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플라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3번째 줄: 13번째 줄:
  
 
== 버전 ==
 
== 버전 ==
*2014년 02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8.0.0 출시
+
*2014년 02월 : Wildfly 8.0.0 출시
*2014년 05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8.1.0 출시
+
*2014년 05월 : Wildfly 8.1.0 출시
*2014년 11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8.2.0 출시
+
*2014년 11월 : Wildfly 8.2.0 출시
*2015년 07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9.0.0 출시
+
*2015년 07월 : Wildfly 9.0.0 출시
*2015년 07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8.2.1 출시
+
*2015년 07월 : Wildfly 8.2.1 출시
*2015년 07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9.0.1 출시
+
*2015년 07월 : Wildfly 9.0.1 출시
*2015년 10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9.0.2 출시
+
*2015년 10월 : Wildfly 9.0.2 출시
*2016년 01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0.0.0 출시
+
*2016년 01월 : Wildfly 10.0.0 출시
*2016년 08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0.1.0 출시
+
*2016년 08월 : Wildfly 10.1.0 출시
*2017년 10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1.0.0 출시
+
*2017년 10월 : WIldfly 11.0.0 출시
*2018년 02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2.0.0 출시
+
*2018년 02월 : Wildfly 12.0.0 출시
*2018년 05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3.0.0 출시
+
*2018년 05월 : Wildfly 13.0.0 출시
*2018년 08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4.0.0 출시
+
*2018년 08월 : Wildfly 14.0.0 출시
*2018년 09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4.0.1 출시
+
*2018년 09월 : Wildfly 14.0.1 출시
*2018년 11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5.0.0 출시
+
*2018년 11월 : Wildfly 15.0.0 출시
*2019년 01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5.0.1 출시
+
*2019년 01월 : Wildfly 15.0.1 출시
*2019년 02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6.0.0 출시
+
*2019년 02월 : Wildfly 16.0.0 출시
*2019년 05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7.0.0 Beta1 출시
+
*2019년 05월 : Wildfly 17.0.0 Beta1 출시
*2019년 06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7.0.0 출시
+
*2019년 06월 : Wildfly 17.0.0 출시
*2019년 07월 : 와일드플라이(Wildfly) 17.0.1 출시
+
*2019년 07월 : Wildfly 17.0.1 출시
  
 
== 특징 ==
 
== 특징 ==
39번째 줄: 39번째 줄:
  
 
;막강한 행정
 
;막강한 행정
와일드플라이(WildFly)의 구성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거친 추격을하기보다는 중앙 집중적이고 간단하며 사용자 중심이다. 구성 파일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내부 서버 배선이 드러나지 않는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서브 시스템은 인텔리전트 기본값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사용자 정의 할 수 있다. 도메인 모드에서 실행 중인 경우 도메인에 참여하는 모든 서버의 구성은 동일한 파일 내에서 잘 구성된 방식으로 지정된다. 구성 변경은 파일 편집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모든 관리 기능은 다양한 형태의 액세스에 걸쳐 통일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여기에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웹 기반 관리 콘솔, 기본 Java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HTTP / JSON 기반 다른(REST) API 및 JMX(Java Management extension ) 게이트웨이(Gateway)가 포함된다.
+
와일드플라이(WildFly)의 구성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거친 추격을하기보다는 중앙 집중적이고 간단하며 사용자 중심이다. 구성 파일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내부 서버 배선이 드러나지 않는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서브 시스템은 인텔리전트 기본값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사용자 정의 할 수 있다. 도메인 모드에서 실행 중인 경우 도메인에 참여하는 모든 서버의 구성은 동일한 파일 내에서 잘 구성된 방식으로 지정된다. 구성 변경은 파일 편집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모든 관리 기능은 다양한 형태의 액세스에 걸쳐 통일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여기에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웹 기반 관리 콘솔, 기본 Java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HTTP / JSON 기반 다른(REST) API 및 JMX(Java Management extension ) 게이트웨이(Gateway가 포함된다.
 
