠 소유의 86-DOS<ref>Doug Conner, 〈[https://web.archive.org/web/20100209023553/http://www.patersontech.com/Dos/Micronews/paterson04_10_98.htm Father of DOS Still Having Fun at Microsoft]〉, 《Micronews》, 2010-02-09</ref>에서 이름이 바뀐 것이다.
+
MS-DOS는 [[팀 패터슨]]이 작성한 [[시애틀 컴퓨터 프로덕츠]] 소유의 [[86-DOS]]<ref>Doug Conner, 〈[https://web.archive.org/web/20100209023553/http://www.patersontech.com/Dos/Micronews/paterson04_10_98.htm Father of DOS Still Having Fun at Microsoft]〉, 《Micronews》, 2010-02-09</ref>에서 이름이 바뀐 것이다.
 
===버전===
 
===버전===
*1.0 1981년 : 최초의 [[IBM PC]]에 탑재된 첫 버전(PC-DOS)
+
*1.0 1981년 - 최초의 [[IBM PC]]에 탑재된 첫 버전(PC-DOS).
*1.25 1982년 : MS-DOS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IBM PC 호환기종용 첫 버전
+
*1.25 1982년 - MS-DOS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IBM PC 호환기종용 첫 버전.
*2.0 1983년 : 하위 [[디렉토리]], 핸들 기반 파일 운용, 명령어 입출력 리다이렉션, 파이프 등을 지원. 마이크로소프트는 경로명 구분 문자를 대부분의 도스나 [[CP/M]] 프로그램에서 명령 스위치로 사용하고 있는 슬래시(/) 대신 역슬래시(\)로 사용하기로 했다. [[하드 디스크]]와 360KB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지원
+
*2.0 1983년 - 하위 [[디렉토리]], 핸들 기반 파일 운용, 명령어 입출력 리다이렉션, 파이프 등을 지원. [[마이크로소프트]]는 경로명 구분 문자를 대부분의 도스나 [[CP/M]] 프로그램에서 명령 스위치로 사용하고 있는 슬래시(/) 대신 역슬래시(\)로 사용하기로 . [[하드 디스크]]와 360KB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지원.
 
*2.01 1983년
 
*2.01 1983년
*2.11 1983년 : 영어 이외의 언어와 날짜 형식 지원
+
*2.11 1983년 - 영어 이외의 언어와 날짜 형식 지원.
*2.25 1985년 : 한글과 일본어 한자 지원 확대. 동아시아 나라에만 출시
+
*2.25 1985년 - 한글과 일본어 한자 지원 확대. 동아시아 나라에만 출시됨.
*3.0 1984년 : PC AT를 지원함. 1.2MB 플로피 디스크 및 최대 32 메가바이트의 하드 디스크 [[파티션]] 지원(한 개의 기본 파티션과 한 개의 논리 드라이브 지원)
+
*3.0 1984년 - PC AT를 지원함. 1.2MB 플로피 디스크 및 최대 32 메가바이트의 하드 디스크 [[파티션]] 지원(한 개의 기본 파티션과 한 개의 논리 드라이브 지원).
*3.1 1984년 :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킹 지원
+
*3.1 1984년 -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킹 지원.
*3.2 1986년 : 3.5 인치 720KB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지원
+
*3.2 1986년 - 3.5 인치 720KB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지원.
*3.3 1987년 : 여러 개의 논리 드라이브 지원
+
*3.3 1987년 - 여러 개의 논리 드라이브 지원.
 
*3.31 1987년
 
*3.31 1987년
*4.0 1988년 : 도스 [[셸]] 제공
+
*4.0 1988년 - 도스 [[셸]] 제공.
*5.0 1991년 : 메모리 관리, 전체 화면 편집기, QBasic 프로그래밍 언어, 온라인 도움말, 작업 전환 기능이 추가된 도스 셸 등 제공
+
*5.0 1991년 - 메모리 관리, 전체 화면 편집기, QBasic 프로그래밍 언어, 온라인 도움말, 작업 전환 기능이 추가된 도스 셸 등 제공.
*6.00 1993년 : 더블스페이스, 영문 사용자 메시지 지원(한글판), 조합형 한글 코드 페이지(1361) 지원(한글판)
+
*6.00 1993년 - 더블스페이스, 영문 사용자 메시지 지원(한글판), 조합형 한글 코드 페이지(1361) 지원(한글판).
 
