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지방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 지리 ==
 
== 지리 ==
 
{{다단2
 
{{다단2
|{{강원특별자치도 행정 지도}}
+
|{{강원도 행정 지도}}
 
|{{한반도 지역 지도}}
 
|{{한반도 지역 지도}}
 
}}
 
}}
[[태백산맥]]은 중앙산맥·내방 산맥·해안산맥 등 세 줄기로 나누어지는데, 실질적인 [[경계]]는 고도가 가장 높은 [[중앙산맥]]이다. 중앙산맥에는 북쪽으로부터 [[금강산]]·[[설악산]]·[[오대산]]·[[황병산]](黃柄山)·[[태백산]] 등의 [[산봉우리]]로 [[분수령]]이 이루어지고 있다. 태백산맥은 오대산에 이르기까지 높이 1,000m 이상의 험준한 산지를 이루나, 이남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그러나 태백산맥이 동해안을 따라 평균 16㎞의 거리에 치우쳐 있는 까닭에 영서 지방에 비하여 급경사 지형이 발달된, 이른바 경동지형(傾動地形)을 이루고 있다. 해안은 융기해안(隆起海岸)으로 해안선이 단조롭고, 좁고 긴 해안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고성의 남강, 양양의 남대천, 강릉의 남대천 유역에는 깊은 골짜기가 이루어졌으며, 하류 지역에는 평탄한 소규모 충적지가 형성되어 생활무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강릉을 경계로 남북의 지질구조가 차이가 나 해안지형이 달리 나타난다. 화강편마암과 고생층이 발달된 남부 지방은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물결이 육지를 침식한 파식대(波蝕臺)와 풍화·침식 작용에 의해 해안에 낭떠러지가 이루어진 해식애(海蝕崖)가 많은 암석해안을 이룬다. 반면, 화강암으로 구성된 강릉 이북에는 바닷가에 모래가 깔린 사빈해안이 발달하여, 해수욕장 및 청초호·영랑호와 같은 석호(潟湖)가 많다. 기후는 태백산맥의 풍하(風下)주 01)인데다가 난류인 동한 해류(東寒海流)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 상의 내륙 지방은 물론, 서해안보다도 겨울의 기온이 2∼3℃ 높으며 강우량도 많아 해양성기후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이곳에는 난대성인 대나무가 자란다. 오죽헌(烏竹軒)은 대나무의 생장과 관련된 명칭이다. 강릉지방의 연평균기온은 12.9도이며, 평균강수량은 1,401.9㎜, 평균 습도는 63.4%이다. 1월 평균기온은 0.3도로 서울의 -2.5도에 비해 높다.<ref name="한국"></ref>
+
태백산맥은 중앙산맥·내방 산맥·해안산맥 등 세 줄기로 나누어지는데, 실질적인 경계는 고도가 가장 높은 중앙산맥이다. 중앙산맥에는 북쪽으로부터 금강산·설악산·오대산·황병산(黃柄山)·태백산 등의 산봉우리로 분수령이 이루어지고 있다. 태백산맥은 오대산에 이르기까지 높이 1,000m 이상의 험준한 산지를 이루나, 이남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그러나 태백산맥이 동해안을 따라 평균 16㎞의 거리에 치우쳐 있는 까닭에 영서 지방에 비하여 급경사 지형이 발달된, 이른바 경동지형(傾動地形)을 이루고 있다. 해안은 융기해안(隆起海岸)으로 해안선이 단조롭고, 좁고 긴 해안평야가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고성의 남강, 양양의 남대천, 강릉의 남대천 유역에는 깊은 골짜기가 이루어졌으며, 하류 지역에는 평탄한 소규모 충적지가 형성되어 생활무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강릉을 경계로 남북의 지질구조가 차이가 나 해안지형이 달리 나타난다. 화강편마암과 고생층이 발달된 남부 지방은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물결이 육지를 침식한 파식대(波蝕臺)와 풍화·침식 작용에 의해 해안에 낭떠러지가 이루어진 해식애(海蝕崖)가 많은 암석해안을 이룬다. 반면, 화강암으로 구성된 강릉 이북에는 바닷가에 모래가 깔린 사빈해안이 발달하여, 해수욕장 및 청초호·영랑호와 같은 석호(潟湖)가 많다. 기후는 태백산맥의 풍하(風下)주 01)인데다가 난류인 동한 해류(東寒海流)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 상의 내륙 지방은 물론, 서해안보다도 겨울의 기온이 2∼3℃ 높으며 강우량도 많아 해양성기후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이곳에는 난대성인 대나무가 자란다. 오죽헌(烏竹軒)은 대나무의 생장과 관련된 명칭이다. 강릉지방의 연평균기온은 12.9도이며, 평균강수량은 1,401.9㎜, 평균 습도는 63.4%이다. 1월 평균기온은 0.3도로 서울의 -2.5도에 비해 높다.<ref name="한국"></ref>
  