이러한 옵션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도구 및 언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지정 자동화를 수행 할 수 있다. WildFly는 전통적인 단일 JVM(Java Verified Machine) 독립 실행형 모드와 여러 [[프로세스]] 및 호스트에서 구성을 동기화하는 다중 JVM 옵션인 도메인 모드라는 두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한 모든 관리 기능은 두 가지 모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메인 모드는 모든 시스템에 대한 중앙 제어점인 도메인 컨트롤러를 추가한다. 다른 제품의 솔루션과 달리 도메인 모드는 최소한의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실패한다. 또한 도메인이 큰 경우 각 호스트에 런타임 메트릭을 직접 [[쿼리]] 하여 도메인 컨트롤러가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ref name='가'>〈[http://www.neoclova.co.kr/openw_wildfly.html WildFly]〉, 《네오클로바》</ref>
 
이러한 옵션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도구 및 언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지정 자동화를 수행 할 수 있다. WildFly는 전통적인 단일 JVM(Java Verified Machine) 독립 실행형 모드와 여러 [[프로세스]] 및 호스트에서 구성을 동기화하는 다중 JVM 옵션인 도메인 모드라는 두 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앞에서 설명한 모든 관리 기능은 두 가지 모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메인 모드는 모든 시스템에 대한 중앙 제어점인 도메인 컨트롤러를 추가한다. 다른 제품의 솔루션과 달리 도메인 모드는 최소한의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실패한다. 또한 도메인이 큰 경우 각 호스트에 런타임 메트릭을 직접 [[쿼리]] 하여 도메인 컨트롤러가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ref name='가'>〈[http://www.neoclova.co.kr/openw_wildfly.html WildFly]〉, 《네오클로바》</ref>
  
88번째 줄: 88번째 줄:
  
 
*'''산업통상지원부''' : 산하의 연구 전담기관 간에 중복된 사업 추진과 올해 말 산하기관의 지방 분산 이전으로 인한 조직 운영상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공용 클라우드 [[플랫폼]]이 확보돼 업무 효율성 향상과 예산 절감, 유휴 자원 감소, 전력 이용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국내 소프트웨어(Software)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추진된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통상교섭 및 FTA 업무를 이관 받은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통상, 자원 분야를 담당하는 실무경제 주무 부처로서 성장동력 창출,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지역경제 활력 제고, 글로벌 시장 개척,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 등의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 과정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말 예정된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세종특별자치시로의 이전에 따른 조직 운영상의 효율 개선 방안을 고민해왔고, 그 일환으로 ‘신(新) IT 패러다임’으로서 확산되고 있는 클라우드 도입을 결정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행 결과를 토대로 한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을 올해 본격 추진했다.
 
*'''산업통상지원부''' : 산하의 연구 전담기관 간에 중복된 사업 추진과 올해 말 산하기관의 지방 분산 이전으로 인한 조직 운영상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공용 클라우드 [[플랫폼]]이 확보돼 업무 효율성 향상과 예산 절감, 유휴 자원 감소, 전력 이용 절감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국내 소프트웨어(Software)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추진된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통상교섭 및 FTA 업무를 이관 받은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통상, 자원 분야를 담당하는 실무경제 주무 부처로서 성장동력 창출,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 지역경제 활력 제고, 글로벌 시장 개척,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 등의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 과정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말 예정된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세종특별자치시로의 이전에 따른 조직 운영상의 효율 개선 방안을 고민해왔고, 그 일환으로 ‘신(新) IT 패러다임’으로서 확산되고 있는 클라우드 도입을 결정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행 결과를 토대로 한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을 올해 본격 추진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공용 클라우드를 시범 구축하는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은 2020년 클라우드 산업 강국으로의 진입, 세계적인 국내 기술력 확보, 클라우드 레퍼런스 모델링 개발, 표준화를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등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아우르는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에는 LIG시스템, 유엔진, 청담정보통신, 이나루티앤티 등의 국내 중견·중소기업이 참여했으며 오픈엑스이엔(OpenXEN), KVM(Kilobyte Virtual Machine), 큐브리드, 에이치에이피록시(HAProxy), Git, 서브버전(Subversion), [[아파치 웹서버]], 제이보스 등의 공개소프트웨어와 유엔진 BPMS(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엔키아 제우스, 이나루 데스크톱 등의 공개소프트웨어에 기반한 국산 솔루션이 도입됐다.<ref> OSS, 〈[https://www.oss.kr/oss_case/show/fb452e15-f971-4f85-bc19-3b6a58fa64f6?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C%97%85%ED%86%B5%EC%83%81%EC%9E%90%EC%9B%90%EB%B6%80 (공개SW 활용 성공사례 92) 산업통상자원부 - 국산 솔루션과 공개SW 일체로 클라우드 시범 풀 구축]〉, 《오에스에스》, 2013-07-09</ref>
+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공용 클라우드를 시범 구축하는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은 2020년 클라우드 산업 강국으로의 진입, 세계적인 국내 기술력 확보, 클라우드 레퍼런스 모델링 개발, 표준화를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등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아우르는 클라우드 시범 풀 사업에는 LIG시스템, 유엔진, 청담정보통신, 이나루티앤티 등의 국내 중견·중소기업이 참여했으며 오픈엑스이엔(OpenXEN), KVM(Kilobyte Virtual Machine), 큐브리드, 에이치에이피록시(HAProxy), Git, 서브버전(Subversion), [[아파치 웹서버]], 제이보스 등의 공개 소프트웨어와 유엔진 BPMS(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엔키아 제우스, 이나루 데스크톱 등의 공개 소프트웨어에 기반한 국산 솔루션이 도입됐다.<ref> OSS, 〈[https://www.oss.kr/oss_case/show/fb452e15-f971-4f85-bc19-3b6a58fa64f6?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C%97%85%ED%86%B5%EC%83%81%EC%9E%90%EC%9B%90%EB%B6%80 (공개SW 활용 성공사례 92) 산업통상자원부 - 국산 솔루션과 공개SW 일체로 클라우드 시범 풀 구축]〉, 《오에스에스》, 2013-07-09</ref>
  
