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석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번째 줄: 26번째 줄:
 
=== 시그마체인 ===
 
=== 시그마체인 ===
 
주식회사 [[시그마체인]]은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합의 알고리즘]]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시그마체인이 개발한 이중위임지분증명은 기존의 방식인 위임지분증명(DPos)이 초당 100,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한다면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은 초당 300,000건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3초마다 블록생성을 하고 있어 서비스의 적합성과 안정성 면에서도 뛰어난 합의 알고리즘이다. 그러므로 시그마체인에서는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장점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알고리즘에 따라 랜덤하게 실시간으로 교체되는 임의의 노드인 시그마노드(sigma node)를 추가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대표자들 간의 담합에 의한 블록체인 데이터 조작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디앱]](DApp)의 서비스를 강화하여 이용자의 디앱 상에서의 각종 활동에 따라 다른 엑세스 방식(Access Mode)을 적용하게 하여 디앱의 안정성을 높였다.<ref name="시그마체인 공식 홈페이지"></ref> {{자세히|시그마체인}}
 
주식회사 [[시그마체인]]은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합의 알고리즘]] 기반의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시그마체인이 개발한 이중위임지분증명은 기존의 방식인 위임지분증명(DPos)이 초당 100,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한다면 이중위임지분증명 방식은 초당 300,000건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3초마다 블록생성을 하고 있어 서비스의 적합성과 안정성 면에서도 뛰어난 합의 알고리즘이다. 그러므로 시그마체인에서는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위임지분증명 방식의 장점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알고리즘에 따라 랜덤하게 실시간으로 교체되는 임의의 노드인 시그마노드(sigma node)를 추가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대표자들 간의 담합에 의한 블록체인 데이터 조작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디앱]](DApp)의 서비스를 강화하여 이용자의 디앱 상에서의 각종 활동에 따라 다른 엑세스 방식(Access Mode)을 적용하게 하여 디앱의 안정성을 높였다.<ref name="시그마체인 공식 홈페이지"></ref> {{자세히|시그마체인}}
 
== 향후 계획 ==
 
퓨처피아는 2019년 1분기에는 퓨처피아 서비스를 오픈하며 마스터노드 및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출시와 메신저 월렛(Messenger Wallet), 미니홈피 첫 번째 오픈이 예정되어 있다. 2분기에는 두 번째 미니홈피를 오픈하고 런처시스템(Launcher System), 광고리워드 시스템 론칭이 예정되어 있다.<ref name="퓨처피아(Futurepia)에 대해 알아보자"></ref> 그리고 시그마체인은 광범위한 플랫폼으로의 빠른 성장을 위해 자사에서 개발한 [[메인넷]]을 기반으로  SNS, 엔터네이먼트, 라이프, 패션, 의료 등 각종 여러 분야별로 특화된 메인넷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ref>강성경 기자,〈[http://tvccnews.co.kr/news/view.php?idx=4096 [TVCC news] 시그마체인 연합회 출범식 개최]〉, 《TVCC news》, 2019-03-08</ref>
 
  
 
== 동영상 ==
 
== 동영상 ==
 
<youtube>4Ec2WSbMFdQ</youtube>
 
<youtube>4Ec2WSbMFdQ</youtube>
 
<youtube>hPXL5aGKbfk</youtube>
 
<youtube>hPXL5aGKbfk</youtube>
 +
 +
== 향후 계획 ==
 +
퓨처피아는 2019년 1분기에는 퓨처피아 서비스를 오픈하며 마스터노드 및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출시와 메신저 월렛(Messenger Wallet), 미니홈피 첫 번째 오픈이 예정되어 있다. 2분기에는 두 번째 미니홈피를 오픈하고 런처시스템(Launcher System), 광고리워드 시스템 론칭이 예정되어 있다.<ref name="퓨처피아(Futurepia)에 대해 알아보자"></ref> 그리고 시그마체인은 광범위한 플랫폼으로의 빠른 성장을 위해 자사에서 개발한 [[메인넷]]을 기반으로  SNS, 엔터네이먼트, 라이프, 패션, 의료 등 각종 여러 분야별로 특화된 메인넷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ref>강성경 기자,〈[http://tvccnews.co.kr/news/view.php?idx=4096 [TVCC news] 시그마체인 연합회 출범식 개최]〉, 《TVCC news》, 2019-03-08</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