 
== 현황 ==
 
== 현황 ==
28번째 줄: 28번째 줄:
  
 
다른 영동 지방 역시 토박이가 상당히 많은 편이며, 특히 서울 사람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않다. 실제로 서울 사람들이 강원도에 대한 차별적인 말인 '감자'나 '드래요'를 말하면 젊은 세대들마저 크게 화를 낼 정도로 서울 사람들을 굉장히 싫어한다. 서울을 넘어 호남 사람들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좋지 않다. 군사정권에서 문민정부로 바뀌게 되는 과정에서 영동이 또다시 소외되고, 호남이 개발이권을 가져갔다는 생각 때문이다. 영동 내부에서도 외지 사람들만 배척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성군-속초시-양양군(흔히 '속고양' 또는 '영북')과 강릉시-동해시-삼척시의 감정이 서로 다르다. 여기서도 또 강릉고등학교, 명륜고등학교, 강릉제일고등학교 등 출신 고교 중심으로 뭉치고, 그 와중에 강릉제일고등학교는 강릉중앙고등학교와 사이가 안 좋기도 하다. 또 강릉 최씨 등 같은 성씨끼리 뭉치거나 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성향이 있어서 외지인이 녹아들기 쉽지 않은 편이다. 평창 등 같은 강원도 출신들은 그나마 덜한 편이지만, 그래도 텃세를 이겨내기는 쉽지 않다. 다만, 테라로사, 보헤미안 등을 중심으로 커피도시 이벤티지, 여러 영화제 등 젊은 세대가 많아지기 시작하며 텃세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서울에 차별받는다는 억하심정 자체는 여전히 심한 편이다. 실제로 어느 정도 차별을 받은 역사가 있다보니 쉽게 지워지기는 힘들 듯하다. 이러한 지역 내 감정 때문에 역으로 강릉 출신 유명인이 피해를 입으면 영동 지방 전체가 들끓기도 한다. 심석희 선수가 성폭행 피해를 호소하자 어떤 사건에도 꿈쩍을 안하던 강릉, 동해 사람들이 자기 일처럼 들고 일어나 규탄을 하거나 조재범을 향한 비판을 부으며 현수막을 달며 분개하기도 했다.<ref name="나무"></ref>
 
다른 영동 지방 역시 토박이가 상당히 많은 편이며, 특히 서울 사람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않다. 실제로 서울 사람들이 강원도에 대한 차별적인 말인 '감자'나 '드래요'를 말하면 젊은 세대들마저 크게 화를 낼 정도로 서울 사람들을 굉장히 싫어한다. 서울을 넘어 호남 사람들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좋지 않다. 군사정권에서 문민정부로 바뀌게 되는 과정에서 영동이 또다시 소외되고, 호남이 개발이권을 가져갔다는 생각 때문이다. 영동 내부에서도 외지 사람들만 배척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성군-속초시-양양군(흔히 '속고양' 또는 '영북')과 강릉시-동해시-삼척시의 감정이 서로 다르다. 여기서도 또 강릉고등학교, 명륜고등학교, 강릉제일고등학교 등 출신 고교 중심으로 뭉치고, 그 와중에 강릉제일고등학교는 강릉중앙고등학교와 사이가 안 좋기도 하다. 또 강릉 최씨 등 같은 성씨끼리 뭉치거나 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성향이 있어서 외지인이 녹아들기 쉽지 않은 편이다. 평창 등 같은 강원도 출신들은 그나마 덜한 편이지만, 그래도 텃세를 이겨내기는 쉽지 않다. 다만, 테라로사, 보헤미안 등을 중심으로 커피도시 이벤티지, 여러 영화제 등 젊은 세대가 많아지기 시작하며 텃세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서울에 차별받는다는 억하심정 자체는 여전히 심한 편이다. 실제로 어느 정도 차별을 받은 역사가 있다보니 쉽게 지워지기는 힘들 듯하다. 이러한 지역 내 감정 때문에 역으로 강릉 출신 유명인이 피해를 입으면 영동 지방 전체가 들끓기도 한다. 심석희 선수가 성폭행 피해를 호소하자 어떤 사건에도 꿈쩍을 안하던 강릉, 동해 사람들이 자기 일처럼 들고 일어나 규탄을 하거나 조재범을 향한 비판을 부으며 현수막을 달며 분개하기도 했다.<ref name="나무"></ref>
 
== 지도 ==
 
{{영동지방 행정 지도|800}}
 
{{지도|영동지방}}
 
{{다단2
 
|{{강원특별자치도 행정 지도}}
 
|{{한반도 지역 지도}}
 
}}
 
  
 
== 동영상 ==
 
== 동영상 ==
41번째 줄: 33번째 줄:
 
<youtube>czzFHOyOedA</youtube>  
 
<youtube>czzFHOyOedA</youtube>  
  
{{각주}}
+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