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블록체인·DID협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오픈블록체인·DID협회는 민간기업 중심의 블록체인 산업발전을 목표로 출범했다. 구체적으로는 관련 생태계 조성, 신규 시장 활성화, 글로벌 진출 도모, 회원 상호간의 정보교환 네트워크 구축,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 업계의 입장 대변 등을 추진한다. 협회 이사회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카카오]],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펜텀코리아]], [[한국조폐공사]], [[LG CNS]], [[현대오토에버]], [[코오롱베니트]], [[CJ올리브네트웍스]], [[글로스퍼]], [[아이콘루프]], [[메디블록]], [[새누]],[[수산INT]], [[시너지]](SynerZ), 법무법인 동인 등 총 17개 사로 구성됐다. 또 그렙, [[하이퍼서터]], [[케이비아이디씨]], [[블로코]], 법무법인 디라이트, 네오플라이, [[코스콤]], [[마이크로소프트]], [[롯데정보통신]], NDS, 한국IT진흥, 등 11개사의 일반회원으로 가입했다. ETRI,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외 14개의 기관 및 단체 등이 특별회원으로 구성되었다. <ref> 임유경 기자, 〈[https://www.zdnet.co.kr/view/?no=20180427161214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출범...신한은행·SKT·카카오 참여]〉, 《지디넷코리아》, 2018-04-27</ref>
+
오픈블록체인·DID협회는 민간기업 중심의 블록체인 산업발전을 목표로 출범했다. 구체적으로는 관련 생태계 조성, 신규 시장 활성화, 글로벌 진출 도모, 회원 상호간의 정보교환 네트워크 구축,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 업계의 입장 대변 등을 추진한다. 협회 이사회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카카오]],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펜텀코리아]], [[한국조폐공사]], [[LG CNS]], [[현대오토에버]], [[코오롱베니트]], [[CJ올리브네트웍스]], [[글로스퍼]], [[(주)아이콘루프]], [[메디블록]], [[새누]],[[수산INT]], [[시너지]](SynerZ), 법무법인 동인 등 총 17개 사로 구성됐다. 또 그렙, [[하이퍼서터]], [[케이비아이디씨]], [[블로코]], 법무법인 디라이트, 네오플라이, [[코스콤]], [[마이크로소프트]], [[롯데정보통신]], NDS, 한국IT진흥, 등 11개사의 일반회원으로 가입했다. ETRI,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외 14개의 기관 및 단체 등이 특별회원으로 구성되었다. <ref> 임유경 기자, 〈[https://www.zdnet.co.kr/view/?no=20180427161214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출범...신한은행·SKT·카카오 참여]〉, 《지디넷코리아》, 2018-04-27</ref>
  
 
== 연혁 ==
 
== 연혁 ==
29번째 줄: 29번째 줄:
 
* [[오세현]]
 
* [[오세현]]
  
{{협회|토막글}}
+
{{블록체인 지원기관|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