*6.20 1993년
 
*6.20 1993년
*6.21 1994년 : [[스택 일렉트로닉스]]와의 소송으로 인해 더블스페이스 기능 제외
+
*6.21 1994년 - [[스택 일렉트로닉스]]와의 소송으로 인해 더블스페이스 기능이 제외됨.
*6.22 1994년 : 단일 제품으로는 마지막 버전. 더블스페이스 대신 동일한 기능의 드라이브스페이스 제공
+
*6.22 1994년 - 단일 제품으로는 마지막 버전. 더블스페이스 대신 동일한 기능의 드라이브스페이스 제공.
*7.0 1995년 : 윈도 95에 내장됨. MSDOS.SYS의 기능이 IO.SYS에 통합되어, MSDOS.SYS에는 참고용 텍스트만이 들어있다. LBA(논리 블록 어드레싱) 지원. DOSLFN 등의 별도 드라이버를 이용하면 긴 파일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
*7.0 1995년 - 윈도 95에 내장됨. MSDOS.SYS의 기능이 IO.SYS에 통합되어, MSDOS.SYS에는 참고용 텍스트만이 들어있다. LBA(논리 블록 어드레싱) 지원. DOSLFN 등의 별도 드라이버를 이용하면 긴 파일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7.1 1998년 : 윈도 95 OSR2와 그 이후 버전 및 윈도 98, 윈도 98 SE에 내장됨. [[FAT32]] 파일 시스템 지원
+
*7.1 1998년 - 윈도 95 OSR2와 그 이후 버전 및 윈도 98, 윈도 98 SE에 내장됨. [[FAT32]] 파일 시스템 지원.
*8.0 2000년 : [[윈도 미]]에 내장됨. 또한 [[윈도 XP]], [[윈도 비스타]], [[윈도 7]]에서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할 때 'MS-DOS 시동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하면 이 버전의 최소한의 파일을 포함한 MS-DOS가 디스크에 설치된다. 이 버전의 MS-DOS는 7.1버전에 비해 향상된 점도 있으나 몇 가지 중요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아래와 같다.
+
*8.0 2000년 - [[윈도 미]]에 내장됨. 또한 [[윈도 XP]], [[윈도 비스타]], [[윈도 7]]에서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할 때 'MS-DOS 시동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하면 이 버전의 최소한의 파일을 포함한 MS-DOS가 디스크에 설치된다. 이 버전의 MS-DOS는 7.1버전에 비해 향상된 점도 있으나 몇 가지 중요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아래와 같다.
 
+
====7.1버전에 비해 향상된 점====
====7.1 버전에 비해 향상된 점====
 
 
*IO.SYS 파일이 압축되어 줄어든 크기로 인해 [[부팅]]이 빨라졌다.
 
*IO.SYS 파일이 압축되어 줄어든 크기로 인해 [[부팅]]이 빨라졌다.
 
*IO.SYS 파일에 [[XMS]] 지원이 내장되어 HIMEM.SYS 파일이 필요하지 않다.
 
*IO.SYS 파일에 [[XMS]] 지원이 내장되어 HIMEM.SYS 파일이 필요하지 않다.
 
