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특징==
 
==특징==
 
=== 작동 방식===
 
=== 작동 방식===
질문이 왓슨에게 주어졌을 때, 질문의 주요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질문을 분석한다. 답변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구문의 자료나 정보의 모음을 찾아서 일련의 가설을 생성한다. 다양한 추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질문의 언어와 각 가능성 있는 응답 언어 간의 비교를 수행한다. 이 단계는 서로 다른 비교를 수행하는 수 백개의 추론 알고리즘이 사용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어떤 것은 시간과 공간의 특징을, 어떤 것은 맥락 정보와 관련된 정보 소스를 찾는다. 각 추론 알고리즘은 각각 집중하는 영역에 기반하여 질문에 의해 가능 답변이 추론되는 정도를 점수로 만들어 낸다. 각 결과 점수는 왓슨이 훈련 기간 동안 해당 [[도메인]]에서 두 개의 유사한 구문 간의 추론을 생성할 때, 얼마나 잘 수행된 알고리즘인지를 알게 되는 통계 모델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 통계 모델은 왓슨이 질문에 대한 답변 후보들에 대한 신뢰도를 요약할 때 사용된다. 왓슨은 다른 답변들보다 강력한 후보라고 생각하는 답변을 찾을 때까지 각 답변 후보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한다.<ref name="작동방식과 사례"> 김천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14669705069&dbt=NART IBM Watson 작동방식에 대한 이해 및 사례 소개]〉, 《한국IBM》, 2017년</ref>
+
질문이 왓슨에게 주어졌을 때, 질문의 주요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질문을 분석한다. 답변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구문의 자료나 정보의 모음을 찾아서 일련의 가설을 생성한다. 다양한 추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질문의 언어와 각 가능성 있는 응답 언어 간의 비교를 수행한다. 이 단계는 서로 다른 비교를 수행하는 수 백개의 추론 알고리즘이 사용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어떤 것은 시간과 공간의 특징을, 어떤 것은 맥락 정보와 관련된 정보 소스를 찾는다. 각 추론 알고리즘은 각각 집중하는 영역에 기반하여 질문에 의해 가능 답변이 추론되는 정도를 점수로 만들어 낸다. 각 결과 점수는 왓슨이 훈련 기간 동안 해당 [[도메인]]에서 두 개의 유사한 구문 간의 추론을 생성할 때, 얼마나 잘 수행된 알고리즘인지를 알게 되는 통계 모델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 통계 모델은 왓슨이 질문에 대한 답변 후보들에 대한 신뢰도를 요약할 때 사용된다. 왓슨은 다른 답변들보다 강력한 후보라고 생각하는 답변을 찾을 때까지 각 답변 후보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한다.<ref name="작동방식과 사례"> 김순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14669705069&dbt=NART IBM Watson 작동방식에 대한 이해 및 사례 소개]〉, 《한국IBM》</ref>
  
 
=== 서비스 ===
 
=== 서비스 ===
87번째 줄: 87번째 줄:
 
* 왓슨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9%93%EC%8A%A8_(%EC%BB%B4%ED%93%A8%ED%84%B0)
 
* 왓슨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9%93%EC%8A%A8_(%EC%BB%B4%ED%93%A8%ED%84%B0)
 
* 왓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99%93%EC%8A%A8(%EC%9D%B8%EA%B3%B5%EC%A7%80%EB%8A%A5)
 
* 왓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99%93%EC%8A%A8(%EC%9D%B8%EA%B3%B5%EC%A7%80%EB%8A%A5)
* 김천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14669705069&dbt=NART IBM Watson 작동방식에 대한 이해 및 사례 소개]〉, 《한국IBM》, 2017년
+
* 김순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714669705069&dbt=NART IBM Watson 작동방식에 대한 이해 및 사례 소개]〉, 《한국IBM》
 
* 김소연, 〈[https://verticalplatform.kr/archives/2996 Retail과 인지컴퓨팅의 결합, Virtual Shopping Assistants의 시대가 오는가?]〉, 《버티컬플랫폼》, 2014-04-29
 
* 김소연, 〈[https://verticalplatform.kr/archives/2996 Retail과 인지컴퓨팅의 결합, Virtual Shopping Assistants의 시대가 오는가?]〉, 《버티컬플랫폼》, 2014-04-29
 
* 더보안,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heboan&logNo=22061106462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IT이슈 :: IBM의 인공지능 플랫폼 왓슨]〉, 《네이버 블로그》, 2016-01-28
 
* 더보안,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heboan&logNo=22061106462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IT이슈 :: IBM의 인공지능 플랫폼 왓슨]〉, 《네이버 블로그》, 2016-01-28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