*'''예금보험공사''' : 예금보험공사는 공공기관 최초로 업무시스템 운영 환경을 공개소프트웨어로 전환하고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16년 1월 말부터 운영하고 있다. 기존 벤더 종속성이 존재하는 금융 공공 기관의 공개소프트웨어 전환 프로젝트로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통해 안정적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예금보험공사 전체 업무 시스템의 81%를 [[리눅스]] 기반 공개소프트웨어 환경으로 전환하면서 시스템 성능 향상, 운영 및 관리 효율화,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금보험공사는 그간 노후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사용으로 최신 기술 적용 등이 어렵고, 상용제품 위주의 인프라 구성으로 기술 종속성이 증가하여 도입 및 운영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CPU 사용량 증가와 정보 처리 능력 저하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장애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
*'''예금보험공사''' : 예금보험공사는 공공기관 최초로 업무시스템 운영 환경을 공개SW로 전환하고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16년 1월 말부터 운영하고 있다. 기존 벤더 종속성이 존재하는 금융 공공 기관의 공개소프트웨어 전환 프로젝트로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통해 안정적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예금보험공사 전체 업무 시스템의 81%를 [[리눅스]] 기반 공개소프트웨어 환경으로 전환하면서 시스템 성능 향상, 운영 및 관리 효율화,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예금보험공사는 그간 노후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사용으로 최신 기술 적용 등이 어렵고, 상용제품 위주의 인프라 구성으로 기술 종속성이 증가하여 도입 및 운영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CPU 사용량 증가와 정보 처리 능력 저하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장애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노후화된 시스템을 교체하기로 결정하고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주전산기 교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예금보험공사는 차기 주전산기를 고려하면서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방안과 리눅스 기반의 x86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두고 면밀히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리눅스 기반의 x86 시스템이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특히 서버와 운영체제만 교체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거의 모든 업무를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면 전환하기로 했다. 공개 소프트웨어 환경 도입은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성을 인지하고 각국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추세다.<ref>OSS, 〈[https://www.oss.kr/oss_case/show/3b7d82f0-dde4-485d-bbd4-c2736bb1a1f5?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C%98%88%EA%B8%88%EB%B3%B4%ED%97%98%EA%B3%B5%EC%82%AC (공개SW 활용 성공사례 224) 예금보험공사 - 공공기관 최초 “전사적 공개SW 환경” 전환]〉, 《오에스에스》, 2016-11-04</ref>
 
:이에 따라 노후화된 시스템을 교체하기로 결정하고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주전산기 교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예금보험공사는 차기 주전산기를 고려하면서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방안과 리눅스 기반의 x86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두고 면밀히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리눅스 기반의 x86 시스템이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특히 서버와 운영체제만 교체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거의 모든 업무를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면 전환하기로 했다. 공개 소프트웨어 환경 도입은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성을 인지하고 각국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추세다.<ref>OSS, 〈[https://www.oss.kr/oss_case/show/3b7d82f0-dde4-485d-bbd4-c2736bb1a1f5?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C%98%88%EA%B8%88%EB%B3%B4%ED%97%98%EA%B3%B5%EC%82%AC (공개SW 활용 성공사례 224) 예금보험공사 - 공공기관 최초 “전사적 공개SW 환경” 전환]〉, 《오에스에스》, 2016-11-04</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