*IO.SYS 파일에 디스크 캐시 기능이 내장되어 디스크 입출력 성능이 향상되었다.<ref>Microsoft, 〈[https://web.archive.org/web/20090125012228/http://www.microsoft.com/whdc/archive/fast-boot.mspx Improving "Cold Boot" Time for System Manufactures]〉, 《Microsoft》, 2001-12-04</ref>
 
*IO.SYS 파일에 디스크 캐시 기능이 내장되어 디스크 입출력 성능이 향상되었다.<ref>Microsoft, 〈[https://web.archive.org/web/20090125012228/http://www.microsoft.com/whdc/archive/fast-boot.mspx Improving "Cold Boot" Time for System Manufactures]〉, 《Microsoft》, 2001-12-04</ref>
 
+
====7.1버전에 비해 제한된 점====
====7.1 버전에 비해 제한된 점====
 
 
*하드디스크에서 시동할 경우 리얼 모드로 부팅 할 수 없다.
 
*하드디스크에서 시동할 경우 리얼 모드로 부팅 할 수 없다.
 
*[[시동 디스크]]로 시동할 경우 EMM386.EXE를 불러올 수 없기 때문에 EMS 및 UMB를 사용할 수 없다.
 
*[[시동 디스크]]로 시동할 경우 EMM386.EXE를 불러올 수 없기 때문에 EMS 및 UMB를 사용할 수 없다.
112번째 줄: 109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icrosoft.com/ko-kr/
+
*Microsoft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icrosoft.com/ko-kr/
* Doug Conner, 〈[https://web.archive.org/web/20100209023553/http://www.patersontech.com/Dos/Micronews/paterson04_10_98.htm Father of DOS Still Having Fun at Microsoft]〉, 《Micronews》, 2010-02-09
+
*Doug Conner, 〈[https://web.archive.org/web/20100209023553/http://www.patersontech.com/Dos/Micronews/paterson04_10_98.htm Father of DOS Still Having Fun at Microsoft]〉, 《Micronews》, 2010-02-09
* Microsoft, 〈[https://web.archive.org/web/20090125012228/http://www.microsoft.com/whdc/archive/fast-boot.mspx Improving "Cold Boot" Time for System Manufactures]〉, 《Microsoft》, 2001-12-04
+
*Microsoft, 〈[https://web.archive.org/web/20090125012228/http://www.microsoft.com/whdc/archive/fast-boot.mspx Improving "Cold Boot" Time for System Manufactures]〉, 《Microsoft》, 2001-12-04
* 〈[https://ko.wikipedia.org/wiki/MS-DOS MS-DOS]〉,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MS-DOS MS-DOS]〉, 《위키백과》
* hkimscil, 〈[http://commres.net/wiki/c/swap/2015/internet_history/ms_dos MS-DOS (Disk Operating System)]〉, 《컴리서치넷위키》, 2016-07-01
+
*hkimscil, 〈[http://commres.net/wiki/c/swap/2015/internet_history/ms_dos MS-DOS (Disk Operating System)]〉, 《컴리서치넷위키》, 2016-07-01
* Sirjhswin, 〈[http://sirjhswin.egloos.com/2371943 도스의 특징]〉, 《Memories of DOS》, 2009-05-07
+
*Sirjhswin, 〈[http://sirjhswin.egloos.com/2371943 도스의 특징]〉, 《Memories of DOS》, 2009-05-07
* 코딩팩토리, 〈[https://coding-factory.tistory.com/316 (OS) MS-DOS란 무엇인가?(MS-DOS총정리)]〉, 《티스토리》, 2019-02-14
+
*코딩팩토리, 〈[https://coding-factory.tistory.com/316 (OS) MS-DOS란 무엇인가?(MS-DOS총정리)]〉, 《티스토리》, 2019-02-14
* 발걸음을 멈추는곳, 〈[https://shineover.tistory.com/180 MS DOS의 기능과 역사]〉, 《티스토리》, 2013-11-06
+
*발걸음을 멈추는곳, 〈[https://shineover.tistory.com/180 MS DOS의 기능과 역사]〉, 《티스토리》, 2013-11-0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마이크로소프트]]
 
* [[마이크로소프트]]
 
* [[도스]]
 
* [[도스]]
* [[빌 게이츠]]
 
* [[팀 패터슨]]
 
* [[운영체제]]
 
  
{{운영체제|검토 필요}}
+
{{운영체제|토막글}}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